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2.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계 시설내 온도 및 광도가 고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생장상내에서 인공적으로 온도 3수준(10, 20 및 30℃)과 광도 3수준(5, 15 및 25klux)을 7주간 조합 처리한 결과 나타난 생장반응은 다음과 같다. 1. 생장상내에서 고추 시묘의 초장, 엽면적 및 건물중의 생장은 30℃×25klux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했고, 각 온도에서도 광도의 증가에 따른 생장의 증가반응이 뚜렷하였다. 2. 처리후 7주째의 생장량을 multiple regression polynomial로 수식화한 결과 초장, 엽수, 엽면적, 경건물 및 지하부 건물중은 수식고정이 적합하였다. 3. 지상부 건물중에 대한 다중 회귀식을 광도와 온도로 편미분한 이론치를 이용하여 단위온도 증가에 대한 단위광도의 향상도와 단위광도 증가에 대한 단위온도 증가의 반응표면을 도식화한 결과 저온화에서의 광도증가는 지상부 건물중 증가반응의 향상도를 크게 높였으나, 광도 10k1ux이하나 온도가 20℃이상에서는 온도의 역할이 더 크게 나타났다. 단위광도 증가에 대한 온도반응의 증가에서도 동일한 경향으로 나타나 온도와 광도의 강한 상보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23.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유묘의 생장, 광합성, 호흡 및 양수분흡수에 미치는 온도 및 주야변온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환경조절이 가능한 생장상내에서 실험을 수행한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추육묘시 적온으로 생각되는 25℃에 비하여 온도가 12℃로 저하함에 따라 수분 및 N, P, K 양분흡수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5℃에는 양수분의 흡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 엽의 광합성은 5℃에서 25℃까지는 점차적으로 증가되다가 25℃에서 최대광합성을 보였으며, 엽과 근의 호흡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계속 증가하였다. 3. 지하부 건물중이 가장 높은 적정 주야온도조합은 주간 30℃와 야간 25℃로 나타났고, 주/야 온도 25/25℃, 30/15℃, 25/15℃, 15/25℃, 10/25℃ 간에는 큰 차이가 있었으며, 야간온도 5℃에서는 주간온도에 관계없이 지상부 건물중 증가가 거의 없었다.
        4,000원
        24.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계 무가온 3중 및 4중피복 plastic house내에서 고추를 육묘하여 이들 육묘환경조건에서의 고추유묘의 생장반응을 파악하고 육묘환경의 차이에 따른 묘의 소질과 정식이후의 생장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 엽수, 엽면적 및 각 기관별 건물중은 3중피복구가 4중피복구에 비하여 50%의 감소를 보였다. 가장 큰 차이는 엽면적으로 육묘기간중 3중에 비해 4중에서는 2-5배의 증가를 보여 육묘 환경의 차이가 고추유묘 생장에 현저한 영향을 미쳤다. 2. 3중피복구에서는 4중피복구에 비하여 생장초기부터 엽면적의 확보가 지연되었고, 이에 따라 고체생장율도 현저히 감소했다. 비엽면적(SLA)은 4중에서 3중에 비하여 엽의 두께가 얇았으며, 순동화율은 4중에서 생장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3중에서는 파종후 6주후에 급격히 증가했다. 3. 엽면적과 전체건물중, 엽건물중간에는 직선적인 관계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엽면적과 개체생장율간에는 4중에서만 인정되었으며, 엽면적과 순동화율간에는 3중과 4중에 관계없이 직선적인 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4. 파종후 6주째까지는 3중에서 엽으로의 건물분배가 많았고, 줄기와 뿌리로의 분배는 적었으며, 4중에서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5. 고추의 분지수는 3중과 4중에 관계없이 지수함수적 증가를 보였고, 주당 과중은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4중에서 육묘한 고추의 분지수는 3중에서 육묘한 고추보다 현저히 많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뚜렷한 경향이었다. 6. 고추유묘의 형질중 정식후 고추수량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은 유묘의 지상부 건물중으로서 고추육묘에 있어서 양묘의 기준은 유묘의 지상부 건물중으로 결정되었으며, 또한 묘의 소질과 수량과의 관련성이 크게 인정되어 동계 시설재배시 고추의 다수를 위한 고추육묘는 지상부 건물중 증가를 위한 환경관리의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4,000원
