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21.
        200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 market of food service industry has been increased greatly since early 90's with the emergence of professional catering business and the expansion of school food servic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food service establishment, feeding many people at a time, there is always a high potential of foodborne outbreak which requires special sanitary management to prevent. Currently, many catering businesses are interested in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a new sanitary management system, and are trying to develop HACCP Plans for their food service establishment.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a most important step for developing HACCP Plan, provides also basic information for evaluating sanitary aspect of prepared foods and their materials. There are not extensive data of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food service operations, especially for prepared foods and raw materials, which are helpful for developing a HACCP Plan. The extensive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es for 65 prepared foods and 51 raw materials selected from a couple of food service establishment were performed in this research.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etermine hazards for developing a HACCP plan, and also to understand sanitary status for prepared foods and raw materials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
        4,800원
        22.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강 웰빙식품의 하나로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새싹채소류는 미생물학적 관점에서 생산단계별 위해분석과 안전성 기준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현장에서 새싹채소의 재배공정별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분석 평가하였다. 새싹채소 종자의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수는 각각 3.04~5.21 log CFU/g, 1.80~3.86 log CFU/g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소독유무에 관계없이 재배기간 동안 일반세균(6.99~8.26 log CFU/g) 및 대장
        23.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구지역 대형식품접객업소 한식, 양식, 일식, 중식 각 3곳씩 12개 업소를 대상으로 조리기기 및 용기(칼, 도마, 행주, 집게, 바구니 등),조리종사자 손 및 조리 작업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를 분석하였다. 일부 한식당 조리수와 음용수의 일반세균 및 대장군균수가 범위로 검출되어 기준치에 부적합하였다. 특히 끓여서 식힌 보리차를 제공할 경우 음용수에 대한 미생물적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양식당과 일식당의 음용수도 기준치에 부적합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