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4

        221.
        199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tatoes, Irish cobbler, were subject to quality evaluation from the phys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oints of view during storage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and relative humidities for 11 months. Quality criteria were sprouting, rotting, weight changes, moisture, total sugar, reducing sugar and vitamin C. Low temperature condition(LT, 2∼4, 80% RH) was enough to preserve Potatoes for 11 months, but it was indicated to be limitations that the increase in reducig sugar as well as sprouting by about 3.3 to 6.7% occurred from the 3rd month of storage. Meanwhile, pit temperature(PT, 3∼15, 75∼85% RH), room temperature(RT, 7∼17, 80∼95% RH) and ambient temperature(AT, 2∼25, 62∼72 RH) were shown infeasible conditions for the storage of potatoes mainly due to the increase In sprouting-rate and subsequent quality-loss after 3 months of storage. Based on the results, it proposed that more economical conditions, ranging 10 to 15 and about 80% RH following sprout inhibition treatment should be used for the long-term storage of potatoes.
        222.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本) 시험(試驗)은 참당귀(當歸)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 향상(向上)과 균일(均一)한 묘생산(苗生産)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온도(溫度), 광(光), GA3처리(處理)와 저장방법(貯藏方法)이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고자 수행(遂行)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온도(發芽溫度)는 25℃에서 발아율(發芽率) 87.3%와 발아세(發芽勢) 68.0%로 가장 높고, 평균발아(平均發芽) 일수(日數)도 14.1일(日)로 가장 짧았다. 2. 광조건(光條件)에서의 발아율(發芽率)은 90.7%, 암조건(暗條件)에서는 65.7%로 광조건(光條件)에서 발아(發芽)가 양호(良好)하였다. 3. 종자(種予)의 발아력(發芽力)은 채종후(採種後) 165일(日) 보관(保管)은 4℃와 -10℃건조(乾燥) 저장(貯藏)에서는 각각(各各) 92.0와 91.3%로 높았으며, 상온(常溫)에서는 80.3%, 그 이후(以後)에는 급격(急激)히 발아율(發芽率)이 떨어졌다. 4. GA3처리(處理)에 따른 발아율(發芽率)은 4℃저장(貯藏) 종자(種字)는 GA3 10ppm에서 49.9%로 무처리(無處理) 29.0%보다 20.9% 증가(增加)되었으며, -10℃저장(貯藏) 종자(種子)는 6ppm에서 63.0%로 무처리(無處理) 31.3% 보다 31.7% 증가(增加)되었다.
        223.
        198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7개 품종에 대한 수확시기,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휴면성 타파정도와 발아율 관계를 검토코자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 종자의 평균 발아율은 고온(25℃ )에 비하여 저온(15℃ )에서 37%가 높았으며, 1% H2O 2 와 3ppm GA3 처리의 경우 발아율이 93-95%로 휴면타파에 효과적이었다. 2. 고온의 Germination rate index(GRI)와 발아율과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고 3. 보리 종자는 품종과 수확시기에 따라 휴면성이 각각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특히 두산 8호는 휴면성이 강하였다. 4. 고온저장(30℃ )은 실온(20℃ )에 비해 휴면성타파가 10-20일 촉진되어 고온하에서 후숙기간이 단축되었다. 5. 따라서 보리 종자의 휴면성은 품종, 수확시기, 저정온도, 저장기간에 따라 변이가 있고 발아율 향상을 위해 일정기간의 후숙기간이 필요하였다.
        224.
        197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소맥품종 Weibull's Svenno종자(수분함량 11.3%)에 감마선과 속중성자를 조사한후 일정기간의 저장효과를 저장시 온도와 관련시켜 조사한 결과이다. 감마선이나 속중성자조사에 의하여 모두 묘생육은 저장기간의 연장에 따라서 감소되었고 선량구에서는 그 정도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저장온도효과에 대한 묘생육장해는 높은온도(40℃ )구에서 크게 보였다. 이의 결과로서는 명확한 저장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다.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