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21.
        201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양만의 해수유동의 계절별 특성을 현장관측과 3차원 수치모델(EFDC)을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광양만 해수유동 특성은 전반적으로 섬진강 유출량의 계절적 변동, 해수유동구조 및 온배수 등에 의해 복잡한 형태를 보이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들 자료는 광양만 선박 안전 및 섬진강 하구역 관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000원
        2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sheep fescue 70%와 야생화 30%의 파종비율로 조성한 야생화초지의 생육특성, 계절분포 및 식생비율을 구명하고자 충남대학교 내 초지시험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공시초종은 기본초종인 잔디형 목초로 sheep fescue (Azure)와 국내산 야생화 4종과 외국산 야생화 29종 등 총 33종을 공시하였다. 1년차(2008) 야생화의 개화당시의 평균초장은 1년차 29.9 cm, 2년차 38.4 c
        4,000원
        2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Sheep fescue와 외국산야생화를 혼파하여 조성한 야생화초지의 생육특성, 계절분포 및 식생비율을 구명하고자 충남대학교내 초지시험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공시초종은 기본초종인 잔디형 목초로 Sheep fescue (Azure)와 외국산 야생화 22종을 공시하였다. 개화시의 야생화의 평균초장은 1년차(2008) 29.7 cm, 2년차(2009) 34.1 cm 이었다. 꽃 색은 8가지로 다양하였으나 8월
        4,000원
        2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쉽 페스큐 50%와 야생화 50%의 파종비율로 조성한 야생화초지의 생육특성, 계절분포 및 식생비율을 구명하고자 충남대학교 내 초지시험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공시초종은 기본초종인 잔디형 목초로 쉽 페스큐(Azure)와 국내산 야생화 4종과 외국산 야생화 29종 등 총 33종을 공시하였다. 야생화의 개화당시의 평균초장은 1년차 30.0 cm, 2년차 35.6 cm 이었다. 꽃 색은 10가지로 다양하게 개화
        4,000원
        2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쉽 페스큐 90%와 야생화 10%의 파종비율로 조성한 야생화초지의 생육특성, 계절분포 및 식생비율을 구명하고자 충남대학교 내 초지시험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공시초종은 기본초종인 잔디형 목초로 쉽 페스큐(Azure)와 야생화 초종으로는 국내산 야생화 4종과 외국산 야생화 29종 등 총 33종을 공시하였다. 야생화의 개화 당시의 평균초장은 1년차 28.7cm, 2년차 36.7 cm 이었다. 꽃 색은 6~9
        4,000원
        2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추파 야생화초지의 생육특성, 계절분포 및 식생비율을 구명하고자 충남대학교 내 초지시험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공시초종은 기본초종인 잔디형 목초로 Sheep fescue (Azure)와 야생화 초종으로는 국내산 야생화 4종과 외국산 야생화 29종 등 총 33종을 공시하였다. 야생화의 초장은 7~52 cm 범위이었고, 꽃 색은 6~10가지로 다양하게 개화되었으나 8월부터 11월까지 개화초종, 꽃 색, 개화지
        4,000원
        2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asonal fluctuation of the large 28-spotted lady beetle,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 was observed in potato fields of Gangneung region, Gangwondo Province. The effects of their leaf consumption over a 24 hour period and developmental periods by different temperatures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developmental threshold (DT) and effective cumulative temperature (ET) of each stage were calculated.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of H. vigintioctomaculata were captured in the fields from May to September, with three peaks in late May, late June, and late August. Leaf consumption by larval stages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instar. The 4th instar larvae consumed potato leaves much more than other stages. Egg hatchability and emergence rate of H. vigintioctomaculata were lower at 10℃ and 30℃, but higher at around 20∼23℃.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each stage became shorter as temperature increased, 90 days at 10℃, 40 days at 20℃ and 25 days at 25℃. Base on developmental velocity to temperature, calculated DT and ET were 7.3℃ and 83.
