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8

        282.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lage comkv, suwwn 19). sorghum sudangrass(p. 988) and winter ryeNaton) were cultivated on imperfectly drained paddy field under two different draining methods, subsurface darinage by PVC pipes and open ditsched surface drainage. The crops were harveste
        4,000원
        283.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벼 이앙시기 및 시비수준과 주용해충 발생치해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조사해충은 모두 시비수준보다 이앙시기가 발생 피해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끝동매미충, 벼물기굴파리는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발생량이 많았으나, 이화명나방, 혹명나방은 이앙시기가빠를수록 발생량도 많았고, 피해도 컸다. 그리고 끝동매미충과 이화명나방을 제외한 해충들은 이앙시기가 늦으면서 질소질비료가 많으며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000원
        284.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lage wm(cv, Gwanganok) was cultivated during 1991-1994 on paddy land as a rotational cropping system of rice, to evaluate the effect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the soil characteristics, yield performance and quality of com plant. The treatments use
        4,000원
        285.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휴 논토양에 reed canarygrass를 재배하였을 때, 예취빈도와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의 차이가 연간 건물수량과 주요 영양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reed canarygrass의 잠재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경제적이고도 합리적인 예취빈도와 액상구비의 적정 시용수준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빈도별 연간 건물수량에 대한 예취번초의 상대수량은 3회와 4회 예치ㅜ구에서 3번초, 5회 예취구에서는 4번
        4,200원
        286.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yield performance and nutrient quality of barley for pellets making from whole crop material were discussed during 1993-1994. Barley (cv. Olbori) was grown on paddy land after rice cutivation and was harvested at early stage of physiological maturity.
        4,000원
        287.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find out optimum seed production date according to different defoliation and flooding period of Italian ryegrass, this studies with Tetrone were canied out on the experimental field of Honam Crop Experiment Station from 1986 to 1988. Treatment
        4,000원
        288.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전차 확대대어 가는 유휴 논토양에 Reed canarygrass를 재배하였을 때 , 예취빈도와 무기태 질소시비가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Reed canarygrass의 잠재생산성의 증대를 위한 경제적 이고도 합리적인 예취빈도와 지로시비수준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빈도에 EKfms 예취번초의 상대수량은 3회와 4회 예취구에서 2번초, 5회 예취구에서는 3번초에서 연간 건물수량의 43.1, 3
        4,000원
        289.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농산물의 수입자유화 추세로 들어가고 있는 유휴 경작지에 조사료 자원확보와 날로 심각하게 증가되는 가축분뇨를 유기질 비료로서 재활용하여 환경보전을 목적으로 유휴 논 토양에 조성된 리드카나리그라스의 초지에 액상구비를 시용하여 연 평균 건물수량과 계절적 분포 및 적정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을 추정코자 실시되었다. 2. 3개의 예취빈도(연간3, 4및 5회 예취)조건에서 연 평균 건물수량은 ha당 8.9~10.9톤을 기록하였는데 3회 예취 이용시에 가장
        4,000원
        290.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91.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도포장과 휴반에서 발생하는 노린재종의 분포와 반점미 발생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휴반에서 총 21종의 노린재가 채집, 분류되었으며, 그중 우점종은 가시점둥글노린재, 긴날개쐐기노린제였고, 수도포장에서는 11종이 동정되었으며 우점종은 긴날개쐐기노린재, 설상무늬장님 노린재, 가시점동글노린재이었다. 노린재 종별 반점미 발생율은 가시점둥글노린재가 가장 심하여 34.7%였고 그 다음은 붉은잡초노린재로 2.7%였다. 노린재가 주로 벼의 유숙기를 중심으로 출수기에서 황숙기에 피해를 주었을 때 반점미 발생이 많았고, 품종별로는 극조생 또는 조생종 품봉인 태백벼, 소백벼, 삼강벼 등에서 심하였다. 지역별 반점미 발생은 조생종 품종이 재배되는 포천등 내장산간지에서 많았다.
