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2

        264.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느타리버섯의 호흡속도 측정 및 MA 포장 저장 실험을 수행한 결과 호흡속도는 2에서 산소소비속도 28.9∼161.4mgO/kghr로 나타났으며 이산화탄소방출 속도는 53.4∼166.9mg/kghr로 나타났다. 산소소비속도와 이산화탄소발생속도를 반응표면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느타리버섯의 저장 가능 기체조성을 예측한 결과 2.5∼4.5% 와 11.5∼l3%로 나타났다. 포장내 기체조성은 0.03mmLDPE의 경우 농도 1.6∼3.0%, 농도 3.9
        266.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느타리버섯을 이용하여 제조한 김치에 대한 항산화, 항돌연변이, 항암 및 면역활성 등의 기능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버섯김치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가 및 흰쥐의 간에 대한 TBA가를 측정한 결과 버섯김치가 배추김치보다 항산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데친버섯보다는 생버섯 김치의 효과가 훨씬 크게 나타났다. 버섯 김치의 메탄을 추출물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267.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느타리버섯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숙성 중 식품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 김치의 숙성기간에 따른 pH를 측정한 결과 생 느타리버섯 김치는 처음에 대조구인 배추김치보다 높았으나,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값이 배추김치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데친 느타리버섯 김치는 배추김치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고, 적정산도는 pH의 경우와 반대현상으로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생 느타리버섯 김
        268.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큰느타리버섯의 신선도 연장을 위해 PVC wrap과 20 Polyolefin계열의 PD941 필름을 이용하여 밀봉한 후 저장온도 , 5, 1에서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큰느타리버섯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호흡속도가 빠르며, 중량감소율은 저장온도 , 5, 1에서 Polyolefin계열의 PD941 밀봉포장이 PVC wrap 포장보다 중량감소가 훨씬 적었다. 포장내 가스농도중 농도는 PVC wrap포장과 Polyolefin계열의 PD941
        269.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SM으로 무살균 재배를 여러 가지 배지를 혼합하여 균사생장과 밀도, 오염율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 미강을 각각 10, 20, 30, 40%를 혼합하였을 때 옥수수강, 미강, 비트 순으로 균사생장과 밀도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방울솜:옥수수강을 80 : 20(V/V)으로 혼합한 경우가 가장 양호하다. 특히 방울솜에 비트를 10% 이상 혼합하면 균사생장과 밀도가 현저히 불량한 특징이 있다. 둘째, 면자각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 미강을 각각 10, 20, 30,40%를 혼합하였을 때 비트, 미강, 옥수수강 순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방울솜과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면자각에 미강을 20%이상 혼합하면 잡균오염도 높아질뿐만 아니라 균사생장과 밀도도 현저히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셋째,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를 각각 혼합한 경 우 방울솜:옥수수강:비트를 70:20:10(V/V)로 혼합한 배지가 가장 양호 하였다. 넷째, 면자각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를 각각 혼합한 경우 면자각:옥수수강:비트를 70:20: 10(V/V)로 혼합한 배지가 가장 양호하였다. NSM의 적정 약제 농도별로는 500배가 가장 좋았으나 2,000배액에서도 균사생장은 비교적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잡균오염율은 희석을 많이 하면 오염율이 높았다. NSM 배지의 적정수분함량은 77%가 적당하였으며, 25℃에서 배양하였을 때 균사밀도와균사속도가 양호하였다. NSM에 배지를 침지한 시간별로 조사한 결과 침지한 즉시 꺼내어 접종한 것이나 32시간 동안 침지한 것이나 동일한 효과가 있었으며 48시간 이상 침지하면 균사속도와 균사밀도가 약간 나빠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NSM에 침지한 즉시 꺼내어 접종하면 균사생장과 균사밀도가 양호하였다. 즉 N.S.M을 이용하여 느타리버섯 폐면재배에 있어서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 비트, 미강을 혼합하여 균사생장, 균사밀도, 잡균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방울솜에 옥수수강을 20~30% 혼합하였을 때 균사생장이 76mm/10일 정도로 가장 양호하였고 균사밀도도 양호하였다.
        270.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진주양식의 대상패류인 진주조개 (Pinctada fucata martensii) 담륜자를 냉동보존하기 위하여 4가지 동해방지제를 사용하여 냉동실험을 실시하고, 적합한 동해방지제를 찾고자 하였다. 동해방지제인 dimethyl sulfoxide (DMSO), ethylene glycol, glycerol과 1, 2-propanediol을 희석액인 0.2 M sucrose에 각각 0.01, 0.1, 1.0과 2.0 M이 되도록 혼합한 다음, 10
        271.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se oyster shell as media for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The comparison betwee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he activated sludge and the submerged biofilm process with oyster shell media (5% of reactor volume) for domestic sewage treatment was made. The contaminant removal efficiencies of the submerged proces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And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he submerged biofilm process with oyster shell media of 10% and 18% were investigated at various loading rat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10%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18%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effluent concentration from the submerged biofilm process using oyster shell media was prediceted by the Stover-Kincannon model.
        272.
        199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acteriophage from the fresh oyster, Crassostrea Vrginiea which is specific to the marine bacterium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Among the four different vibrio species and the five different serotypes of. Vibrio parahaemolyticus host strains tested, only two strai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possessing K17, K52 antigens were highly sensitive to the phage. The size of the isolated plaque was 0.4㎜ and the electron microscopic head size of the isolated phage was about 67 nm long and 83 nm wide. PFU/㎖ was 1.25×10^11. The phage was sensitive to chloroform but resistant to acetone or methanol. The assay of the iseoted phage nucleic acid was deoxyribonucleic acid. The restriction enzyme pattern showed 14 fragments from Hind Ⅲ and 4 fragments from Eco R I. Two different antigenic groups showed similar restriction enzyme patterns.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