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21.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높은 팀워크 수준이 요구되는 농구경기에서 팀워크의 개념구조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적용이 가능한 팀워크 지각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농구경기의 팀워크 개념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아마추어 농구선수 5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3명의 남녀 현직 지도자 및 선수출신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훈련 팀워크, 시합 팀워크, 대인관계 및 단체생활, 리더 영향력의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귀납적 내용분석을 바탕으로 총 58문항의 농구경기의 팀워크 지각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8개 팀 99명의 아마추어 남녀 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에서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 결과, 총 58문항 중에서 10문항이 삭제되고 48문항이 선별되었다. 예비조사 결과에 의해 본 조사에서는 48문항에 대한 적합한 요인모델을 추출하기 위해 24개 팀 남녀 아마추어 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28문항이 삭제되고 4요인 20문항이 추출되었다. 구체적으로 평등지도요인, 단결요인, 동료애 요인, 지도자 노력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추출된 4요인 20문항에 대하여 요인모델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27개 팀 남녀 아마추어 농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문항이 삭제되어 4요인 17문항의 최종 척도가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평등지도 요인 3문항, 단결요인 7문항, 동료애 요인 3문항, 지도자 노력요인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개발된 척도에 대해 내적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다특성-다방법(MTMM)기법을 활용하여 척도의 수렴, 판별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외적 타당도가 부분 입증되었다.
        22.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Vallerand(1997)의 내외적동기의 위계 모형에 기초하여 고교 축구선수들이 지각하는 자율성과 유능성이 내외 동기수준과 노력에 어떤 영향을 주며, 이들 세변인 간의 인과적 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축구선수 225명이 자율성과 유능성, 내외적 동기수준 및 노력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에 반응하였으며, 반응치는 SPSS 11.5와 AMOS 4.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 분석과 상관 분석 및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변인 간 구조적 관계 모형의 검증에서 자율성과 유능성 지각이 내외적 동기수준의 매개 효과를 통해 노력 행동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제안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둘째, 구조모형에 포함된 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고려할 때, 자율성은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는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무동기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유능성은 외적동기에, 내적동기는 노력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동기적 특성을 이해하고, Vallerand가 제안한 동기 모형의 문화적 타당성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23.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n effort to pave the way to understanding the syntax of the Participial Perception Verb Complements(PPVCs) in English, this paper examines various syntactic phenomena of PPVSs in light of generative grammar. By making three proposals on syntactic grounds, the parer resolves problems and answers questions surrounding the constituency, category and internal structure of PPVCs and case checking of the overt subject DP in the position right behind the perception verb. The advanced proposals are as follows: (a) PPVCs are single constituents with both nominal and clausal properties; (b) PPVCs are categorically TPs dominated by DPs in Davies and Dubinsky`s (1999) sense; (c) along the minimalist lines suggested in Chomsky (2000, 2001), the overt subject DP of PPVCs has its [-interpretable] case feature checked against the matrix perception verb as in the typical ECM construction.
        24.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PSPP)은 4개의 하위변인(스포츠 유능감, 신체적 컨디션, 매력적 몸매, 신체적 강인성)과 자기-존중감을 중재하는 1개의 상위변인(신체적 자기-가치)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행동(재저사이즈)을 기저변인으로 포함시킨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의 위계적 구조모델(EPSPP)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EPSPP 모델은 재저사이즈 참여가 PSPP 하위변인들에 영향을 미치고, 신체적 자기-가치는 PSPP 하위변인들과 자기-존중감의 중재요인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나아가, 재저사이즈가 신체적 자기가치에 직접적으로 연관되고, PSPP 하위변인들이 자기-존중감을 직접적으로 예언한다는 대안적 모델이 수립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자들은 322명(M=27.7)의 여성 재저사이즈 참여자들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신체적 자기-지각 및 자기-존중감 그리고 운동 행동 수준은 일련의 질문지들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EPSPP 모델이 대안적 모델보다 더욱 적합한 모델지수들을 보이고 있으며, EPSPP 모델의 변인 간 행로계수들은 모두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좀 구체적으로, 이 모델에서 재저사이즈 행동은 신체적 컨디션과 강인성에 강력한 예언력을 보이고 있는 반면, 매력적 몸매와 스포츠 유능감과는 미약한 인과관계를 갖고 있었다. PSPP 하위변인 중에서 매력적 몸매는 신체적 가치를 가장 강력하게 예언하였다. 재저사이즈 참여자들은 실제 자신들의 몸매에 그다지 만족하고 있지 않으나, 매력적 몸매를 가장 중요한 신체개념으로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신체적 자기-시스템의 이론적 기틀과 운동참여 연구의 실증적 관점을 통하여 논의되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