        4,000원
        292.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optimal sowing date and method of Italian ryegrass(Lo1iuwr wzultiflorum. Tetrone) in paddy of Gyeong Nam area. Treatments given were four sowing dates(Sep. 30, Oct. 10, Oct. 20 and Oct. 30) and four sowing method
        4,000원
        293.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잎선충(線蟲)에 대(對)한 종자소독(種子消毒) 효과 및 본답(本畓)에서의 약제방제(藥劑防除) 체계(體系)를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벼잎선충(線蟲)에 대(對)한 종자소독용(種子消毒用) 살충제(殺蟲劑)로 메프유제(乳劑), 다수진유제(乳劑), 펜치온유제(乳劑)의 약효(藥效)가 양호(良好)하였다. 2. 기존(旣存) 종자소독용(種子消毒用) 살균제(殺菌劑)인 베노람수화제(水和劑), 티시엠유제(乳劑), Proaz유제(乳劑)와 살충제(殺蟲劑), 메프유제(乳劑), 펜치온유제(乳劑), 다수진유제(乳劑)를 각각(各各) 혼용(混用)하여 종자소독(種子消毒)을 하였을때에도 약효(藥效)가 우수(優秀)하였으며 약해(藥害)도 없었다. 3. 본답(本畓)에서의 벼잎선충(線蟲)에 대(對)한 방제체계(防除體系)로는 종자소독(種子消毒)+카보입제(粒劑) 토중처리(土中處理)와 종자소독(種子消毒)+카보입제(粒劑) 6월하순(月下旬) 수면처리(水面處理)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4,000원
        294.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벼의 본답기간(本畓期間)에서의 용수량(用水量) 확보(確保)에 기본(基本)이 되는 소비수량(消費水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일반계(一般系) 진주(眞珠)벼, 통일계(統一系)인 태백(太白)벼와 풍산벼를 공시(供試)하여 1983년도(年度)에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 부속농장(附屬農場)에서 품종별(品種別)로 소비수량(消費水量)에 대(對)한 여러 계수(係數)를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것으로서 요약(要約)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중지표면(水中地表面) 온도(溫度)는 평균(平均) 이며 8월(月) 상순(上旬)에 모든 측정위치(測定位置)에서 최고(最高)의 온도(溫度)를 기록(記錄)하였다. 2. 벼의 엽수면증발량(葉水面蒸發量)은 이앙후(移秧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여 각(各) 품종(品種)마다 공(共)히 수잉기(穗孕期) 말기(末期)에서 출수개화기(出穗開花期)에 최대량(最大量)을 나타내고 그후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였다.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의 평균(平均) 엽수면증발량(葉水面增發量)을 보면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인 진주(眞珠)벼는 8.43 mm/day였고 통일계품종(統一系品種)인 태백(太白)벼는 7.78 mm/day, 풍산벼는 7.71 mm/day이었다. 3. 증발계증발량(蒸發計蒸發量)과 엽수면증발량(葉水面蒸發量)과의 비(比)는 진주(眞珠)벼가 1.71, 태백(太白)벼가 1.50, 풍산벼는 1.59이었다. 4. 작물계수(作物係數) K는 일반계(一般系)가 1.41, 통일계(統一系)가 1.30이었고 보정작물계수(補正作物係數) Kc는 일반계(一般系)가 1.40, 통일계(統一系)가 평균(平均) 1.27이었다. 5. 수위(水位) 6 cm와 8 cm시험구(試驗區)가 수위(水位) 2 cm와 4 cm시험구(試驗區)보다 소비수량(消費數量)이 많았으나 분얼수(分蘖數)는 수위(水位) 6 cm와 8 cm시험구(試驗區)가 수위(水位) 2 cm와 4 cm시험구(試驗區)보다 다소(多少) 적었다. 전체적(全體的)으로 수위(水位) 2 cm인 시험구(試驗區)가 타시험구(他試驗區)보다 유리(有利)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95.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대구지방(大邱地方)에 있어서 벼의 증발산량(蒸發散量) 대(對)한 산정기준(算定基準)을 정(定)하기 위(爲)하여 실험(實驗)에 의(依)해 증발산량(蒸發散量)을 측정(測定)하고, 측정(測定)된 실측치(實測値)와 이제까지 발표(發表)된 여러 가지의 증발산량(蒸發散量) 산정공식(算定公式)(Blaney & Criddle 공식(公式) 외(外) 8가지 공식(公式))에 의(依)한 계산치(計算値)를 비교(比較)하여, 대구지방(大邱地方)의 벼 생육(生育)에 가장 적합(適合)한 작물계수(作物係數)를 산출(算出)함에 있다. 시험기간(試驗期間)은 1982년(年)에서 1984연(年)까지 였으며, 실험(實驗)은 경북대학교내(慶北大學校內) 실습농장(實習農場)에서 실시(實施)하였고, 시험(試驗)을 위(爲)한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는 '진주(眞珠)'를 사용(使用)하였다. 실험(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벼의 증발산량(蒸發散量)은 이앙후(移秧後) 증가(增加)하기 시작(始作)하여 수잉기(穗孕期) 말기(末期)에서 출수개화기(出穗開花期)에 이르는 8월(月) 상(上) 중순(中旬)에서 최대치(最大値)을 나타냈으며, 그 후(後),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였다.