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21.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alcohol fermentation ability and saccharification of potatoes and sweet potatoes. Cooperated with ultrasonification process is not contain pass through cook process, but contain process using ulrasonification instead cook process. In result of sugar contents measurements sweet potato and potato was highest of a family at 6 hours fermentation, and it showed the highest sugar contents as each 11.5 brix, 10.4 brix. In result of alcohol contents measurements of sweet potato and potato, highest of a family in 4 days, and it showed th highest alcohol contents as each 8.2, 6.0%. Finally complex enzymes II process revealed similar activities like cook process.
        22.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quential passes through columns were used to select phages that displays ligands for dextran (-1,6 linked linear chains) from a phage antibody library. Those phages that bound to the in each iteration were replicated in E. coli. A phage preparation isolated on the third round selection produced 5.4 nephelos turbidity units (NTU) in a dextran specific immunonephelometric assay, a 2.2 fold higher value than the phage preparation from the first round selection. This phage gave normalized intensity (N.I.) in a dip-stick assay against high molecular size dextran (T2000, 30\;{\pm}\;610^4\beta-galactosidase linked assay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2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러 가지 추출조건을 통해 얻은 오미자 추출물과 전통발효공정을 통해 얻은 오미자 발효액의 면역증진 활성을 비교하였다. 오미자 발효액이 B cell과 T cell에서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30%와 22%이상의 수치를 나타내며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B, T cell의 cytokine 분비량 측정을 통한 실험에서도 오미자의 전통발효액이 생육증진과 유의적으로 가장 많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를 이용한 NO- 생성능 측정에서 오미자 발효액 및 추출물의 활성이 LPS와 비교해 비슷하거나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료를 LPS와 같이 첨가하였을 때 시료만을 첨가했을 때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농도에 따른 유의적 활성 증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NK cell의 활성측정에서 모든 시료 조건에서 6일 동안 생육이 증가하였으며 오미자 발효액을 첨가한 것이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1.4배의 생육도 증진을 나타내어 1.2배의 생육도 증진을 보인 100˚C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물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PLC를 이용한 추출물들의 성분 분석에서 전통발효 공정을 통해 추출공정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특정 성분의 생성 및 기존 성분의 용출 증진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면역활성의 증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오미자는 면역활성을 가지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전통발효 공정을 통해 생성되는 대사산물이 면역실험에서 유효활성 증진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통발효 공정을 통해 생성된 성분의 활성으로 세포독성이 감소하고 세포활성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결과는 기존에 면역활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초음파병행 공정 보다 높은 증진 효과로 전통발효 공정 및 활성성분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4.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청도 지방에서 유래하는 인삼박을 첨가한 약주의 특성 및 개발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pH는 A, B, C 모두 2단 담금 직후 감소하였다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산도는 발효중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누룩과 조효소제 및 분말효모를 사용한 A에서 발효 4일째 pH 7.05, 산도 0.84로 가장 높았다. 알콜함량은 발효 4일째에 배양효모를 이용한 B(21.0%) 와 C(20.4%)가 분말효모를 이용한 A(19.0%)보다 높았다. 또한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