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5

        181.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using related literatures, and researched the models discussed in precedent studi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s upon consumers’awareness,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 of SNSs as a marketing tool. Design, methodology, and approach - For an empirical analysis, the author distributed questionnaires online and offline, to verify the models and hypotheses. Respondents were persons aged 17 or older, who were frequent users of SNS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1 days from September 30, 2013 to October 10, 2013. The author distributed 450 copies and received 430 responses. Finally, 412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fter excluding 18 copies having poor answers. Results – The findings about SNS users' behavior could be used as material in the future use of SNS as a marketing tool. Further, the study provided not only theories about SNS characteristics, but also variables and items that were verified during the empirical study. Conclusions –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to establish various kinds of SNS marketing strategies in detail.
        182.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국에서 중요한 소비 계층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대도시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제 발전, 교육수준, 제품품질, 기술연구, 생활수준, 민주 체제의 요소로 국가이미지를 측정하여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의 식품, 의류패션, 생활용품, 음악제품, 자동차, 가전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별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제품을 제외한 식품, 생활용품, 의류패션, 음악제품, 자동차 구매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표본 구성의 한계로 인해 본 연구의 일반화에는 주의가 필요 하나 국가이미지의 각 구성 요소가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국가이미지 구축 전략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또 각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중국시장에서의 브랜드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83.
        2012.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양 국제 꽃박람회의 관람 후 만족도가 화훼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 관람객에게 설문하여 분석한 결과, 꽃박람회를 통해 체험한 전시내용과 꽃박람회 내에서 판매되는 화훼 상품의 만족도는 일반인의 향후 화훼 상품의 구매의도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관람객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유익하고 효과적인 꽃박람회의 개최를 통하여 화훼 상품의 소비를 확대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18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큰 성장으로 스마트폰 게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스마트폰 게임 구매 증진을 위한 전략개발과 경쟁력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모바일 게임구매 영향변수는 최근 변화된 스마트폰 게임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기존의 연구된 이론에 적용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스마트폰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모바일 게임구매 영향변수를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기존 연구된 변수들과 스마트폰 게임구매 영향요인을 도출하여 접목시킴으로서 기존 모바일폰 게임구매 영향변수를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일반인 40명,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전문가 검증을 실시한 후 마지막으로 폐쇄형 설문을 설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총 9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기존 연구에서 나타나지 않은 스마트폰의 특성이 종합된 '혁신서비스 요인'과 스마트폰의 터치기술, 운영체제 등에 대한 '디바이스 요인'이 새롭게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신규요인을 통하여 변화된 모바일폰 게임의 구매 영향변수를 확장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85.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als with shopping value and trust as the factors to influence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online shopping. Utilitarian and hedonic shopping values, trus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re incorporated into the Value-Attitude-Behavior model to find out how differently shopping values and trust influence online shopp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they have different purchase experiences. Data are collected from survey of 187 subject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online purchase experiences : 97 shoppers with low online purchase experiences and 89 with high experiences. PLS(Partial Least Square) method is applied to estimate the research model and to test 7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e difference of the way how shopping value and trust influence purchase intention. In the case of low experienced online shoppers, trust has the greatest influence purchase intention, followed by hedonic shopping value mediated by attitude. However utilitarian shopping values have a bigger impact on it for shoppers with high purchase experiences. In the latter, trus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at confidence level of 0.05. The results als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to build and manage their marketing strategies. Managers of online shopping mall should react to the different shopping value by shopper's experience.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