        4,000원
        2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춘파 야생화초지의 생육특성, 계절개화분포 및 식생비율을 구명하고자 시험하였다. 공시초종은 기본초종인 잔디형 목초로 Sheep fescue (Azure), 야생화 초종으로는 국내산 야생화 4종과 외국산 야생화 29종 등 총 34종을 공시하였다. 시험은 충남대학교 초지시험 포장에서 2008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야생화의 초장은 8~60 cm 범위로 상하 공간배치는 양호한 편이었으며, 꽃색은 9
        4,000원
        29.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춘파 야생화초지의 생육특성, 계절개화분포 및 식생비율을 구명하고자 시험하였다. 공시초종은 기본초종안 잔디형 목초로 Sheep fescue (Azure), 야생화 초종으로는 국내산 야생화 4종과 외국산 야생화 29종 등 총 34 종을 공시하였다. 시험은 충남대학교 초지시험 포장에서 2008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야생화의 초장은 8~60 cm 범위로 상하 공간배치는 양호한 펀이었으며, 꽃색은 9가지로 다양하게 개화되었으나 8월, 9월 및 10월에는 1~3가지로 편중되었다. 개화는 5~6월에 편중되였고 8월부터는 야생화의 개화 및 영속성 유지가 상당히 어려웠다. 그러나, 2년차(2009)에는 월동 후 일년생 야생화초종의 식생 감소로 야생화의 꽃색, 계절분포 및 영속성이 문제시 되었다. 야생 화초지의 연평균 식생비율은 야생화, 잔디형 목초 및 잡초가 각각 1년차(2008)에는 24%, 62% 및 14%이었고, 2년차{2009)에는 각각 16%, 69% 및 15%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춘파 야생화초지의 경우, 파종당년보 다는 2년차에 야생화의 꽃 색, 계절개화분포 및 영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4,000원
        3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 시 재배시기별로 적합한 배양액을 개발하고자 일본야채다업시험장 표준액을 1/4S, 1/2S, 2/3S, 1S로 하여 펄라이트와 입상 암면을 4:6 부피비로 섞은 고형배지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고온기재배의 경우 1/2S 처리구에서, 저온기의 경우 2/3S 처리구에서 광합성 속도, 절화 품질 및 생육이 우수하였다. 이를 토대로 1/2S(고온기), 2/3S(저온기) 처리구의 양수분 흡수율을 기준으로 새로운 배양액을 조성하였다. 이온의 조성은 고온기의 경우 NO3-N 6.8, NH4-N 0.7, PO4-P 2.0, K 3.8, Ca 3.0, Mg 1.2, SO4-S 1.2me·L-1, 저온기의 경우 NO3-N 6.8, NH4-N 0.7, PO4-P 2.0, K 3.8, Ca 3.0, Mg 1.2, SO4-S 1.2me·L-1 이었다. 개발한 배양액의 적합성 평가실험 결과 UOS 배양액은 Ca, P 등의 이온이 장미의 양분흡수율보다 많이 함유된 기존의 배양액과 비교하여 근권 내 EC 변화가 안정적이었다. 또한 절화수량이 재배기간에 관계없이 기존 배양액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저온기 재배시 아이찌현 배양액 처리구에 비하여 수확량이 140% 증가하였다. 따라서 고형배지를 이용한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시 새로 개발된 배양액을 사용할 경우 기존 배양액에 비해 비료절감의 효과와 함께 안정적인 생육 및 수량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4,000원
        3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easonal occurrenc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nymphal stages with different temperatures (20, 25, 30℃), longevity and fecundity of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damaging by outbreaks in the orchard areas of Bitan-ri, Yeongdong, Chungbuk. Paratlanticus ussuriensis occurred from late-March to late-August with peak of mid-May. Newly emerged nymphs appeared from March and do damaged fruit orchards with peak of mid-May when P. ussuriensis existed as 4th and 5th nymphal stages. P. ussuriensis adult occurred from early-June to mid-Aug. with peak of mid-July. Total density of P. ussuriensis was showed highest in mid-May. P. ussuriensis goes through nymphal stages to 7th nymph, the ovipositor began exposed to outside from the 4th instar and the body weight increased heavily from this stage and the wings were observed from 6th instar. Developmental period was longer as increased the nymphal stages. Sex ratio of collected insect was showed as 0.57; females more than males. As increased the temperature, developmental period was to be short. Preoviposition was also to be short as 5.0, 4.3, and 3.4 days at 20, 25, 30℃, respectively, and fecundity increased as 69.0, 87.1, and 104.3 at 20, 25, 30℃, respectively. Longevity of male and female at 25℃ was showed the longest with 35.7, and 32.9 days and showed the shortest with 30.1 and 28.1 days at 30℃,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developmental period in male and female were showed longer in female without relation of temperature. The eggs laid were frequently distributed 3 to 4 cm from soil surface, and showed the behavior laying eggs intensively when early oviposition period.
