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55

        199.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에너지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 중 열에너지 저장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재료의 미세구조와 물성(열전도 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에너지 저장 콘크리트의 열전도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혼화재인 그라파이트 (graphite)를 사용하였다. 그라파이트가 시멘트 질량의 10%와 15%를 치환한 시편과 일반 콘크리트(OPC) 시편을 제작하여 그라파이 트의 혼입에 따른 미세구조 변화 및 열전도도의 영향을 마이크로 스케일에서 분석하였다. 마이크로-CT를 활용하여 OPC와 그라파이 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극률을 비교하였으며, 확률함수를 사용하여 미세구조 특성을 정량화하였다. 미세구조 특성 차이가 열전도 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3차원 가상 시편을 제작하여 열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열평판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열전도도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열해석 수행 시 그라파이트 재료가 지닌 열전도도 성능을 반영하기 위하여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를 기반으 로 고체상의 열전도도를 역해석을 통해 계산하였으며, 그라파이트가 시편의 열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4,000원
        200.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tivated non-graphitizable hard carbon using orange peel with mesoporous structure has been prepared by pyrolyzation at 700, 800, 900 °C using chemical activation method. The activated orange peel-derived hard carbon has been characterized for its mesoporous and disordered structure. TG-DSC gives the information for the changes about sample composition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materials. Increasing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for orange peel precursor using NaOH as activating agent, elevates the pore diameter, which thereby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Na+. Raman and X-ray diffraction confirms the presence of disordered carbon.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material was analyzed by scanning eletron microsope and nitrogen ( N2) adsorption and desorption analysis give the morphology, mesopore size (3.374, 3.39 and 4 nm) and surace area (60.164, 58.99 and 54.327 m2/g) of the orange peel-derived hard carbon. Hence, this work strongly evidences that the biomass-derived hard carbon with good porosity and paves way of superior electrochemical performance for emerging sodium ion batteri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