        25.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계 무가온 다중피복 plastic house내 고추육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광도 및 지온의 변화를 노지와 시설내 피복별로 조사 분석하여 고추의 적정 육묘생장 환경과 실제 무가온 다중피복 plastic house내의 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코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월 20일부터 2월 25일 까지 P. E.필름으로 4중피복된 턴널내에서도 최저온도는 대부분 5℃를 보여 고추의 냉해온도에 대한 노출을 피할 수 없었고 이 기간에 최고온도는 대부분 33℃를 보였으며 극값은 42℃를 보여 다소간 환기의 필요도 인정되었다. 2. 피복이 증가할수록 온도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 노지는 5-10℃를 보인 반면 피복내에는 16-38℃의 일교차를 보였다. 3. 저온기에 다중피복에 의한 보온효과는 뚜렷하였으나 4중피복하에서도 12℃이하의 온도출현이 많아서 고추 시설내 육묘시 냉해피해 가능성이 상존하며, 30℃이상의 고온출현회수도 200회 이상이었다. 4. 광도에 있어서도 피복이 증가할수록 광도는 감소하였고 온도증가는 크게 광의존성이었으며, 최저광도는 피복에 관계없이 고추의 광보상점 이하를 보여주었다. 5. 12월 20일부터 2월 중순까지 기온은 오전 10시 이후에야 고추의 생육한계온도인 10-12℃이상이 되었고, 오후 4시 이후에는 기온은 12℃이상이 되어도 광도가 급격히 낮아 고추유묘의 광합성 및 생장에 제한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6. 시설내 최저지온은 동계 4중피복내에서도 10℃내외로서 고추생장에는 생리적 피해온도 범위에 속하였다. 7. 광주지방에 45년간 온도자료를 보면 노지 최저온도의 극값은 1월 5일에 -19.4℃를 기록하였으며 대부분 장기자료로부터 얻은 평균에서 ±5℃의 편차를 보였다.
        4,500원
        26.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arried out to changes α-amylase activity and isozymes in barley during germination in the dark and red light. The specific activity of α-amylase was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periods in the dark, giving 355.0 and 523.7 units/㎎ protein at 3 and 5 day, and the activity was increased by the red light up to 48 and 15% at 3 and 5 days of germination, respectively. The ratio of α-amylase Ⅰ and Ⅱ was approximately 95 : 5 at both 3 and 5 days of germination in the dark while the different ratio was found by the red light i. e. 60 : 40 and 90 : 10 at 3 and 5 days of germination, respectively.
        4,000원
        27.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요(主要)잔디의 plug로 잔디포(圃) 조성시(造成時) 조도(照度)가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hewings fescue와 zoysia-82는 조도(照度) 감소(減少)에 따라 초장(草長)과 엽장(葉長)은 길었고 엽폭(葉幅)은 감소(減少)하였으나, red fescue는 이식(移植) 90일(日), 120일(日) 후(後) 조사시(調査時) 9%의 조도(照度)에서의 초장(草長)과 엽장(葉長)이 30%의 조도(照度)에서 보다 더 짧았다. 세 종(種) 모두 조도(照度)가 감소(減少)함에 따라 지표면(地表面) 피복율(被覆率)이 감소(減少)하였으며 각(各) 부위별(部位別) 건물중(乾物重)도 조도(照度)의 감소(減少)에 따라 가벼워졌다. Zoysia-82는 조도(照度)의 감소(減少)에 따라 엽록소(葉綠素) a, b, 및 총(總)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이 증가(增加)하였으나, red fescue와 chewings fescue는 30%의 조도(照度)에서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이 가장 많은 편이었고, 엽록소(葉綠素) a/b는 chewings fescue와 red fescue는 자연광(自然光)에서 낮았으나 zoysia-82는 30%의 조도(照度)에서 가장 낮았다. Chewings fescue와 red fescue의 분얼수는 조도(照度)가 감소(減少)할수록 감소(減少)하였다. zoysia-82의 절간장(節間長)은 30%, 자연광(自然光), 9% 조도(照度) 순(順)으로 길었고, 절간직경(節間直莖)은 조도(照度)의 감소(減少)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4,000원
        28.