        3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easonal occurrenc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nymphal stages with different temperatures (20, 25, 30℃), longevity and fecundity of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damaging by outbreaks in the orchard areas of Bitan-ri, Yeongdong, Chungbuk. Paratlanticus ussuriensis occurred from late-March to late-August with peak of mid-May. Newly emerged nymphs appeared from March and do damaged fruit orchards with peak of mid-May when P. ussuriensis existed as 4th and 5th nymphal stages. P. ussuriensis adult occurred from early-June to mid-Aug. with peak of mid-July. Total density of P. ussuriensis was showed highest in mid-May. Paratlanticus ussuriensis goes through nymphal stages to 7th nymph, the ovipositor began exposed to outside from the 4th instar and the body weight increased heavily from this stage and the wings were observed from 6th instar. Developmental period was longer as increased the nymphal stages. Sex ratio of collected insect was showed as 0.57, females more than males. As increased the temperature, developmental period was to be short. Preoviposition was also to be short as 5.0, 4.3, and 3.4 days at 20, 25, 30℃, respectively, and fecundity increased as 69.0, 87.1, and 104.3 at 20, 25, 30℃, respectively. Longevity of male and female at 25℃ was showed the longest with 35.7, and 32.9 days and showed the shortest with 30.1 and 28.1 days at 30℃,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developmental period in male and female were showed longer in female without relation of temperature. The eggs laid were frequently distributed 3 to 4 ㎝ from soil surface, and showed the behavior laying eggs intensively when early oviposition period.
        4,000원
        33.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y creatures caught by a funnel net was carried out in the coastal water off Dolsan Island, Yeosu from 2002 to 2003.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23 fishery creatures species were caught. Seabream(Acanthopagrus schlegeli), sea bass(Lateolabrax japonicus), mullet(Mugil cephalus), puffer(Takifugu niphobles) and rockfish(Sebastes inermis) predominated. These five species accounted for 85.1% of the total number of fishery creatures caught. Seasonal peaks of number of species occurred in summer, while those of number of individuals occurred in autumn. The lowest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winter. The large annual variation of diversity indices were observed from May to August. These large annual variation of diversity indices were mainly due to predominance of seabream, sea bass and mullet which accounted for most of all fishery creatures caught. The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y creatures showed that sea bass and mullet were caught mainly from spring to summer, seabream and puffer were caught mainly in autumn, and rockfish and brotula(Hoplobrotula armata) were caught mainly in winter.
        4,200원
        35.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조차 조간대에서 방조제 건설 후 발생하는 퇴적물의 분포특성과 퇴적환경의 계절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4계절을 대표하는 표층퇴적물을 채취, 분석하였으며, 4개의 측선에서 2년 동안 퇴적물과 퇴적률에 대한 조사가 병행되었다. 그 결과, 방조제를 축조함으로써 반폐쇄성 연안에서 개방형 연안으로 바뀐 이원 조간대의 동측 조간대 지역은 개방형 연안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계절 변화, 즉 몬순 계절풍의 영향으로 여름에는 세립질 퇴적물이 퇴적되고 겨울에는 강한 북서계절풍에 의해서 세립질 퇴적물이 제거되는 계절 변화를 보인다. 또한 측선 경사도와 퇴적물 분표양상 등을 고려할 때, 북부 지역은 조석보다는 파랑작용에 크게 영향을 받고, 남부 지역은 파랑보다는 조석작용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강한 조류, 파랑 그리고 태풍 등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조립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반면 방조제 건설에 의해 새로운 형태로 변화된 서측 끝 지역은 조간대의 발달방향이 남동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북서계절풍의 영향에서 보호되는 지역으로 동측 조간대에서 보여지는 계절변화 양상과는 약간 다르게 봄에 세립하고 불량한 분급을 그리고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조립하고 양호한 분급을 나타낸다. 이는 방조제 건설에 따른 지형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연구 지역의 세립질 퇴적물 이동은 방조제에 의해서 겨울철에 동측 조간대에서 방조제 서측 끝 지역으로 이동하고 다시 여름철에는 동측 조간대로 이동되어지는 시계방향의 순환현상이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방조제 건설 이후 이원 조간대 지역은 2년 동안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지만 이것은 변화과정 중인 것으로 보이고 계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600원
        37.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구마를 가해하는 됫날개흰밤나방(Aedia leucomelas)의 형태적 특징과 온도에 따른 발육특성 그리고 발생소장 및 고구마 가해양상을 1999부터 2000년까지 실내와 고구마포장에서 조사하였다. 성충은 흑갈색으로 체장은 암컷이 20.2mm,수컷이 18.9mm이었고, 날개 편 길이는 각각 33.7mm, 29.4mm이었다. 난은 납작한 원형이며, 유충은 엷은 황녹색-짙은 회색으로 체장은 3.3-53.5 mm이고, 번데기는 진한 갈색으로 체장은 15.1 mm이었다. 난부터 우화까지의 평균발육기 간은 15, 20, 25, 3 (605% RH, 16L : 8D)에서 각각 108.5, 70:7, 40.2, 29.1일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졌다. 각 태별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난은 10.7C와 67.5일도, 유충은 11.0C와 275.1일도, 번데기는 9.3C와 244.6일도 이었다. 암컷의 수명은 위 조사온도에서 각각 14.6, 12.8, 11.1, 10.3일이었고, 산란수는 각각 43, 189,244,265개로 성충수명은 고온일수록 짧아졌지만 산란수는 증가하였다. 됫날개흰밤나방 유충은 고구마 포장에서 6월 중순부터 10월까지 발생되었는데 9월 상-중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유충의 섭식량은 20-에서 가장 많았고, 25C에서 1령, 2령, 3령, 4령, 5령 유충의 1일 섭식량은 각각 0.4, 3.6, 19.6, 40.7, 78.9 였다.
