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1.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ttempt to analyze for 4 compounds (MEK, MIBK, n-Butyl acetate, i-Butyl alcohol) in ambient air using on-line thermal desorber (on-line TD) with gas chromatograph/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These compounds will be regulated by KMO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ithin 2010. We tested two different experimentation. First, we try to find the influence of Nafion dryer for the 4 compounds. Second, we want to know basic analytical characteristic of target compounds through the linearity, reproducibility, and minimum detection limit. According to this study, target compounds are removed in Nafion dryer more than 80 percent, respectively. So, we progressed next experimentation progressed without Nafion dryer using hydrophobic cold trap. Results for each compounds showed good linearity (r²=0.99 upper) and good precision (RSD=1 % below). In additional, we analyzed the ozone precusors standard gas (56 compounds) using the same method to see if there are any peaks to be overlapped in ambient air.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no peak overlapped. This means that analytical system of this study could be used on-line analytical system. Minimum detection limit (MDL) value for this system are less than minimum malodor threshold concentration.
        4,000원
        22.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중부내륙 고속도로 시험도로(test road)에는 환경하중에 대한 도로 포장체의 환경적인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져진 노상토에 WCR형태의 함수량계로 측정되는 체적 함수량이 현장 밀도의 영향등으로 부정확하게 예측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흙의 특성과 현장 밀도를 고려하여 현장에 적합한 함수량 보정을 실내 및 현장시험을 각각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보정방정식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보정된 함수량은 현장의 측정치에 근접하게 판명되었다. 따라서 WCR을 활용하여 다짐된 노상토 지반의 체적 함수량을 측정시 사용된 흙의 종류 및 다짐조건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4,500원
        23.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2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door thermal conductivity test, unfrozen water test, and freezing pressure test were conducted on soil mixed with waste vinyl aggregate (PE aggregate). Consequently, lower thermal conductivity, less unfrozen water, and lower freezing pressure resulted from higher PE aggregate mixing ratios. Furthermore, the plate loading test and frost penetration depth test were conducted on field model road with a sub-base of PE aggregate and crushed stone. As a result, the bearing capacity of the road mixed with 10% PE aggregate exceeded the requirement, whereas frost penetration depth was reduced by 39% compared to that of using crushed stone only.
        26.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ansport of bed load and suspended particle in coastal waters is main factor causing change in shoreline, and effective measurement method and appropriate equipment is required. To measure bed load and suspended particle transport an equipment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and it was applied in the field. The equipment consists of four main elements, body supporter, bed load and suspended particle sampler, sampler support and lock. Eight samplers were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each supporter, and each sample is a 45-degree intervals. The field experiment was done once along Gyeongpo beach in August 2013. This note described the design and function of the equipment and results of field experiments.
        2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논산천 유역의 중소하천을 대상으로 평·갈수기와 홍수기로 구분하여 현장에서 유량 및 부유사량을 실측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평·갈수기의 유량과 부유사량 측정에는 프로펠러형 유속계 및 DH-48 수심 적분형 부유사 채취기를 사용하였고, 홍수기에는 전자파 표면 유속계 및 D-74 채취기를 각각 사용하였다. 이들 측정은 논산천 유역 내 4개의 중소하천 7개 측점에서 2012년 8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이루어졌고, 측정 자료 분석결과는 멱법칙의 유량-부유사량 관계식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수공 실무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28.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개별 매립지의 매립가스 발생량을 추정을 위해 폐기물의 분해를 일차분해반응으로 가정한 수학적 model들인 Scholl Canyon model, Palos Verdes model, Sheldon Arleta model과 IPCC GL 그리고 EPA의 LAEEM(Landfill Air Emissions Estimation Mode)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차분해 model을 이용한 온실가스 발생량의 추정은 매립된 폐기물의 양 및 조성, 매립시기와 경과시간 등의 기초자료, 폐기물의 메탄최대발생량(L0)와 메탄발생속도계수(k)를 사용되기 때문에 온실가스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보다 적절한 값이 선정되어야 한다. 현재 선진국들은 매립지 특성을 반영한 메탄발생속도상수(k)를 제시하고 있으나 국내에의 경우 이러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중인 2곳(H, Y 매립지)의 소규모 매립장에 대한 매립지 특성 자료수집과 현장측정을 통해 2006 IPCC FOD방법의 입력변수로 사용되는 메탄발생속도 상수(k)를 산출하여 보았으며, 또한 이 결과를 default valus 적용한 2006 IPCC GL의 FOD방법에 의한 메탄 배출량 산정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2006 IPCC GL에 제시된 FOD방법의 메탄 배출량 산정식을 이용한 k값 산정 결과, H 매립지의 산정된 평균 k값은 0.0413 yr-1, Y 매립지의 산정된 평균 k값은 0.0117 yr-1로 나타나 IPCC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기본값이 0.09 yr-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현장측정에 의해 산출된 k값들과 2006 IPCC GL의 default value을 이용하여 H, Y매립장에 대하여 메탄가스 배출량을 비교해본 결과, H매립지(1994년~2012년)와 Y매립장의 메탄가스 총배출량이 현장측정에 비하여 492.7%와 166.5%나 과다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예측을 위해서는 각각의 매립지별 현장 측정을 통한 고유의 k값 결정을 통한 산정이 진행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0.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로의 발달과 교통량의 증가에 따라 도로교통소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도로변 소음피해에 대한 민원 또한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도로교통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저소음 포장과 방음벽, 방음터널과 같은 방음시설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소음 저감방안의 소음 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소음 측정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여건을 고려한 소음 측정방법에 따른 소음 측정결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소음 측정기를 지면에 고정시키고 소음을 측정하는 고정식 측정방법(CPB(Controlled Pass-by Method))과 소음 측정기를 차량에 부착하고 주행하면서 소음을 측정하는 이동식 측정방법(CPX(Close Proximity Method))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 고정식 측정방법의 경우 측정장소의 현장여건에 따라 소음 측정기의 설치 높이와 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한다면 소음 저감효과 비교 분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변소음에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식 측정방법의 경우 마이크로폰의 설치 위치에 따라 측정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마이크로폰 위치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