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1.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strut of high strength concrete, an parameter study was performed. High strength concrete has high capacity for the strut member, especially 80MPa concrete strut has equal quality to 40MPa concrete strut with FRP. Also it is insignificant that the difference of member force between variation in boundary condition on the strut of PSC Box Girder.
        2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strut of high strength concrete, an experimental study and analysis was performed. High strength concrete has high capacity for the strut member, especially 80MPa concrete strut has equal quality to 40MPa concrete strut with FRP.
        2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n nonlinear analysis to investigate the high strength concret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concrete filled steel tubes and concrete filled GFRP. As a result, the high strength concrete has higher strength than the normal strength concrete filled CFGFRP that is widely used for the compressive strut member of the PSC Box Girder bridg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high strength concrete is appropriate for the compressive struts of the PSC Box Girder Bridge.
        2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I형 스트럿 및 S형 스트럿 강재댐퍼의 변위 및 속도의존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2개의 강재댐퍼를 제작하여 의존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시험 변수는 스트럿 형상, 목표 변위 및 속도이다. 의존성 시험에 의한 반복횟수 평가결과, ASCE 7-10에서 규정한 최소 반복횟수 5회를 충분히 상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변위의존성 평가결과, 큰 목표변위 (50mm)의 반복횟수 및 누적에너지소산능력은 적은 목표변위 (25mm)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또한 짧은 목표변위보다 큰 항복강도 및 조기파단을 나타내었다. 속도의존성평가에서는 빠른 목표속도 (60mm/sec)의 반복횟수 및 누적에너지소산능력이 느린 목표속도 (40mm/sec)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강재댐퍼의 기본 물성, 의존성 평가, 누적에너지소산능력 평가결과, S형 스트럿을 가지는 강재댐퍼의 의존 능력이 I형보다 윌등히 우수한것으로 평가되었다.
        25.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the displacement and velocity dependency of metallic damper which has clamped type strut, cyclic tests are conducted by the target displacement am velocity variables. From the evaluation results of dependence tests, number of cycles are fully exceeded than minimum 5 cycles described in ASCE 7-10.
        26.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뼈대구조물의 강절점영역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휨모멘트의 작용방향에 따른 절점영역 내부의 응력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헌치를 갖는 강절점영역의 설계에 있어서 현행의 도로교설계기준이 유용한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선형탄성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휨모멘트의 작용시의 헌치를 갖는 절점영역내부의 응력상태를 파악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스터럿-타이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스터럿-타이 모델은 선형탄성유한요소와 동등수준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다양한형태의 헌치를 갖는 강절점 영역의 보강철근 설계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27.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urrent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Canadian Standard Associate (CSA) and CEB-FIP code suggest that deep beams should be designed using the strut-and-tie model approach.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the current ACI, CSA and CEB-FIP code provisions on the shear strength of simply supported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s by comparing them with the shear strength equations proposed by Hong et al. (2002) The comparison shows that all of these code provisions provide reasonable estimates on the shear strength of concrete deep beam members and the ACI and CEB-FIP codes results in similar estimates while the CSA code relatively underestimate the strength.
        28.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trut-tie model used for the analysis and design of the anchorage zone of the PSC modular bridge by comparing with the result of the approximate analytical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the bursting force obtained by approximate analytical method were increased about 2 times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 of strut-tie model.
        29.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troduce how to design the shear wall for strut and tie model, and to secure the strength of shear wall by using Prestressing element, to control at working load condition. also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hear wall's capacity.
        30.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댐퍼는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구조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조물에 도입되는 에너지 저감장치로써, 이에 대한 연구와 적용은 반세기에 걸쳐 진행되어 왔다. 특히 수동형 댐퍼의 대표격인 강재댐퍼는 197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수행되어 크고 작은 건축물에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슬릿형 강재댐퍼의 성능평가실험결과를 수집하여, 슬릿을 형성하는 스트럿 높이에 대한 폭비(형상비)에 항복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주 평가 대상은 설계를 위한 항복강도이며, 실험결과대 설계식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재댐퍼의 항복강도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국내외 실험결과를 대상으로 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 국내 제안식이 스트럿 형상비 0.2이하, 1의 휨거동 및 전단거동이 명확한 경우의 항복강도를 예측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렇지만 향후 보다 많은 실험결과를 통하여 스트럿 형상비 및 슬릿 형상에 대한 보완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일본에서와 같이 강재 댐퍼용 저항복강재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