        2017.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fish, light (photoperiod, intensity and spectra) is main regulator in many physiological actions including body growth.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ght spectra on the body growth in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Experiment performed from December, 2016 to March, 2017 and fish (n=200, body weight 6.9±0.1, total length 7.5±0.1) was reared under different light spectra (blue, green, red and white) for 15 week under 12 hour light and 12 hour dark photoperiod and natural water temperature (13.6~16.7℃). We examine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growth hormone (GH) in the brain with pituitary and photoreceptors mRNA expression in the retina. Red spotted grouper of BW was no different in each for the four groups (light spectra of blue, green, red and white) to five week of rearing period, but BW of rearing blue light spectra group fis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en week of rearing period. After that, in 15week of rearing period, BW of four group fish was no showed difference respectively. The total length (TL) of fish was no differed in four experimental groups under the experimental duration respectively. The gh mRNA was more highly expressed in rearing blue light spectra group fish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s in 15 weeks. The short wavelength sensitive opsin (sws) mRNA was more increased in rearing blue light spectra group fish than other groups in 15 weeks. The middle wavelength sensitive opsin (mws) and rod opsin mRNA expression was no differed in four experimental groups under all experimental durations respectively. The long wavelength sensitive opsin (lws) mRNA expression was more increased in rearing red light spectra group fish than other groups in 15 weeks. Our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somatic growth of red spotted grouper is induced under blue light condition under low water temperature duration. Also, these results are thought to be affected of the gh and sws mRNA expression blue wavelength. However, in this experiment we did not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GH and photoreceptor.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correlation of the light spectra and photoreceptor with body growth in red spotted grouper.
        2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Nasturtium officinale L. which is commonly known as watercress is aquatic perennial herb distributed to Europe, Asia, North and South America. It consist of various nutrients and beneficial compounds such as vitamin B and C, provitamin A, folic acid, carotenoids, glucosinolates, and minerals.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biological properties that include antidiabets, 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light-emitting diodes (LEDs) on growth and development, accumul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glucosinolates were investigated in watercress. Methods and Results : Length of shoot and root, and fresh weight of whole plants were measured every weeks (1 to 3 weeks) after sowing. These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different LED lights. Normally, length of shoot and fresh weight of white- and blue-light-radiated watercress were less than those of red-light-radiated watercress.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glucosinolates were investigated in watercress under different LEDs treatment by HPLC analysis. Six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catechin hydrate,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p-coumaric acid, trans-cinnamic acid, and kaempferol were detected. Also, eight glucosinolates that include four aliphatic glucosinolates (glucoiberin, gluconapoleiferin, glucosiberin, and glucohirsutin), three indolic glucosinolates (4-hydroxyglucobrassicin, glucobrassicin, and 4-methoxyglucobrassicin), and one aromatic glusinolate (gluconasturtiin). Mostly, white light treatment led to the higher production of their compounds than those of red- and blue-radiated.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different LED lights have effect on growth rates and secondary metabolites production. Red light caused vigorous growth of shoot and affected their fresh weights. In addition, the accumulation of each compounds was varied depending on light colours and time of harvest.
        30.
