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23.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포자체 배양을 통하여 참쇠고비의 효율적인 번식방법을 구하고자 수행되었다. 배양절편의 기원(근경, 엽병, 엽신)과 절편의 균질화가 신초 계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오직 근경 조직에서만 기관발생능력이 관찰되었고, 식물체 재생은 배양재료를 균질화함으로써 더욱 촉진되었다. MS배지의 무기물 농도를 2배로 첨가한 배지에서 신초의 증식과 생장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신초 재생에 적합한 배지의 질소함량은 MS배지의 1/2배 수준 이었고, 적정 sucrose농도는 1%였다. 또한 배지에 NaH2PO4를 첨가함으로써 재생된 식물체의 생육이 전반적으로 촉진되었다. 근경절편의 기관형성능력은 kinetin과 IBA를 혼용 처리함으로써 촉진되었으며, 0.1~0.2%의 활성탄과 생장조절물질을 혼용 처리한 결과, 다수의 싹이 뭉친 듯이 보이는 primordia 형태의 발달이 억제되었고, 포자체의 정상적인 형태형성이 향상되었다.
        24.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류나무 절간조직(2년생)을 이용하여 식물생장조절물질이 함유된 MS배지에서 대량의 식물체를 증식시켰다. 대부분의 식물체는 BA 1.0 + TDZ 0.1 mg/L가 함유한 배지에서 줄기의 형성층 부분에서 절편당 24.6 ± 4.6개의 줄기가 유기되었으며, 몇몇 줄기는 피목 부분의 조직에서 유기되었다. 신장된 줄기는 NAA 0.01 mg/L가 포함된 배지에서 94.6%의 발근이 이루어졌다. 신장된 줄기의 발근은 식물생장조절물질에 따라 차이를 보여 NAA와 IBA에서 90% 이상의 발근이 촉진되었으나, cytokinin류를 처리한 시료에서는 50% 이하의 낮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발근된 유식 물체는 Cell-tray의 인공상토(peatmoss : vermiculite : perlite = 1 : 1 : 1)에 이식하여 8주간 생육후 98%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2년생 미루나무류의 줄기에서 직접 대량의 줄기를 유도하여 대량증식과정을 단순화 시켰을 뿐만 아니라 조직배양묘 경화시 multi-cap을 이용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25.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efficient in vitro propagation and polysaccharide production of Orostachys japonicus were established. O. japonicus was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various growth regulators and carbon sources. The highest regeneration rate was achieved in 1.0 and 3.0 mg l -1 of 2,4-D concentration, while the lowest was obtained in 10.0 mg l -1 2,4-D concentration. When different carbone sources were added in the culture medium, plant growth was high in 3% sucrose treatment. The micropropagated shoots were successfully acclimatized in artificial soils and produced comparable amont of polysaccharide compred to parent cultivated plants.
        26.
        200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st explant source and combination of media and growth regulators for the regeneration of multiple shoots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cv. ‘Iksannamulkong’. Multiple shoots could well be directly induce
        27.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ptimized in vitro culture system was investigated for improvement of regeneration efficiencies by observing the responses of scutella-derived callus of Korean rice (Oryza sativa L.). Large variations of callus induction (43.9-93.9%) and shoot regeneration (0-88.7%) were observed among the rice cultivars depending on medium. However, shoot regener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selected utilization of basal medium, growth regulators, and carbon sources. N6 basal medium was more efficient for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than MS or LS basal medium, while MS was superior to N6 for shoot regeneration. The calli of highly regenerative cultivars grew faster and showed higher rates of green tissue formation (GT) and shoot regeneration (SR) and lower rate of callus browning (CB) than those of recalcitrant cultivars. Although a higher level of kinetin stimulated the GT and SR in highly regenerative cultivars, 10~textrmmgL-1 kinetin generally suppressed the GT and SR, while CB was accelerated compared to 2~textrmmgL-1 kinetin. Additional benefits of sorbitol combined with maltose (or sucrose) under 5~textrmmgL-1 kinetin were certainly confirmed on regeneration efficiencies compared to sucrose alone as carbon source and osmotic regulator. This combination showed high rate of GT and SR with multiple shoots while low rate of CB. With MSRK5SM-Pr medium (5~textrmmgL-1 kinetin, 3% sorbitol, 2% maltose, 500~textrmmgL-1 proline), the regeneration efficiencies of total 17 out of 24 cultivars were practically improved 160% on average compared to MSRK2S (2~textrmmgL-1 kinetin, 3% sucrose) control medium. Especially, the medium was most effective to the cultivars showing a medium level of regenerability such as Daesanbyeo and Dongjinbyeo and Suwon477, enhancing efficiencies more than 300-600% compared to MSRK2S medium.
