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낭만주의자, 신비주의자, 상징주의 시인 등으로 불린다. 이 논문은 영국 낭만주의를 태동시킨 워즈워드의 시 이론으로 예이츠의 시를 읽는다. 예이츠는 워즈워드의 “즉흥적인 강한 느낌의 넘침”이라는 개념과 비슷한 시의 이론으로 아름답고 리듬감을 살려 자신의 시를 창작하고 있으며, 또한 자신의 시의 이론도 정립한 시인이다. 본 논문은 예이츠의 낭만주의 시학에 초점을 맞추어 예이츠 시에 대입한다.
        5,200원
        2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비전』의 제 3권 「심판받는 영혼」에서 생과 사의 경계선에서의 6가지의 단계를 묘사하고 있다. 그의 진정한 목표는 이미 선험적으로 결정지어진 “존재의 통일에 이르는 길,” 더 나아가서는 “문화의 통일” 또는 “다문화”와 “초국가”의 길에 이르는 연단의 문제였고, 결국 보편적인 영혼의 초문화/초국가적인 시학의 지형도를 그려내는 작업이었다. 이미 먼저 온 “앞선 미래”의 영혼의 눈은 초국가주의 시학을 예견하고 있었고, 예이츠의 「심판받는 영혼」은 바로 이 시학의 중핵을 이루는 중요한 증언이 되고 있다.
        4,300원
        2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eats invents his own system of metaphors in the poem “Leda and the Swan.” The system urges Yeats to drive his poetry on unknown fields. Rather than following in the well worn tracks of Greek mythology, he tries to idealize a form of poetry that looks brief, yet carefully formed and worded: a metapoetic strategy by using related vocabulary at which he seems to excel. In the first stanza, he claims that Zeus visits Leda as a form of Swan and vividly draws in passionate language a picture of sexual intercourse by his sudden blow on Leda sleeping peacefully. His action looks like a rape on the surface, yet possibly interpreted in a different way, that is adultery between a god and a married woman; yet it thus turns out to be a historical moment worldly and spiritually at the moment of making love. Such words symbolizing as metaphors the relations of Lead and Swan in mythic stories are carefully crafted and allusively materialized to form a metapoetic allegory: a poetry that uses a system of related metaphors, violence and sex, to reflect implicitly on history in poetry and on its poetic program. Whether or not Yeats invents this metapoetic strategy, his poetic symbolism is strongly characteristic of his own connection to Greek symbolism as in mythic stories. Such a metapoetic approach as found in the poem can help us understand much about his own values on humanity, including why Yeats chooses to rewrite about such images, ideas, and poetic patterns as shown in Greek stories, and why−as in his discussion of violence and love put together in physical and spiritual beauty−he puts into question mythic literature and its literary criticism of love and battle just in the poem imitating Greek tales.
        7,000원
        2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iot seems to have been much impressed by Yeats's poetics and poetic techniques, in particular the union of emotion and reason. Not only is Yeats a supreme Romantic - he is a poet of mysticism. To Eliot, Yeats is not just a great poet, but a great craftsman; Yeats's reputation as such a poet has remained strong, from the beginning up until now, as Eliot has foreseen. In Yeats's works, there are both aesthetic and mysterious elements, and just as we could call him a romantic-mystic poet. Eliot thinks highly of Yeats's pure poetry, with poetics based on the principle of art for art's sake. He praises Yeats as a great poet-craftsman, as we have seen in his works above. Yeats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French symbolists's poetic techniques, such as those of Baudelaire, Mallareme,. Neval, Verlaine. In Yeats's works, there is their influence.
