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28.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애방아벌레송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2신종, Fleutiauxellus grandiniger sp. now., F.paryus sp. nov.과 1 신아종, F. curatus coreaensis subsp. nov., 및 1 미기록종, F. yotshuboshi(Kishil,1976)이 확인되었기에 이를 보한다. 한편ㅡ 기기록조으 F. quadrillum(Candeze, 1873)은 표본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분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목록에 추가하였다.
        4,200원
        29.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Podabrus속은 Heyden(1887)이 P. heydeni Kiesenwetter를 처음으로 보고한 후, 현재까지 총 9종이 기록되었지만, 5종이 오동정으로 확인되었으며, 3신종, P. jirisanensis n. sp., P. fragiliformis n.sp., P. circumangulatus n. sp.을 발견, 기재하였다. 분포가 의심스러운 P. nigriventris Fischer는 본 논문에서 재확인하지 못하였다. 또한 Cantharinae아과에 속하는 속과 Podabrus속에 속하는 종에 대한 검색표와 채집지 및 해부현미경 사진을 수록하였다.
        4,800원
        30.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긴머리개미반날개속에 대한 문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산 긴머리개미반날개속은 미기록종인 Ochethphilum pectorale(Sharp)(홍딱지긴머리개미반날개)(신칭)를 포함하여 3종으로 정리하였다.
        4,000원
        33.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창주둥이바구미과 갑충의 구기가 부드러운 식물조직을 섭식하는 바구미과 갑충과 거의 같은 구조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나타내고 있다. 창주둥이바구미과 갑충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구기를 본래의 위치에서 관찰하고, 여기에 해부에 의한 연구도 병행하여 얻은 구기구조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주둥이바구미아과의 바구미는 두순 가장자리가 꾸불꾸불한 모양이고, 큰턱은 수축시 전후로 만나며 안쪽으로 약간 굽어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4,000원
        34.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구미류의 섭식행동과 산란공을 파는 운동과 구기의 복합적인 구조를 알기 위해서는 원래의 위치에서의 복잡한 구기구조의 관찰이 행하여져야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Brentidae의 바구미류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구기를 본래의 위치에서 관찰하고, 여기에 해부에 의한 연구도 병행하여 얻은 구기구조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과에 속하는 바구미는 아랫입술 수염이 퇴화되어 하순전기절의 꼭대기의 구멍에 위치하고 있다. 대악후관절구는 깊
        4,300원
        35.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시베리아뽀족반날개속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3종의 한국산 미기록종이 밝혀졌다 [Tachinus (Tachinoderus) nigriceps Sharp, Tachinus (Tachinus) sharpi Bernhauer & Schubert, and Tachinus (Tachinus) yezoensis Li]. 한국산 시베리아뾰족반날개속은 총 5종이 되며, 종 기재를 하였고 진단 형질을 도식하였다.
        4,000원
        3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곰보개미반날개 아족의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2속 5종이 동정되었고 이들 중, 4종 [Nazeris opatatus (Sharp), Astenus brevipes (Sharp), A. porosus (Sharp), and A. suffusus (Sharp)]이 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3,000원
        37.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긴개미반날개아족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산 긴개미날개아족은 미기록종인 Domene crassicornis(Sharp)(검은왕개미반날개), Domene curtipennis Sharp(검붉은딱지왕개미반날개), Tetartopeus pallipes(Sharp)(황점무늬긴개미반날개) 및 Tetartopeus fragile(Sharp)(황띠무늬긴개미반날개)를 포함하여 3속 5종으로 밝혀졌다.
        4,000원
        38.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병대벌레과는 Cantharinae와 Chauliognathinae의 2아종만이 기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 Silinae아과에 속하는 Silis triimpressa Pic와 Malthininae 아과에 속하는 Malthinus quadratipennis, n. sp.와 Malthinellus bicolor Kiesenwetter가 확인되었기에 보고한다. 또한, Chauliognathinae 아과는 Trypherus niponicus(Lewis)가 기록되어 있지만, 국내에는 기재문이 없기에 재기재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Cantharinae아과를 제외한 한국산 2아과, Silinae, Malthininae, Chauliognathinae를 재정리하였다.
        4,000원
        39.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tielloides은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4종이 기록되어 있는 작은 으로서 전 종을 재료로하여 분류학적으로 재정리하였다. 그 중 E. sejunctella(Christoph)(흰띠회색알락명나방)와 E. kogii Yamanaka(흰띠갈색알락명나방)를 한국미기종으로 보고한다. 종래 보고되었던 2종을 포함, 4종의 성충, 생식기의 그림 및 주식물의 기록과 함깨 필요한 부분을 재기재 하였다. 또한 성충과 암.수 생식기에 의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4,300원
        40.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바구미과의 좁쌀바구미아과에 속하는 Coeliodina아족, Ceutorhynchina아족, Hypurina아족, Mecysmoderina아족 및 Orobitini족을 정리한 결과 20종이 밝혀졌으며, 그 중 세모발좁쌀바구미(신칭), Cyphosenus moholeei sp. novo와 뾰족가슴좁쌀바구미 (신칭), Mecysmoderes nigrinus sp. novo 2종을 신종으로, 갈색좁쌀바구미 (신칭), Coeliodes brunneus Hustache; 띠갈색좁쌀바구미 (신칭), Coeliodes nakanoensis H Hustache; 혹좁쌀바구미 (신칭), Phytobiomorphus bifasciatus Voss; 가슴골좁쌀바구미 (신칭), Cardipennis s sulcithorax Hustache; 초록좁쌀바구미 (신칭), Ceutorhynchus diffusus (Hustache); 콘초록좁쌀바구미 (신칭), C Ceutorhynchus sulcicollis (Paykull), 쇠비름좁쌀바구미 (신칭), Hypurus bertrandi (Perris); 알좁쌀바구미 (신칭), O Orobitis apicalis Kono 8種을 韓國未記錄種으로 보고하며,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을 제공하였다.
        8,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