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의 평균(平均) 1일(日) 증발산량(蒸發散量)은 6.33mm였다. 또한, 증발산량(蒸發散量)은 기상요소중(氣象要素中) 일사량(日射量), 일조시간(日照時間), 상대습도(相對濕度)와 높은 상관성(相關性)을 지니고 있었다. 각각(各各)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0.884, 0.838, -0.805이었고, 증발계(蒸發計) 증발량(蒸發量)과는 상관계수(相關係數) 0.942로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지니고 있었다. 대구지방(大邱地方)의 벼 생육(生育)에 적합(適合)한 작물계수(作物係數)는 Blaney & Criddle 공식(公式)에 의(依)한 K와 Kc로, 그 범위(範圍)는 각각(各各) 0.76~1.45, 0.82~1.27 이었고 최대치(最大値)는 공(共)히 8월(月) 상순(上旬)에 나타났다. 증산량(蒸散量)과 건물중(乾物重)은 상관계수(相關係數) 0.998로서 고도(高度)의 상관성(相關性)을 보였으며, 평균(平均) 증산비(蒸散比)는 269.03이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작물계수(作物係數)와 증발산량(蒸發散量) 및 증산비(蒸散比)는 대구(大邱) 및 인근지역(隣近地域)의 용수원(用水源) 계획시(計劃時) 증발산량(蒸發散量)을 산정(算定)하는데 유용(有用)하게 사용(使用)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4,000원
        296.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질계(砂質系) 답토양(畓土壤) 유형별(類型別)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및 Bentonite와 Zeolite를 동시(同時)에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이 수도생육(水稻生育)고 수량(收量) 및 토양개량(土壤改良) 효과(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포장(圃場) 시험(試驗)하였다. 수도수량(水稻收量)은 삼요소(三要素)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에 비(比)해 삼요소(三要素)와 점토광물(粘土鑛物) 동시(同時) 전량전층(全量全層) 시용(施用)이 증수(增收)되었는데 사양토(砂壤土)에서는 Zeolite 1.0 M/T, 사토(砂土)에서는 Bentonite 0.5 M/T, 시용(施用)이 각각(各各) 5%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었고 사토((砂土)에서 Bentonite 1.0 M/T 시용(施用)은 1% 수준(水準)에서 유의증수(有意增收)되었다. 출수기(出穗期) 수도경엽중(水稻莖葉中)의 양분함량(養分含量)은 삼요소(三要素)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에 비(比)해 삼요소(三要素)와 점토광물(粘土鑛物)을 동시(同時)에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함으로써 질소(窒素)와 규산함량(珪酸含量)은 높아졌고 인산(燐酸) 및 염기(鹽基)의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또 토양(土壤)의 pH와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다소 높아졌고 유효규산(有效珪酸) 및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4,000원
        297.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종의 수도용 살충제들에 대하여 벼멸구와 이의 주요천적인 황산적거미에 대한 상대독성을 실내에서 미량국소 처리방법으로 반치사약량을 조사 비교한 결과 PAP(0.4), MPP (0.7), MEP(1.8), Diazinon(2.8) , Carbofuran(7.5), NAC(11.3), BPMC(17.5), Pyridaphenthion(35.9), MIPC(65.7)의 순이었으며 특히 MIPC, Pyridaphenthion은 벼멸구와 황산적거미에 대해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3,000원
        298.
        197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1975년 11월1977년 11월 사이에 광주지방의 논거미의 분포상과 계절적 밀도변동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주산로 논거미로서 13과 24속 58종(7미확정종포함)을 확인하였으며 기중 한국산 논거미로 2종, 광주산 논거미로 22종을 추가하였다. 2. Cornicularia vulgaris OL(쌍코뿔 애접시거미)는 한국미기록종이었다. 3. 광주산 논거미의 우세과는 Erigonidae와 Lycosidae이며 특히 Erigonidae는 타지방에 비해 단연 우세하였다. 4. 우점종은 Gnathonarium dentatum(WIDER)가 , Oedothorax insecticeps BOES. et STR.가 로 월등한 우점현상을 나타냈다. 5. 기지 수원, 대구에서는 우세과 Lycosidae, 우점종 Pirate subpiraticus(BOES. et STR.)인데 비해 본지방에서 는 우세과 Erigonidae 우점종 Gnathonarium dentatum(WIDER)로 남북관계 내지 동서현상이 보였다. 6. 계절적 밀도 변동은 월동전인 11월이 최고이고, 월동후인 3,4월이 최저이며 7,8월이 중간 Peak인W자형 분포상을 나타낸다.