        4,900원
        25.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가 예이츠의 시를 이야기 할 때 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메뉴 중의 하나가 그의 신비주의(mysticism)의 심취이다. 그리고 예이츠 연구가들은 신비주의가 그의 시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해 아니면 그의 사상,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그의 A Vision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전자에 속하는 비평가들은 David Pierce, Virginia Moore, Harbans Bachchans, M.C. Flannery, Remesh Chandra Shah, 그리고 William T. Gorski 등이 있고, 후자에 속하는 학자들은 Richard Ellmann, Graham Hough 등이 있다. 이들이 예이츠의 신비주의의 심취를 바라보는 시각은 텍스트(Mysticism)와 리더(Yeats)의 관계에서 리더를 무시한 텍스트에만 초점을 맞춘 결과가 아닌가 한다. 즉 신비주의의 영적인 면이 예이츠가 신비주의를 받아들이는 태도를 결정지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 면을 부정하기는 힘들 것이다. 그러나 예이츠가 영적인 성장만을 위해 신비주의를 공부했다는 것은 예이츠의 시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신비주의의 영향의 중요성을 심각하게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믿는다. 다시 말해 예이츠와 신비주의와의 평생에 걸친 애정관계에 대한 부분적인 모습만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다. 나의 논지는 텍스트와 리더의 관계에 있어서 리더 즉 예이츠의 입장을 다각도에서 고려하면서 이 문제를 접근해야한다는 것이다. 예이츠는 무척이나 실질적인 사람이라는 점이고 그의 신비주의에 대한 접근은 항상 그가 신비주의를 어떤 목적으로 이용하려 했나를 따져보아야 한다. 다시 이야기하면 리더의 실용성이 신비주의의 영적인 면을 콘트롤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가 신비주의에 심취할 때 그가 처한 정치적인 상황 또한 간과해서는 안될 중요한 요소라는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예이츠는 19 세기 말 분열된 아일랜드의 정치적 상황을 어떻게 하면 치유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던 정치적 성향이 짙은 시인이었으며 신비주의를 연구하던 중 아일랜드의 정치적 분열을 화합시킬 형이상학적인 모델을 신비주의에서 찾게 되었다는 것이 나의 주장이다. 신비주의의 기본 원리 즉, 상반된 세력의 합일이 깨달음에 도달하게 하는 초석이 된다는 것에 기초,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연방주의와 독립주의로 분열된 나라의 화합을 신비주의 색채가 짙은 그의 시로써 해결책을 모색하려 했던 것이다. 그는 죽기 한달 전 Ethel Mannin 에게 편지를 보내 “Am I a mystic? No, I am a practical man.” 이라고 쓰고 있다. 이 두 줄이 그의 평생에 걸친 신비주의와의 관계를 요약하는 말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예이츠는 실용적인 사람이며 그의 시학은 늘 사회에 도움이 되고 또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는 매개체가 되어야한다고 믿는 그의 실용성의 결정체이다. 그는 종교적인 vision이 아일랜드가 처한 정치상황을 화합의 길로 안내할 것을 믿었다. 물론 그 자신 프로테스탄트의 출신으로 그가 결코 버리지 못한 가톨릭에 대한 편견과 종교적 vision에 대한 그 자신의 회의감 때문에 그의 믿음이 많이 퇴색되기는 했지만 말이다.
        5,100원
        26.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oposes to venture into the common elements and differences in both W.B. Yeats’s and Derek Walcott’s poems. It has been said that the young Walcott was sympathetic to the Irish writers, such as Synge, Pearce, Yeats, and Joyce, because he intended to make himself master of the themes and rhythms of the exile or castaway that the Irish writers echoed in their works. Of the Irish writers, Yeats was especially a poet who a little more previously wrote of the same issue as the young Walcott tried to and the young poet’s attention was deeply caught in the Yeatean poetics, more specifically, in the Yeatean mask which echoes a solitary self as an artist. Walcott’s Crusoe as a poetic self echoes the Yeatean mask. More specifically, it is a parallel for a poet with his daily ritual of the poet creating a new poem in the desperately isolated island. It is believed to be created by Walcott’s comparing himself and his own country to Yeats and Ireland in terms of an exile, a castaway or a lost self, which reflects a solitary and artistic figure in his poems, such as in “Crusoe’s Island” and “As John To Patmos”. Despite this fact, Walcott is also a poet who has built up the self-figure on a different base from Yeats’s heroic or aristocratic self. His poems are based on the Caribbean multi-racial background characteristic of slavery, poverty, lost hope, and lost identity that have resulted from the colonial policy of the British government that stepped into the Spanish and the French shoes. His Caribbean figure is a poverty-stricken, obedient, but patient, willful castaway, with his thick lips tightly closed. Although Walcott is a poet who has developed his own poetic self on the Yeatean base, which resulted in his fruitful poems, it is believed that he made greater efforts to weave the Caribbean spirit into poems than others. Then, the Caribbean tropical landscapes, such as sea, wood, and sun, etc. are a poetic space which sublimated his themes into the Caribbean soul.