        28.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심장질환 및 암치료에 약제로 사용되어지는 D. purpurea의 잎 절편으로부터 신초의 재분화와 증식을 시도하였다. MS 배지에 2 mg/l BA와 0.1 mg/l IAA를 조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잎절편으로부터 부정아가 형성되었다. 유기된 부정아로부터 신초의 증식은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된 B5 배지에서 배양 5주 후 약 21개의 신초가 분화되었으며, 신초의 길이 신장과 생육은 WPM 배지와 MS 배지에서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내 증식된 신초로 부터의 발근은 1 mg/l IBA를 첨가된 MS 배지에서 신초당 21.5개가 형성 되었다.
        29.
        200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hoot tip and young leaf of Rhodiola sachalinensis were cultured to invest the plant growth regulator condition for callus induction, shoot and root regeneration. When the shoot tip was sterilized in 2.0% of NaOCl for 20min., the contamination rate was the lowest. And the survival rate of the culture material was good in carbenicillin 500mg/L treatment group. Callus was obtained from shoot tip and young leaf segments. NAA 0.1-1.0mg/L and 2,4-D 0.1-0.5mg/L alone treatment were shown to have a good response on callus induction from shoot tip culture. In the case of young leaf culture, NAA and 2,4-D 0.1-0.5mg/L alone treatment were good in callus induction. In culturing shoot tip NAA 0.5mg/L and BA 0.5mg/L, NAA1.0mg/L and BA 0.lmg/L combination treatment was good in shoot regeneration. The regenerated shoots were root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NAA and BA combination treatment. Especially, NAA 1.0mg/L and BA 0.1mg/L combination treatment was effective for root regeneration.
        30.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icient regeneration condition for perilla (Perilla frutescens cv. Yeupcildllggae). Leaf, cotyledon and hypocotyl explants were excised from perilla plants 10-12 days after germination and subjected to regenerat
        31.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generation ability of plant is very important for producing transgenic plants by genetic engineering. Fifty rice cultivars and lines were screened for their regeneration ability in vitro and an attempt was made to increase shoot regeneration by substitu
        33.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의 잎 절편으로부터 기내(in vitro) 증식을 유도 하였다. 2 mg/L BA와 0.5 mg/L NAA가 조합 처리된 MS 기본배지에서 잎 절편으로부터 직접 기관형성 과정을 통하여 부정아가 형성 되었다. 유기한 부정아는 절취하여 2 mg/L NAA와 0.5 mg/L BA이 첨가된 MS배지로 옮겨 유묘의 대량 증식을 시도하였으며, 배양 3주 후 신초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무기염의 농도가 두배로 증가된 2MS배지로 옮겨 배양 하였다. 증식된 신초로부터 발근은 식물성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1/2MS와 MS배지 모두에서 이루어 졌다.
        36.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하(襄荷)를 대양번식(大量繁植) 하고자 경정부위(莖頂部位)의 기내배양(器內培養) 방법(方法)을 확립(確立)하기위하여, 경정부위(莖頂部位)의 생장(生長)에 알맞은 기본부지(基本部地) 및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의 농도(濃度)를 구명(究明)하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양하(襄荷)의 경정부위(莖頂部位)는 치상후(置床後) 10~12주(週) 후(後)에 기관(器官) 분화현상(分化現像)이 나타나서 shoot와 root가 발생(發生)되었다 2. 양하(襄荷)의 경정(莖頂)은 MS기본부지(基本部地)에 치상(置床)한 환경(環境) 비교적(比較的) 생장(生長)이 잘 되었다. 3. 기내(器內)의 Plantlet의 생장(生長)은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 NAA 0.5ppm과 BA 5.0ppm의 혼합(混合)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좋은 경향(傾向)이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