        4,000원
        38.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남해 연안 해역인 나로도 주변 어장에서 동계, 춘계, 하계 및 추계에 조사한 해양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이 어장에서의 수괴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나로도 주변 어장에서 수온과 염분의 측정값을 이용한 T-S diagram으로부터 염분을 기준으로 수괴를 구분하였다. 연안수는 30.0∼31.4psu, 혼합수는 31.5∼32.9psu, 외해수 33.0∼35.0psu의 범위로 정하였다. 2) 나로도 주변 어장에 출현하는 동계의 염분 분포범위는 33.1∼34.9psu, 춘계는 33.1∼34.3psu, 하계는 30.5∼34.1psu, 추계는 30.1∼34.0psu의 범위이었다. 3) 나로도 주변 어장에 출현한 연안수, 혼합수 및 외해수의 분포 특성을 계절별로 파악할 수 있었다. 동계와 춘계에는 표층에서 저층까지의 전해역이 외해수로 점유되었다. 하계에는 표층의 전 해역이 혼합수로 점유되지만, 저층에는 혼합수와 외해수로 형성된다. 추계에는 표층에 연안수와 혼합수가 분포하고 있으며, 저층에는 혼합수가 주체를 이루고 있으나 연안역에 국한되어 연안수가 분포하고, 외양으로 외해수가 출현하기 시작한다. 4) 나로도 주변 어장의 수온염분 특성은 계절적으로 변화하여, 동계에는 저온고염의 외해수가 분포하고, 춘계에는 동계의 수괴의 특성을 유지하지만, 수온이 다소 증가한다. 하계에는 고온 저염의 혼합수와 외해수가 분포하고, 추계에는 저온의 연안수, 혼합수 및 외해수가 분포한다. 5) 수온과 염분의 변화가 주로 표층과 20m층 사이에서 이루어져 하계에는 수온이 4.0˚C/7m의 수직경도를 보였으며, 춘계와 추계에는 수온과 염분의 변화는 적고, 동계에는 연직 혼합이 일어나 상하층간에 균질한 해수가 분포하였다.것으로 판단되고, 또한 소형어선용 저가형 ARPA 시스템의 국산화에 필요한 기반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험결과를 통한 엄밀한 제어성능검증과 스텝외란 외의 주기성 외란 인가시 2자유도 적분형 최적제어계의 외란제거 방안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중방사음역에 있어서의 시간응답특성을 조사한 결과, 그 응답특성은 송신전압감도의 주파수특성과 매우 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설계, 제작한 이중정합층을 갖는 복합구조 초음파 변환기는 단순구조의 Tonpilz형 초음파 변환기와 비교하여 비록 송파전압감도에 있어서는 약 5 dB 정도의 음향출력의 손실이 불가피하지만, 그 대신 주파수 대역폭을 약 5 재 정도 확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이 넓은 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어종식별을 위한 음향산란신호를 정량적으로 수집 및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n A was 11 ug.이, 0.9 ug/g and 3.7 ug/g in the blood, liver and kidney, respectively.sional-managerial who secure the higher autonomy and stability in their work have the highest life chance in the labor and health, and leisure life. Next, professional-technical, white-collar, sales-service occupants have the higher life chance after the professional-managerial. However, these 3 occupation groups are partially inconsis
        4,000원
        40.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릉도와 독도 근해 해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광합성 색소의 변화를 5월, 6월, 8월과 11월에 울릉도 5개 정점, 6월, 8월과 11월에 독도의 3개 정점에서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수온은 수심에 따른 변화가 적었으며, 8월에는 수온 약층의 형성이 두드러졌고, 특징적으로 울릉도에서 11월의 표층수온(20.5℃)이 기상의 기온(9.9℃)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계절적 변화는 염분에서도 나타났으며, 5월에는 저온 고염
        4,9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