        8,000원
        27.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와 히니 모두 노벨 문학수상자로서 아일랜드를 문화관광국으로 만든 공로가 인정되는 작가들이다. 이들이 이렇게 아일랜드를 문화 강국으로 만들 수 있었던 것은 민족 정체성확립의 강한 의지로 아일랜드 고유문화를 발굴했고 아울러 자신들의 고유문화에 영어와 영국문화를 접목시켜 세계화를 도모했기 때문이었다. 아일랜드 현대 문학은 정체성추구의 단계에서 지역화와 세계화를 함께 추구했다. 그런데 이 과정은 크게 다섯 단계로 요약될 수 있다. 그 첫 번째가 오스카 와일드, 버나드 쇼우에서 보여진다. 즉, 영국인과 영국가치를 패로디 하면서 영국인 보다 더 영국적인 행세를 하려는 단계이고 두 번째는 민족주의가 강화되는 시기에 영국 민족주의를 모방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는 이제까지 진행된 민족주의와는 다른 방식으로 민족의 특성과 양심을 추구하는 단계이고, 네 번째 단계는 민족주의와 세계화가 함께 추구되는 단계, 그리고 마지막 단계는 얼스터 사태 때문에 민족주의가 강화됨과 아울러 유럽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보편적 다원성 역시 확장되는 시기다. 그런데 예이츠는 두 번째 단계에 속하고 히니는 마지막 시기의 특성을 나타낸다. 히니의 중기 이후의 시들은 히니 자신 몰두 에서 밝힌 것처럼 예이츠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 두 작가는 그들의 국토와 전통에 애착을 나타낸 민족작가로서의 역할과 정치성을 벗어나려 했던 면에서도 공통점을 보였지만 이들에게는 많은 차이점이 드러난다. 이 들의 차이점은 국토를 다루는 시를 살펴보거나 아일랜드 문학의 특성을 논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역사와 국가, 언어, 문화에 대한 두 작가의 해석을 고찰하면 잘 나타난다. 예이츠는 보라빛 환상의 국토를 그린 반면 히니는 검은빛의 상실되고 착취 된 국토를 그렸다. 역사적 폭력에 대해 예이츠의 해석은 매우 개인적인 정서를 노출시킨 반면 히니는 착취의 역사와 영국인이 강요했던 나약한 아이의 이미지로부터 벗어나려는 사실적, 공격적 시각을 노출한다. 예이츠의 시학은 빅토리아 속물주의를 공격한 19세기 심미주의의 전통을 따르 며 영국적 가치를 들어낸 반면 히니의 시학은 조이스식의 새로운 양심 창조라는 민족주의와 페트릭 카바나흐식의 지역주의, 아일랜드 공화주의와 역사적 사실주의 의 색깔을 표방하고 있다. 예이츠 하면 ‘귀족’, ‘big house’ 등을 연상하게 되고 히니하면 ‘방랑자’, ‘폐허’ 를 떠올리게 된다. 결국 이 두 작가의 큰 차이는 앵글로 아이리시와 카톨릭, 켈트 라는 인종, 정치, 종교적 차이에 따른 것이고 이 두 작가는 현대 아일랜드 문화의 두 개의 주요한 조류를 대변했다. 그러나 예이츠, 히니로 대변되는 두 문학 조류는 그 차이에도 불구하고 탈영국 화와 아일랜드 문학의 세계화에 공헌했다. 예이츠의 시학은 보편성을 띤 개인적 문체로써 히니의 시학은 중심과 전통추구, 영국적 가치에 대한 저항과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을 나타냄으로써 탈영국화와 세계화에 공헌했다.
        4,600원
        28.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Yeats와 Derek Walcott의 시들을 전통적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여기서 전통이라고 하는 것은 다름 아닌 영문학을 뜻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이 두 시인은 “외국어”인 영어로 시를 썼고, 그들의 시가 영국과 미국의 시와는 다르게 쓰여질 수밖에 없다. 이들은 영문학의 전통을 깊이까지 들어가 이해하고 자신들의 시에 가장 잘 활용한 시인들이라 할 수 있다. Yeats는 신화적 요소와 전통적인 정형적 형식미에서 시의 완성을 추구했고, Walcott은 자신의 배경과 환경을 가장 전통적인 영문학을 통해서 시적 표현 수단으로 변용 시키는 데에 성공한 시인이다. 이들 두 시인들의 대표적 시 몇 편을 검토함으로써 전통은 새로운 시학의 개척에 부담은 될 수 있어도, 방해는 될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이들의 예는 21세기의 시의 진행 방향을 예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도 좋을 것이다.
        5,800원
        29.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다 풍요하고 진실된 예이츠 시 원전 연구를 위한 방법론 개발의 한 일환으로서 시학 설정을 통한 비교연구를 시도하였다. 시학이 시문학 비평의 일반적 원칙을 설정하는 작업이라고 할 때, 예이츠 시와 동양시학을 비교연구 하면서 상호공통점과 그 성격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선시적 직관적 이해를 중시하면서, 예이츠의 시적 특성을 몇가지 측면에서 정리할 수 있었다. 우선 그의 아일랜드 특성과 동양적, 더 나아가 한국적 정서의 공통성을 이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감정의 승화과정이 동양적 공통성을 보이며, 한국의 한(恨)과도 유사한 감성 형태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그의 시는 드라마 중심보다는 서정시 중심의 표현 형태를 가지며, 그의 시성향은 자기 승화적인 점진적, 발전적, 긍정적 성향을 보이며, 영적 성장의 최후단계에서만 약간 망설이는 정신성이 발견된다. 또 그의 시는 언어중심보다는 총체적 상황(Context) 중심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의 시는 동양시처럼 전거적(典據的)이기보다는 개인 창조력 중심의 시성이 강하다. 그의 시는 계량적 요소(시형론, 음운 등)보다는 내용적 요소가 중시되어야 한다. 이렇게 잠정적으로 설정된 예이츠 시학의 틀로서 “내전 시대의 명상시(Meditations in Time of Civil War)”의 일곱 번째 시, “나는 증오와 충심(充心) 그리고 무심(無心)의 환영을 보노라(I see Phantoms of Hatred and of the Heart’s Fullness and of the Coming Emptiness)”를 보편적, 비교문학적 해석으로 적용해보았다.
        6,3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