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5.
        2001.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t I에서 도출된 기초 식을 적용하여 입자 분산 강화형, 섬유 강화형 및 적층형 복합재료의 유효탄성제수 및 열팽창계수를 산정 하였다. 일방향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경우 섬유의 유효 축비 (aspect ratio)가 고려되었으며, 유효 탄성계수는 다른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였다. 입자 분산 강화형 복합재료의 유효 체적탄성률 및 전단 탄성률은 Korner의 표식 및 Hanshin과 Shtrikman의 하한치 (lower bounds)와 일치하고 있다. 일방향 섬유 강화 복합재료에서는 6개, Hanshin과 Rosen의 모델에 나타낸 4개의 독립 탄성계수와 일치하고 있다.
        4,000원
        26.
        1998.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이 높은 농도로 도핑되어진 LPCVD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열팽창 계수를 마이크로 게이지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존의 박막의 열팽창 계수 측정 법에서는 박막이 기판에 증착되어진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기판의 탄성계수와 열팽창계수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이에 비해 마이크로 게이지법에서는 박막의 열?창 계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기판의 탄성계수 값과 열팽창 계수 값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마이크로 게이지법에서는 전류를 가할 경우 줄 발열에 의해 발생한 마이크로 게이지에의 변위를 측정하고, 그 때 계산된 마이크로 게이지의 평균 온도의 관계에서 열팽창 계수를 계산한다.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열팽창 계수는 2.9 x 10-6˚C로 측정되었으며, 이 값들의 표준편차는 0.24x10-6˚C였다.
        4,000원
        27.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Mn and Co additions up to 0.6 and 2.0 wt% respectively and the amount of cold-rolled reduction on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EC) of powder rolled Fe-Ni Invar strips were investigated. The compacted strips were sintered, homogenized and cold-rolled to the final thickness of 0.8 mm, 0.65 mm and 0.4 mm. All the strips reached full density except the case of 0.8 mm sample which has a very few porosities. The interstitials which are well known to increase TEC were minimized to the level of 10 rpm C,5 and N,0 by the processing. TEC was found to decrease by increasing the cold reduction. The Mn content had little effect on the TEC. But in Fe-Ni-Co system, TEC decreased with Co content up to 0.4 wt% and then increased, yielding the minimum value of at 0.4 wt% Co. This value is much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 Invar product. Such effect of Co is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the maxiumum spontaneous- magnetostriction effect.
        4,000원
        28.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2O-Al2O3-SiO3계 결정화유리의 저온합성을 위하여 출방원료로서 각 해당 금속 알콕시드를 사용하였다. 알코올을 용매로 충분히 첨가하고, drying control chemical additive로 dimethy1 formamide를 적당량 첨가한 혼합용용액을 과잉의 물로 충분히 가수분해시킨 습윤겔을 저온으로 건고하여 균열이 없는 건조된 monolith겔을 합성하였다. 건조겔로부터 750-950˚C로 10시간 이상 소결하여 저열팽창성을 나타내는 β-eucrypytite(β-quartz 고용체), Li2O· Al2O3· 3SiO2및 β-spodumene등의결정상을 석출시켰다.
        4,000원
        29.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measured data of cable-supported bridge’s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were analyzed. To evaluate structural behaviors by temperature variations, measured data were compared with theoretical values b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rmal movements and temperatures. Additionally, the cumulative displacem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evaluation methods of cable-supported bridge's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suggested.
        30.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wadays, finger joints have been more popular than rail type joints due to their many merits: easiness to maintain, low noise, etc. However, finger joints have some demerits to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amage of finger joints installed at a curved PSC box girder bridge.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damage of finger joints of the curved bridge is caused by thermal expansion and imperfect installation of the joints.
        31.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 mathematical model on the longitudinal mid-span extension of the Tamar Bridge, UK by using 6 months data of temperatures and an extension starting from July 2010. Linear models of temperature input-extension output were identified for all the combinations of input temperatures. The model using two temperatures, one temperature on the top of the mid-span section and the other on the bottom, was found to be the best with the fitness value 95.9% while single-temperature input models had maximum fitness 80%. This observation might be explained by the temperature gradient at the section: in the existence of the temperature gradient, two temperatures in the section may represen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section well while a single temperature can't. A further study needs to be carried out to verify it by a thermal simulation on a Finite Element model of the bridg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