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1.
        2013.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d the disasters in construction field under construction amount of 300,000,000 won and the whole construction field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acy of various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policies and service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in construction field under 300,000,000 won. It also examined,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in construction field under construction amount of 300,000,000 won that disaster prevention technical experts saw. The subjects of comparison were selected with statistical data of disaster for 2011 and those of disaster in construction field under construction amount of 300,000,000 won from January to August of 2012. An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technical instruction experts of small-sized construction field and priority was drawn, compared and analyzed with AHP. Consequently, the results of different views between actual disaster data and experts' views were obtain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in construction field under construction amount of 300,000,000 won and presented the methods for improving disaster prevention technical experts.
        4,000원
        2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isk Assessment to list possible safety disasters and their probability and severity is the starting point for effective safety management on construction project site. However, the safety managers in owners, construction supervisors,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still have difficulties in judging the priorities of safety activities and preparing responses to each potential safety disaste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systematic method in assessing safety risk prior to commencement with the agreement of stakeholders. FMECA(failure mode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was selected as a main assessment tool and it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projects and trades. Each risk is, firstly, evaluated with occurrence probability, possible loss and impacts to projects, and detections, and then risk priority number(RPN) is calculated. Subsequently, the managers of each stakeholder discuss the types, timing, and responsibilities of responses as a group decision-making process.
        4,000원
        2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난대상록수종인 황칠나무의 적지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생장 및 입지환경 인자들간의 관계 구명을 통하여 양적·질적 자료 분석이 가능한 수량화 분석 방법에 의하여 황칠나무의 적지예측 평가기준을 도출하였다. 적지예측 프로그램은 ESRI, ArcView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적지예측의 정확성 검토를 위하여 다양한 난대 상록활엽수가 분포하고 있는 전남 완도 지역에 적용하였다. 황칠나무의 적지예측 분석 결과, 최적지 표고 401~500m, 경사도 15°이하, 국소지형은 산복 계곡부위, 퇴적양식 붕행토, 방위가 남쪽인 요철사면으로 나타났다. 완도지역의 황칠나무 최적지 등급별 맵핑 면적은 Ⅰ등급 1,487.2ha(25.4%), Ⅱ등급 1,020.3ha(17.4%), Ⅲ등급 2,231.8ha(38.2%), Ⅳ등급 1,110.5ha(19.0%)로 나타났다.
        4,300원
        24.
        201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isk Assessment, a basis of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is an calamity prevention activity which regularly measure the level of a risk to passively improve potential hazard. A problem, the assessment not being improved to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work site where requires diversity and complexity, causes the assessment to be inefficient to bring quality results. A study on the investigates and compares the surveyed degree of recognitions of workers who works in companies executing the risk assessment By the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it is expected to bring the better solution for early and efficient application for those companies which are not taking the risk assessment.
        4,200원
        26.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북한은 수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약 6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고, 지리적으로 수력발전 개발에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3 개의 북한 댐개발 가능지점에 대해 DEM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분석 및 저수량을 산정하고, MWSWAT 모델을 이용한 30년간의 장기유출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추정하였다. 33개 지점의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은 현재 북한 수력발전량의 약 28%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도별 공업지구 규모를 추정하고, 장래 인구 변동을 전망하여 도별 댐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저수량과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기초로 도내 댐 개발 우선선위를 선정하였다. 도별 우선순위는 평안남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황해북도, 평안북도, 자강도, 량강도, 황해남도, 강원도 순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지역의 수력발전댐 개발사업의 진출을 위한 초기 검토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7.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comprehensive water budget analysis considering the water consumed for landfill gas formation was performed for Sudokwon Landfill Site 2 (LS2) from October 2000 through December 2016. The weighted average mole ratios of carbon (C), hydrogen (H), and oxygen (O) of the total disposed waste were 30.4%, 48.8%, and 20.8% respectively. The total emitted H and O as CO2 and CH4 from landfill gas was 2,812×103 Mg, of which 28.6% (803×103 Mg) was supplied from water. The total emitted water quantity consisted of landfill gas at 8.4%, leachate at 90.2%, and vapor in landfill gas at 1.4%. The total supplied water quantity to LS2 was 22.0×106 Mg, and the quantity supplied from water included in disposed waste was 62.9%. Considering the supplied and emitted water quantity, the retained quantity in LS2 was estimated to be 12×106 Mg, and the emitted and retained quantities were 43.3% and 56.7%,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retained quantity, the water content in LS2 was estimated to be 26.0%, far below the optimum level for landfill site stabilization.
        28.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각종 구조물(도로, 건물, 교량 등)은 지반위에 건설되며, 이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다짐도를 만족하여한다. 이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지반의 침하로 인해 구조물이 붕괴될 수가 있다. 최근 싱크홀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지반다짐 및 굴착현장의 다짐도등의 평가가 중요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같은 공사구간내에서 다른 토취장의 지반재료 또는 같은 토취장내에서도 다른 종류의 지반재료가 존재하며 특히 굴착복구현장의 경우 시간제약과 더불어 야간공사로 철저한 다짐을 할 수 없는 현실이다. 또한 다짐도평가를 위한 사용재료의 최대건조밀도를 알아야하며, 현장에서 들밀도시험 및 평판재하시험을 하여야 하나 공사시간의 문제, 시험자의 숙련도문제 및 시험장소의 제약과 중차량 사용과 고비용으로 다짐평가시험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거나 아예 수행하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현장 엔지니어가 쉽고 간편하게 다짐도뿐만 아니라 공사현장의 다짐재료가 발휘하여야 하는 역학적 성질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다짐평가장비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반분야에서 쓰고 있는 동적콘관입시험을 소형화하여 국외의 도로관리기관에서 도로하부지반에 사용하고 있는 도로용 DCPT 단점을 보완하고 최대 2인의 시험자가 시험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개산된 장비를 이용하여 지반의 다짐도뿐만 아니라 역학적 성질인 탄성계수와 연계평가할 수 있는 관계식을 실내시험을 통해 제안하였다.
        29.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a rapid growth in the population and urbanization led to an increasing industrial growth. The inadequate treated-wasted water from industry and various non-point sources causes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stream water. For past few decades, extensive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on water purificatio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chanical performance and water purification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by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through the site assessment test. The mechanical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void ration caused an decrease in the strength. The optimal mix rate was found to be 15% void rate From the site assessment, it was evaluated that the porous concrete improved the quality of the water and the purification ratios are 34.1 for SS, 14.6% for BOD, 34.9% for COD, 11.4% for T-N, and 12.6% for T-P. The porous concrete and the related purification technique can reduce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s flowing into the river.
        32.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서는 증가하는 용수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낙동강 유역의 지자체들에서 강변여과수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원수수질 안정을 위한 방안으로 강변여과 도입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선행 논문에서 계층분석과정(AHP)에 의해 선택된 광나루지구에 대한 개발가능량 평가를 위해 지하수 모델링이 수행되었다. 광나루지구에서는 생태계보존지역 등을 고려하여 하천부지 약 1,200m 구간에 대해 관정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33.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진국에서의 강변여과수 개발은 150년 정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용수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원수 확보방안으로 강변여과수에 대한 조사가 1990년대부터 4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 낙동강을 중심으로 강변여과를 활용한 상수도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서울의 원수수질 안정을 위한 방안으로 강변여과 도입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이다. 개발 적지의 선정을 위해 여러 가지 속성들을 계층적으로 분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