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육실조건(, 광주기 16L:8D, 상대습도 60%)에서 조사된 담배나방(Heliothis assclta Gueness)의 우화, 교미 및 산란의 행동과 일일리듬은 다음과 같다. 불꺼진 후 3시나 이내에 75% 이상이 우화하였으며, 우화된 날개확장과 경화까지는 약 33분이 소요되었다. 성충 수컷은 교미때까지 촉각 운동, 날개 진동, hairpencils확장 , 암컷 산란관 두드림등 일련의 행동을 보였으나, 암컷은 복부끝의 수죽과 이완, 날개 진동 등의 다소 단순한 행동을 보였다. 모든 교미는 암기간 전반기에 주로 일어났으며, 불꺼진 2시간 전후에서 최대 피크를 보였으나, 처녀 암컷의 경우 연령증가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교미율은 24시간된 미교미암컷에 가장 높았으며,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되는데 같은 경향이 미교미수컷에서도 나타났다. 교미지속기단은 평균 14분이었다. 산란 역시 암기간 전체를 통하여 일어났지만, 불꺼진 후 2시간 이내에 최적 피크를 보였으며, 산란수는 교미후 3일에서 가장 많았다. 교미율, 산란수, 수명은 성비에 따라 달랐으며, 교미한 성충의 수명이 교미하지 않은 것보다 더 짧았다.
        4,000원
        22.
        198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품종에 대한 가해능력을 달리하는 벼멸구 생태형의 저항성품종에서의 우화율 유전양상을 분석하고자 실내에서 저항성 품종(Mudgo, ASD 7)을 식이로 이대사육해 인위적으로 유발시킨 유발생태형 2 및 3과 기존생태형 1 사이의 상호 정역교배를 실시하여 및 의 각세대 령 약충을 공시품종인 Mudgo, ASD 7 엽기 유묘에 접종하여 그 우화율을 조사하였다. 우화율에 대한 유전분석 결과, Mudgo에서의 생태형 2와 생태형 1사이의 조합에서는 생태형 2가 불완전 우성의 단일유전자 ASD 7에서의 생태형 3과 생태형 1 사이의 조합에서는 생태형 3이 불완전열성의 단일 유전자에 의해 우화율이 지배되며, 생태형 2와 생태형 3의 대립관계는 불명확하였다.
        4,000원
        23.
        197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본 실험은 몇가지 우화기구를 사용하여 기구형에 따른 우화상내 온도변화가 솔잎혹파리의 우화소장에 미치는 영향 및 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온도변화와 우화소장간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하여 각처리별 우화소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화기구별 상내 최고온도는 현저한 차리를 나타내어 대조구에 비하여 Vinyl형은 월평균 가 높았고 다른 처리구에 있어서도 가 높았는데 다른 처리구에 있어서도 가 높았는데 표준형의 순이었다. 2) 처리별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최저온도분포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Vinyl형 처리구에서는 우화최성일이 5월 15로 대조구에 비하여 20일 앞당겨했고 표준형구와 Cage-50구도 14일 빨라졌다. 4) Funnel형 처리구에 있어서는 최고온도 및 적산온도의 분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우화최성일은 6일이 지연되었다. 5) 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온도처리효과는 12월중순과 3월중순의 최고온도의 상승이 우화최성일을 앞당기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24.
        202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d to standardize the time of emergence of Protaetia brevitarsis adults, through four breeding experiments, including one which selected the dominant individuals of Protaetia brevitarsis. The breeding experim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hibernating and non-hibernating Protaetia brevitarsis by placing 100, 150, 200, 250 and 300 Protaetia brevitarsis in each breeding box (50 cm × 35 cm × 15 cm) filled with 12 L of fermented sawdust. Breeding tests were with four replicates each for 3 months. The test period was classified into four stages: Exp. 1 (Sep 1, 2019 to Nov 30, 2019), Exp. 2 (Dec 1, 2019 to Feb 29, 2020), Exp. 3 (Mar 1, 2019 to May 31, 2020) and Exp. 4 (Jun 1, 2020 to Aug 31, 2020). The survey items included average dead number, average emergence number, average mortality, and average emergence rate. In Exp. 1 and 2, the changes in Protaetia brevitarsis adults were similar. In Tables 1 and 2, the allegorical changes of adult white-spotted flowers were similar. In addition, the average dead number, average emergence number, average mortality, and average emergence rate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hibernation state than in both Exp. 1 and 2. Exp. 3 and 4 showed a pattern of chang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Exp. 1 and 2 and these characteristics were superior in the hibernation states compared to the non-hibernation states. In conclusion, this result was found to be most appropriate as a standardization of the emergence time of 200 Protaetia brevitarsis treatments through four breeding experiments in the hibernating state.
        25.
        202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after emergence as adults from the larva collected from three regions in Gangwon-do, Chungcheongnam-do, and Jeju-do. The laying egg method was identified with zone breeding, and the average and cumulative number of eggs laid were measured once a week for seven weeks. The average number of eggs laid peaked until 4 weeks, and subsequently decreased. The source areas with respect to average number and cumulative number of eggs laid were in the order of Jeju > Chungnam > Gangwon.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a method for continuously improving management and economic feasibility of insect farming by securing genetic diversity, and raising the most productive breeds to select individuals form regions associated with high numbers of laid eggs.
        26.
        198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이화명충에 대한 경종적 방제법 확립의 가능성 검토의 일환으로서 합리적 시비가 이화명충 발육과 생존.피해 및 우화억제 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아끼바레와 밀양 2003를 공시하여 규산과 질소의 시비수준을 달리한 Pot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화기의 유충체중.유충생존율ㆍ피해 등은 밀양 2003에서 아끼바레보다 모두 높았다. 그러나 규산ㆍ질소처리수준간에는 그 차가 인정되지 않았고 우화율은 품종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규산 수준간의 차이도 인정되었다. 2. 2화기의 유충체중은 아끼바레에서 밀양 2003보다 낮았으며 높은 질소수준에서 높았고, 품종과 규산수준 및 질소 및 규산 수준간의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다. 3. 2화기 유충의 생존율은 아끼바레가 낮았고 규산시용량을 증가시킬수록 낮아졌으며 경의 규질비와 유충생존율과의 사이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백수피해는 품종간의 차이보다 규산시용수준간의 차이가 더 컸지만 아끼바레에서 그리고 규산시용량이 많은 구에서 피해가 적었다. 경의 규산비와 백수율과의 상관관계는 두 품종 모두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5. 월동유충의 우화율은 규산시용수준간의 차이가 품종간의 차이보다 월등히 높았는데 밀양2003보 아끼바레에서 낮았고, 규산시용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규산비의 우화율과의 사이에는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규산을 시용치 않은 질소 20kg/10a구에서 우화율은 급격히 높아졌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