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iant embryo(ge) mutation was genetically mapped to chromosome 7 by Koh et al. The ge mutations were analyzed at the morphologic and genetic level by Hong et al. And this publication linked the GE gene as being required for proper endosperm development. Researchers in Dupont cloned the GE gene, sequenced and characterized the ge alleles of the mutants. the three giant embryo mutant lines we obtained by treating MNU to Hwacheongbyeo, a japonica type Korean rice cultivar, differed in their embryo and endosperm size and their embryo/endosperm ratios. We named these alleles affecting the embryo size in rice GE, ge-m, ge, ge-s (GE: the wild type, ge-m: embryo slightly larger than in the wild type, ge: large embryo, ge-s: embryo even larger than in ge). The ORFs and introns of the four different alleles in the GE locus were sequenced and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sequences in the patent that dupont presented. Each mutant alleles sequence showed a few SNPs in the ORF region. Two SNPs were shared among the three mutant lines and each mutant line hab one or two additional SNPs. Further studies are in progress regarding the GE RNA expression level in each mutant line and the F1 seed phenotypes and allelism relationship among the mutant lines.
        22.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attempt was made to link rice embryo proteins to DNA sequences and to understand their functions. One hundred of the 700 spots detected on the embryo 2-DE gels were microsequenced. Of these, 28% of the embryo proteins were matched to DNA sequences with known functions, but 72% of the proteins were unknown in functions as previously reported (Woo et al. 2002). In addition, twenty-four protein spots with 100% of homology and nine with over 80% were matched to ESTs (expressed sequence tags) after expanding the amino acid sequences of the protein spots by Database searches using the available rice EST databases at the NCBI (http://www/ncbi.nlm.nih.gov/) and DDBJ (http://www.ddbj.nig.ac.jp/). The chromosomal location of some proteins were also obtained from the rice genetic map provided by Japanese Rice Genome Research Program (http://rgp.dna.affrc.go.jp). The DNA sequence databases including EST have been reported for rice (Oryza sativa L.) now provides whole or partial gene sequence, and recent advances in protein characterization allow the linking proteins to DNA sequences in the functional analysis. This work shows that proteome analysis could be a useful tool strategy to link sequence information and to functional genomics.
        25.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three embryo size mutants types (giant embryo; ge, reduced embryo; re, embryoless; eml) and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the genes controlling ge, re and eml genotypes. Difference of grain type and grain size in
        26.
        2002.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experiment, three kinds of mutations(ge, re, and eml )relating to the size of embryos were used to study their generation, genetic mechanism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mbryo and endosperm were also examined. Giant embryo mutation comprises 7 kinds including the already isolated ge, and ge-2, which share an identical gene site. The SAM and the size of radicule for the ge showed little difference compared to a normal type. The number of embryo cells did not increased as much as it would affect the size of embryo. Therefore, the enlargement of embryo was due to the enlargement of scutellum that originated from the corpulence of each cell. Both F1' s of re ]and odm 49 formed reduce embryos, and other combinations of hybridization showed all wild type of embryo sizes. Accordingly, the odm 49 must have an identical gene site of re 1, while odm 48 and odm 62 have different gene sites. Their shoots and radicules also shrank by the same ratio, however no sign of physical change was noticed. The size of embryo cell showed no change, while the number of cells was the half of that of wild types. The three gene sites of re represent all of them control the size of the entire embryo forming organs. The eml 1 was defined to have temperature sensibilities that the generation of endosperms was active at a high temperature while that was hampered at a low temperature.
        28.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bryo and endosperm weight and with seedling emergence rate in submerged soil at 18℃ in germination chamber using 214 rice varieties of various origin from South and North Korea, IRRI, China, a
        32.
