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1.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표면매립공법으로 매립한 철계-형상기억합금으로 보강한 보의 휨 거동을 장기 하중 재하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철계-형상기억 합금 길이대비 2%와 4%의 사전변형 및 형상기억효과 활성화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하중 도입을 실험변수로 설정하였다. 1 tonf의 콘크리트 추를 보 중앙에 거치한 후 6개월간의 보 중앙부의 장기 처짐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철계-형상기억합금으로 보강한 보의 휨 강성이 증대되었으며, 사전변형이 증가할수록 보강재의 강성감소로 인한 처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스트레스 하중 도입에 따른 처짐을 비교했을 때, 프리스트레스 하중을 도입하지 않은 실험체에 비해, 프리스트레스 하중을 도입한 실험체는 약 30%의 처짐 감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2.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s a prestressing effect of reinforced concrete (RC) beam strengthened with a pre-strained iron shape-memory alloy (Fe-SMA) strip. A pre-strained value was chosen as experimental variable to investigated the prestressing effect on the RC beams. A recovery stress on the pre-strained Fe-SMA strip occurred by heating, when the deformation of the strip was restricted. The recovery stress introduced a compressive force to the surrounding concrete, resuting in the upward deflection (camber effect). With this finiding from experimental tes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Fe-SMA strip can be used as the strengthening material to strengthen the damaged structure and to increase its durability.
        23.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은 재료의 특성상 지진과 같은 횡력에 취약하지만, 국내에는 여전히 많은 조적조 건물이 존재한다. 특히 현재 남아있는 조적조 건축물의 대부분이 20년 이상 노후화됨에 따라 재해감소를 위한 경제성 있는 보강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 한 노후 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법의 하나로 접착형 보강재를 활용한 조적벽체의 외부 보강법을 제시하였으며, 보강효과 검증을 위해 총 6개 의 실험체를 형상비(L/H=1.0, 1.3, 2.0)를 변수로 제작하여 정적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보강전·후 조적벽체는 강체회전 및 미끄러 짐에 의해 파괴가 발생하였고, 접착형 보강재 부착후 벽체의 최대내력, 최대변위, 소산에너지량은 증가하여 우수한 보강효과를 확인하였다. 또 한 기존 유리섬유를 활용한 증가된 전단강도식에 착안하여 비보강 조적벽체에 대한 접착형 보강재의 설계안을 도출하여 적용을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였다.
        24.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vides the flexural test result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 prisms with different aspect ratios of steel fibers (60 and 67). All mixtures have specific compressive strength of 40 MPa and steel fiber volume fraction of 0.75%. According to ASTM C 1609 and EN-14651, SFRC prisms with 150×150×550 mm were made and tested under bending loading.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aspect ratio of hooked-end steel fibers has insignificant effect on the first-cracking strength and flexural behavior of SFRC prisms.
        25.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vides the flexural test result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 prisms with different aspect ratios of steel fibers (60 and 67). All mixtures have specific compressive strength of 40 MPa and steel fiber volume fraction of 0.75%. According to ASTM C 1609 and EN-14651, SFRC prisms with 150×150×550 mm were made and tested under bending loading.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aspect ratio of hooked-end steel fibers has insignificant effect on the first-cracking strength and flexural behavior of SFRC prisms.
        26.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rear failur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considering projectile type was evaluated. It was considered that scabbing of Flat nose projectile reduced more than sperical nose projectile by dispersion of impact force.
        2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FRP로 보강된 장방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구속효과에 미치는 형상계수의 영향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Lam and Teng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FRP 종류를 구분하고, 단면형태에 따라 총 150여개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면의 형상계수가 구속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RP로 보강된 장방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보강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기둥에 비하여 구속효과가 28%에서 67%까지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정방형 형태는 장방형 형태에 비하여 약 20% 정도 증가되는 구속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FRP 보강에 대한 구속효과 산정식은 매우 복잡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실무에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속효과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28.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mpact of high-velocity projectile by mixing steel fiber, polyamide, nylon, polyethylene fiber which have different shape and properties respectively. Scabbing is restrained because of micro-crack caused by the shock wave offset effect and energy dispersive of synthetic fibers are mixed populations.
        2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섬유종류에 따른 인발특성과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특성에 대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섬유의 재질 및 형상 다른 후크형강섬유, 비정질 강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에 대하여 인발시험과 섬유보강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여 휨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후크형 강섬유의 경우 최대인발하중에서 섬유가 매트릭스로부터 인발되었지만, 비정질 강섬유는 섬유와 매트릭스의 부착강도가 섬유자체의인장강도보다 높아 섬유가 매트릭스로부터 인발되지 않고 파괴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폴리아미드 섬유는 연신율에 의해 최대인발하중까지 변위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최대하중이후에 섬유가 끊어지는 파괴특성을 나타내었다.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특성에 있어서 비정질 강섬유는 매트릭스와의 부착강도가 높고, 섬유의 혼입개체수가 많아 콘크리트의 최대휨강도는 높았지만, 균열발생 이후 섬유가 매트릭스로부터 인발되지 않고 섬유가 파괴되는 것에 의해 응력의 저하가 급격하게 발생하지만, 후크형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는 균열발생 이후 섬유가 인발되면서 응력의 저하가 완만하게 발생하였다. 폴리아미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균열발생이후 섬유의 연신률에 의해 응력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구간이 발생하였으며, 섬유와 매트릭스의 부착에 의해 재상승하였다가 섬유가 끊어지면서 파괴되었다. 섬유와 매트릭스의 인발특성은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강도 및 변형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0.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 this study, the laboratory model test is a soil tanker to be contained with clay and grid form improved soil, the test model is conducted in total 9case with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improved soil and replacement ratio of improved soil. Numerical analysis for variation of stress distribution ratio with depth is performed in the same conditions which are the laboratory model test. As a result, stress distribution ratios in mid and high replacement ratio are increasing and settlement is decreasing, except low replacement ratio. This study is presented for form effect ratio and settlement reduction factor with change of structure form, it is able to be helpful in further research and reference for change of structural forms at composite ground.
        3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 is a peninsula which has a lot of soft ground including coastal areas. This soft ground is consisted of clay or silt and it generally has features of high compressibility. Therefore, in order to build a structure, high compressibility ground is needed carrying out ground improvement using deep cement-mixing method. As a Fig 1, this study is evaluated for the applicability of which are load sharing ratio, stress distribution ratio, pore water pressure and settlement with grid structure form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