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raspedoxantha genus has been distributed in worldwide as 7 species in Afrotropical and 2 species in Oriental Regions. It is generally known that C. marginalis is preferred Asteraceae including Vernonia spp. for host plant. However, C. marginalis was first found in cut-flower of Phaenocoma prolifera, which was imported from South Africa, under the plant quarantine inspection in Korea. Therefore, we first report that P. prolifera as a new host plant for C. marginalis and provide information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barcoding sequences on male and female for identification.
        2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자 건전성(seed health)은 종자 또는 식물체에 유익하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물체의 감염상태를 의미한다. 이들 생물체는 종자의 품질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으며,감염 종자는 식물체에 병을 유발하고 포장에서의 발병을 확산시킴으로써 대규모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상업용종자의 해외증식 및 국제교역, 종자 유전자원의 해외분양 및 상호교환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러한 위험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더불어 종자 건전성 관리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벼 종자 유전자원을 보존하고 연구용으로 분양하는 국제미작연구소(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RRI)는 유전자원의 건전성 확보를 위하여 종자건전성연구실(Seed health unit)을 두어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필리핀 식물산업국 산하 식물검역소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아 필리핀 국내로 도입되거나 해외로 분양되는 유전자원에 대하여종자처리 및 건전성 모니터링, 종자 건전성 검사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대상 병원균에 따라 육안검사, 수세현탁액 검사, 습지법 검사, 한천배지 검사 등을 적용하고 있으며, 감염종자는 온탕처리와 같은 물리적 처리와 살균제 또는 훈증제와 같은 화학적 처리를 수행한다. 국제미작연구소의 건전성 관리시스템을 우리나라 벼 종자 유전자원의보존·관리에 선별 적용하고, 더불어 종자소독방법과 저장 전관리체계를 확립함으로써 벼 유전자원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제협력 및 공동연구 등 신뢰구축을 통해유용한 해외 유전자원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3.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Pratylenchu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lant-parasitic nematodes around the world because of its broad spectrum host ranges and worldwide distribution. 72 species of root-lesion nematodes have already been described from various parts of the globe. Among all of them, only 5 species are regulated as a target species in quarantine inspection. As the importation of target items inspecting nematodes are surely increasing every year, detection rate of nematodes in quarantine also increased. However, the rate of species identification has been decreased due to lack of related information. The species belonging to genus Pratylenchus are shown very low identification rate because we have specimens and information about only 10 domestic species and 5 regulated specie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species in the genus Pratylenchus and obtained related information for application in the quarantine field. Species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with extracted nematodes from plants obtained in the recent quarantine inspection. Newly identified species were 5 species including Pratylenchus crenatus, P. fallax, P. kumamotoensis, P. panamaensis and P. penetrans. The photos, measured value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each species are provided.
        24.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cheon Intern'l Airport Regional Office of the National Plant Quarantine Service got the nematode separating funnel improved for the imported seedlings & tubers on 2007. In the Bermann's funnel method, the nematode separating apparatus consist of funnel, tube and clips. The funnels used in our plant quarantine are bigger than those used in the general nematode lab. And the bigger funnels need the bigger tubes. As a result, the thick tubes and the weak clips are made uneasy for the holding and releasing of the water in funnel. So the office changed the funnel into the better model in order to get rid of the tiresome handling for the clips. The main improving point is the replacement of clip & silicon tube with blocking apparatus in funnel bottom's end. On the other hand, the check on nematode has been very high at the Incheon Inertn'l Airport Regional Office up to 50~250 frequency daily at season. In the consideration of the 7,800 inspection frequency annually, this improvement is expected to bring the effect of 400 working hour's reduction and the convenient work.
        26.
        200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적을 활용한 안전농산물의 생산량 증대는 그동안 잔류농약의 문제로 수출이 중단되곤 했던 파프리카를 비롯한 딸기 등 여러 종류의 농산물 수출에 있어서 잔류농약의 문제를 해결해 주어 수출경 쟁력을 높이기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천적을 활용한 생물학적방제의 산업화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종전의 화학농약과는 달리 천적을 활용한 수출농산물의 잔류농약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천적을 활용하여 방제한 농산물에서 종종 천적이 묻어 나가는 경우와 일부 해충이 묻어 나가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의 국립식물검역원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산물 수입국과 한국의 천적을 활용한 농산물 수출에 있어서 간혹 천적 및 해충이 묻어 나가는 경우에 대하여 사용된 천적과 수입국에도 분포하고 있는 일부 해충들에 대하여 수입국의 검역기관과 양허체결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문제가 발생된 후에 양허체결이 처리되는 사례가 있어서 일부 수출농산물이 반송 또는 훈증 처리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곤 하였다. 천적을 생산하는 산업체와 검역 기관에서는 천적을 활용한 농산물의 수출에 있어서 위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상호공조 및 역할분담을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이후에는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5,400원
        27.
        200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increment of quantity of inspection and concerns on plant quarantine, plant quarantine faces big challenges internationally as well as domestically. The fast changing environment surrounding plant quarantine makes the role of international quarantine cooperation more important. The m떠 or role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NPQS are bilateral negotiation to facilitate export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augmentation of contributions in multilateral cooperation, scientific and reasonable progress on import requirement from exporting countries and timely collection and taking measures on interna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plant quarantine. The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plant quarantine are WTOjSPS and IPPCjFAO. WTOjSPS and IPPC expedit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implementation of scientific and transparent phytosanitary measures. NPQS holds bilateral meetings with various trading partners. Through the bilateral communication, quarantine issues on export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mport quarantine requirements of foreign agricultural products and other bilateral issues are discussed. With faithful conduct of the role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s importance part of plant quarantine, plant quarantine can contribute to prevent introduction and spread of exotic pest not only into Korea but also to our trading partner countries which lead to protection of agricultural and natural environment.
        5,500원
        28.
        200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검역이란 식물에 해를 끼치는 병해충의 국가간 · 지역간 이동을 차단함으로서 자연 환경과 농림업 생산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식물검역소에는 전국 공항만을 중심으로 499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수출입 식물류에 대한 국경겸역, 국가간 식물검역 국제협력, 격리재배검사, 외래병해충 발생조사, 소독 및 방제 동의 업무를 수행하여 식물병해충 유입에 따른 피해를 적극 차단하고 있다. 한편 세계 자유화의 큰 흐름에 따라 농산물의 국가 간 교역이 활발해 지면서 우리나라의 검역수요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립식물검역소에서는 2003년 인터넷 민원처리 시스템을 시작으로 빠르면서도 정확한 식물검역을 수행할 수 있는 식물검역처리시스렘을 구축해 나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수출입 식물검역 전 과정이 시스템화 되어 언제 어디서든 검사 신청과 결과조회가 가능해졌으며 검사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도 있게 되었다. 현재 식물검역의 99.8%가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50% 이상의 업무 효율성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 등 급변하는 여건변화로 인해 새로운 대내 · 외 도전요인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검역대상 물품 및 수입국의 다양화 · 다변화와 병해충 발견빈도 증가 등 해외 병해충의 국내유입 위험성 한충 고조되고 있으며,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욕구 증대로 수입농산물에 대한 검역문제가 사회적 주요 관심사로 계속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립식물검역소에서는 현행 식물검역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점검과 분석 · 평가를 통하여 국민의 기대수준에 부응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단기 · 중장기적 관점의 식물검역정책을 개발 · 제시하는 식물검역발전 10개년 계획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국립식물검역소는 앞으로도 식물병해충의 피해로부터 농업과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국제사회와 공동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며, 전 세계에서 가장 모범이 되는 식물검역기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혁신해 나갈 것이다.
        6,9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