        199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청벼 에서 유기된 초거대배 돌연변리계통을 육성하고 그의 미립 외형특성, 단백질함량 및 아미노산 조성, 지질함량 및 지방산 조성, 비타민 함량등의 영양특성 및 작물학적 특성을 원품종과 대비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거대배 변리계통의 현미 외형크기는 원품종과 차이가 없었으나, 1000립중은 원품종의 74.5%이었고, 1립당 배의 크기는 건물중으로 322%이었다. 2. 현미의 단백질함량은 8.99%로 화청벼의 7.39%에 비해 높았고, 저장단백질의 조성은 차이가 없었다. 아미노산조성에서는 현미 전체로 볼 때 lysine 함량이 월등히 증대되었고, methionine, serine, ,tyrosine 함량이 다소 감소되었다. 3. 현미의 지질함량은 5.7%로 원품종의 3.8%에 비해 1.5배 증가하였다. 지방산 중 팔미틴 산 함량은 증가하였고, 리놀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4. 배의 비타민 B1,B2 , niacin함량에서 초거대배미와 원품종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α-tocopherol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현미 전체로 보면B1,B2 , α-tocopherol 함량이 월등히 증가하였다. 5. 초거대배미는 고영양미로서의 이용가치가 클것으로 판단되었다. 6. 초거대배 변이계통(M4)들의 정조수량은 원품종인 화청벼(556kg/10a)에 비해 69.2~78.8% 정도이었다. 생육형질의 변이계수로 보아 대부분 계통들이 고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33.
        199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양가가 높은 쌀을 생산 보급하여 국민건강증진을 도모코저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19개 품종을 대상으로 일반도정법으로 10분도로 도정한 후 배아보존율이 높은 오봉벼를 선택하여 외형, 영양가 및 동물 사육효과를 조사 비교하였던 바 오봉벼의 배아보존율은 96.7%였으며, 외형은 전형적인 일본형에 속하였다. 조사 된 모든 영양성분은 낙동벼 보다 오봉벼가 높았으며, 특히 비타민 B1 과 Niacin은 낙동벼가 각각 0.14 및 1.9mg%인데 비하여 오봉벼가 0.31 및 3.0mg%로 1.5배정도 높았다. 그리고 쥐 사육효과도 증체율과 사료효과에서 낙동벼는 각각 101 및 l25%이며. 오봉벼는 각각 107 및 172% 로 오봉벼가 낙동벼 보다 높았다. 또한 식미도 색을 제외하고 맛, 냄새 및 끈기는 오봉벼가 낙동벼 보다 높았다.
        34.
        199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청벼와 IR24의 수정란에 N-methyl-N-nitros-ourea(MNU)를 처리하여 여러 종류의 배란 및 배 돌연변이체를 유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변이체들에 대한 외관특성, SEM 검경 특성 및 amylose 함량 분석을 통하여 각각 dull, 찰성, 심백, 분질, sugary, shrunken, 유색종피 변이체들로 명명하였다. 2. 변이체들 중에서는 심백 변이체들의 비율이 74.8%로 가장 높았다. 3. 47320(dull)을 제외한 모든 변이 형질은 단순열성 돌연변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35.
        197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팔굉, 노풍, TN1 3품종을 공시하여 20℃ 하에서 인공수분하여 수정과정을 조사하고, 상기 3품종외 이외326, 밀양29, 수원264등 9개품종을 일반포장에서 이앙기를 달리하여 감戮수분열과 등숙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단음과 같다. 1 팔굉은 30℃ 하에서는 수분후 1시간30분에서 4시간후에, 20℃ 하에서는 2시간30분에서 4시간30분후에 수정이 된다. 2. 노풍과 TN1은 30℃ 하에서는 2시간에서 5시간30분후에, 20℃ 하에서는 수분후 3시간에서 6시간후에 수정이 된바. 3. 저온인 20℃ 하에서는 수정률이 저하하고, 특히 TN1에서는 극핵과 정핵 또는 난세포와 청핵의 수정이 거의 동시에 되는 것과 어느 한편만 수정이 되는 때도 있다. 4. 조발육에 있어서는 20℃ 하에서는 팔굉이 빠른 것 같고, 30℃ 하에서는TN1이 빠른 것 같다. 5. 팔굉은 이앙기가 늦어도 감수분열에 이상이 없이 정상화분립을 형성하나, TN1은 감수분열에 이상이 있어 불념화분립수가 많아진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