        4,000원
        299.
        197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금속류의 유관산업의 증대로 부수적으로 배출되는 중금속의 농경지오염도 증가되는 경향에 있는바, 공업단지주변의 답토양에 함유된 구리, 아연, 납, 카드뮴을 원자흡광분석법으로 정량하였다. 공시토양의 채취지역은 경인지방과 전북(전주 및 이리공단)으로 국한했는데 이 dusr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종 중금속 공히 시흥군 서면지역(Cu : 23.09 ppm, Zn : 113.4 ppm, Pb : 86.3 ppm, Cd : 2.05 ppm)의 함량이 가장 높고, 안양천주변(Cu : 8.5 ppm, Zn : 16.6 ppm, Pb = 7.9 ppm, Cd : 0.33 ppm) , 김포부천(Cu : 7.4ppm, Zn : 8.2 ppm, Pb : 8.5 ppm, Cd : 0.14 ppm)의 순으로 그 함량이 낮았으며, 시흥군서면의 경우는 인근에 소재했든 아연광산의 영향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낸 것으로 보며, 전주와 이리지역은 자연부존량의 최소치에 근사할 정도의 매우 낮은 함량이었다. 2. 안양천변과 인접한 경작지는 하류에 갈수록 중금속류의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구로공단지역은 가장 높았다. 3. 경인김포지역은 부평수출공단지역이 가장 높은 함량이고, 한강을 농업용수원으로 이용하는 계양면이 가장 낮았으며, 고촌면의 상류의 부평공단경수가 오염되어 계양면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진다. 4. 각종 중금속류의 함량분포를 보면, Cu, Zn, Pb는 시흥군서면외는 대부분 10 ppm 미만이며, Cd는 0.2 ppm 미만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같은 함량은 수도의 생육장해농도와 비교할 때 극히 낮은 안전한 함량이었는데,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인 시흥군서면지역은 앞으로의 축적상태를 단속하여 구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으키지 않았다.) (5) 충영내 유충의 밀도는 약제의 종류,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Omethoate, Salithion처리에서 충영내 유충밀도가 낮었다. 농도가 낮어짐에 따라 충영당 유충의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충영내유충의 밀도는 7월 15, 7월 17일 처리에서만 조사 되었는데 처리시기간에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희석한계는 , 그리고 보존한계는 2 일이었다. 8.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순화는 2회의 분획원심과 Sephadex gel filtration에 의해서 가능했다. 9. 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길이 1200-1225mu 폭 10-12mu의 사상이었다. 10. 혈청학적 미량침강 반응법에 의해 마늘잎에서뿐만 아니라 인편과 주아에서도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검정이 가능했다. 11. 우리나라 5개 지방에서 수집한 마늘 종구 150개와 주아 30개에 대해 혈청학적방법으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의 감염률을 보였다. 12.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크기가 근사한 Potato Virus X. Potato virus Y, Potato virus S, Potato virus M 등과의 혈청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한 바,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이들과 구별되는 다른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 13. 마늘의 모자이크 감염주에서 단일계통으로 분리하여 본 실험에 사용한 바이러스는 마늘의 바이러스 무감염주를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직접 마늘잎에 접종해서 모자이크톤의 병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검정식물상의 반응, 혈청학적반응, 전자현미경적 관찰등의 간접적인 조사 결과로 미루어 미인록의 마늘모자이크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TEX> 구에서는 의 난기 치사율을 나타내었고 F2
        4,000원
        300.
        197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침투성 살충제 Carbofuran의 Capsule 근부처리, 액상근부주변처리 및 수면시용을 실시하였을 때 논거미(늑대거미류와 애접시거미류)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원과 이리에서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1. Carbofuran의 처리에 의하여 거미의 밀도가 저하되며 관용방법인 수면처리에 비하여 근부처리의 경우 거미의 밀도가 더욱 낮었다. 2. 액상근부주변처리에 비하여 Capsule 근부처리에서 거미의 밀도가 더욱 낮었다. 3. 근부처리에서나 수면처리에서 약량이 증가함에 따라 거미밀도가 낮어졌다. 4. 무처리에서 거미밀도는 팔굉품종에서 높았고 유신품종에서 낮았으나 약제처리에서 품종간 거미밀도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5. 해충의 방제효과가 좋았던 Capsule 근부처리에서 거미 밀도가 낮은 이유는 식물연쇄에 의한 독성 및 살해로 고찰되었다. 6. Carbofuran의 경우 처리방법을 달리하였을 때 거미에 대한 살해를 감소시킬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