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7

        341.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시호 (Bulpleurum longeradiatum)를 대상으로 상염 색법과 FISH기법을 통한 염색체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개시호의 체세포 염색체 수는 2n=12이었으며, centromeric index를 전중기 염색체를 이용한 핵형 분석에서 염색체 조성은 3쌍의 중부 염색체 (3번, 4번 및 6번)와 3쌍의 차중부 염색체 (1번, 2번 및 5번)로 구분되었다. 염색체의 길이는 2.55~5.05 μm로, 전체 길이는 18.15 μm로 나타났다. 5S 와 45S rDNA를 탐침으로 FISH를 수행한 결과 4번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 에서 한 쌍의 5S rDNA signal이 확인되었고, 2번 염색체의 부수체에서 한 쌍의 45S rDNA signal이 관찰되었다.
        342.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자포니카 품종의 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와 연관된 마커를 탐색하기 위하여, 밀양121호, 밀양123호 및 HB10624-AC5 등을 교배친으로 한 두 조합의 약배양 계통을 재료로 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Xa-1 and Xa-3)와 DNA 마커간의 연관분석을 통하여 유전자 지도를 작성하고자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K1 균주에 대한 흰잎마름병 저항성 검정결과, 밀양121호/HRl1650-1-4-2에서는 저항성과 감수성이 1:1로 분리하였으며, 밀양123호/HR10624-AC5 조합의 K1 및 K3 균주에 대한 검정결과는 각각 3:1과 1:1로 분리하여 이론치에 합당하였다. 2. 교배친에 대하여 DraI. HindIII, EcoRI, EcoRV, PstI등 5가지 제한효소에 대한 다형현상을 검정한 결과, RZ590, RG303, RZ536 등 3개의 마커가 다형현상을 나타내었다. 3. 흰잎마름병 포장저항성 검정결과와 RFLP 마커와의 연관분석 결과 Xa-1 유전자는 RZ590과 4번 염색체 상에서 3.1 1.5 cM으로 연관되어 있었으며, Xa-3 유전자는 Rz536 및 RG303과 11번 염색체 상에서 각각 7.6 2.3 및 16.0 3.2 cM으로 연관되어 있었다. 4. 11번 염색체 상에서 Xa-3와 Rz536 및 RG303은 "Xa-3-RZ536-RG303" 순으로 위치하였다.순으로 위치하였다.
        343.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chromosomal characteristics between Atractylodes japonica and A macrocephala. Cyt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karyotype analysis and physical mapping using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As a result of karyotype analysis by feulgen staining,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A. japonica and A. macrocephala were 2n=24. The length. of the mitotic metaphase chromosomes of A. japonica ranged from 0.70 to 1.60μm with a total length. of 12.11μm and the homologous chromosome complement comprised six metacentrics, five submetacentrics and one subtelocentrics.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mitotic metaphase chromosomes of A. macrocephala ranged from 0.90 to 2.35μm with a total length of 16.58μm and the homologous chromosome complement comprised seven metacentrics and five submetacentrics. The total length of A. japonica chromosomes was shorter than that of A. macrocephala, but A. japonica had one subtelocentrics (chromosomes 4) different from A. macrocepha1a. chromosomes. The F1SH technique using 17S and 5S rDNA was applied to metaphase chromosomes. The signals for 17S rDNA were detected on the telomeric regions of chromosomes 4 and 5 in both A japonica and A. macrocephala. The 5S rDNA signal was found in the short arm of chromosome 1.
        345.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텍스쳐 매핑과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하여, 눈 내리는 장면의 애니매이션을 OpenGL로 구현하는 두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이들의 실행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하나는 glPointSize()함수를 사용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glutSolidSphere()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실행 결과 전자가 후자보다 실행 결과가 빨라서 속도가 느린 PC나 내리는 눈의 개체 수가 많은 경우에 사용하기에 더 적절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또 전자의 방법을 이용한 구현 과정에서 눈의 모앙과 눈의 색깔의 제어가 서로 상충되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미지를 조작하여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347.
        200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출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예측은 수문 및 수자원 분야에 있어서 궁극적인 목표 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와 같이 강우에 대한 유출의 응답이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경우에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토지이용변화 등에 의한 유출의 변화 및 감시를 포함하는 유역내의 수문 변수의 변화를 적절하게 고려할 수 있는 분포형 자료를 선호하게 된다. 이때 분포형 모형을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강우의 공간특성을 알아야 하며, 각 격자별 강우량이 입력자료로 활용되어 각 격자
        352.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ypernodulation soybean mutant, SS2-2, is characterized with greater nodulation and nitrogen fixing ability in the root nodule than its wild type, Shinpaldalkong 2.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a genetic locus conferring hypernodulation in soybean mutant SS2-2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gene controlling the hypernodulation of SS2-2 is allelic to that controlling the supernodulation of nts382 mutant. Hybridization studies between SS2-2 and Taekwangkong revealed that the recessive gene was responsible for the hypernodulation character in soybean mutant SS2-2. Allelism was also tested by crossing supernodulating mutant nts382 and hypernodulating mutant SS2-2 that both hypernodulation and supernodulation genes were likely controlled by an identical locus. Molecular marker mapping of hypernodulation gene in SS2-2 using SSR markers confirmed that the gene conferring hypernodulation was located at the same loci with the gene conferring supernodulation.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same gene controlled the super- and hyper-nodulation characters, although SS2-2 and nts 382 exhibited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nodulation in the root system. Further genetic studies should be needed to clarify the genetic regulation of super- and hyper-nodulation in soybean.
        359.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p Bphl and bph2 gene in Mudgo and Sangju13 (Oryza sativa L.) respectively conferring resistance to brown plan-thopper (BPH) and to establish the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system. Bulked seedling (grown for 20 days) test was conducted with the 73 F4 lin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Nagdongbyeo and Mudgo for Bphl and with 53 BC3F5 lines derived from the Milyang95/Sangju13 cross for bph2. Bph1 was mapped between RG413 and RG901 on chromo-some 12 at a distance of 7.5 cM from RG413 and 8.4 cM from RG90l. A recessive gene bph2 was located near RZ76 on chromosome 12 at a distance of 14.4 cM. Bphl and bph2 were linked to each other with a distance of about 30 cM. An RFLP marker, RG413 linked to Bphl, was converted to an STS marker to facilitate the marker-assisted selection. BPH resistant genotypes could be selected with 92% accuracy in a population derived from a line of NM47-B-B.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