        2015.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ght characteristics are very specific in the aquatic environment. Fish vision and different light spectra perception are related to each species’ natural habit. Light is one of the mai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an be easily manipulated in artificial rearing settings. Mucus-secreting goblet cells are the main regulators of digestion.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whether the light spectrum (natural condition, full spectrum: green, 520 nm; red, 590 nm, and blue, 480 nm) influences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ve activity related to mucus-secreting goblet cell activity in order to develop a good management protocol and optimal rearing system for nursery stage of Epinephelus akaara. For each light spectrum, fish (11.5 ± 0.2 g in mean initial body weight, 9.0 ± 0.1 cm mean initial total length) were reared 16 weeks under a flow-through system and fed commercial pellet diets twice daily.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final body weights differed among the fish reared under different light spectra. The highest growth performance value and feed efficiency were observed in fish reared under the green light condition. Mucus-secreting goblet cell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ish under green light condition than in the fish under the natural, red, and blue light conditions. Rearing of E. akaara under the green light condition had positive effects on fish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on. We recommend that the appropriate light spectrum for nursery stage of E. akaara is the green light con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performance and the synergistic effects of mucus-secreting goblet cells. However, longer light treatment periods are needed in future investigations to clarify the effects of light spectrum on each growing stage of E. akaara.
        31.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늬 베고니아(Begonia rex) ‘Harmony’s Red Robin’은 독특 한 적색 무늬로 잘 알려지고 인기 있는 실내식물이다. 하지만, 실내 에서는 광환경이 불량하여 무늬의 색상이 퇴색하는 경향이 있어 관 상가치가 감소된다. 본 실험은 무늬 베고니아 ‘Harmony’s Red Robin’ 잎의 적색 무늬 발현에 미치는 광질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 해 실시하였다. 실내에서 광원으로 형광등(F)과 LED-백색광(W), 적색광(R), 청색광(B), 녹색광(G), 황색광(Y)과 적·청혼합광(RB, 적색:청색=4:1) 등 7가지로 광 처리하였다. 실내 조건은 기온 25±4℃, 상대습도 60±5%였다. 모든 처리 광원의 광도는 60μ mol·m-2·s-1로 조정하였고 12시간 일장조건으로 8주간 처리하였 다. 그 결과, 생육 특성은 RB, W, B LED에서 양호했다. 전체엽수 는 RB와 B에서 증가했고 총엽면적과 잎의 생체중은 RB, W, B에 서 처리 간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무늬 발현 특성 중 무늬 비율은 LED RB와 B에서 양호했고 무늬의 적색 발현은 B에서 가장 양호 하였다. 결론적으로, 실내에서 무늬 베고니아 ‘Harmony’s Red Robin’의 적색 발현을 향상시키기 위해 LED 청색광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식물 생장과 인간의 시야 및 미적 환경 등을 고려 할 때 LED 백색광과의 적절한 조합비율의 적용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2.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독특한 잎의 형태, 색상과 질감은 높은 관상가치를 나타내는 특 징들이다. 일반적인 녹색 관엽식물에 비해 잎에 두 가지 이상의 색 이 혼입된 무늬 관엽식물은 원예적으로 관상가치가 높다. 관엽 베 고니아인 B. rex ‘Harmony’s Red Robin’은 긴 엽병과 반짝이는 적색 무늬, 그리고 거친 질감의 잎을 가진 동인도 원산의 근경성 품 종이다. 그러나 자연채광이 불량한 실내에서는 낮은 광도로 인해 무늬 식물 고유의 색상이 퇴색되는 경향이 있어 관상가치가 감소된 다. 식물은 적정 광도에서 가장 잘 자란다. 따라서 관상가치를 유지 하기 위해서는 불충분한 실내 광조건이 개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에서 무늬 베고니아 ‘Harmony’s Red Robin’의 생 육 적정 광도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광원은 보편적 실내 광 원인 형광등(fluorescent lamp)을 이용하였고, 광도에 따른 생육 특성과 무늬발현특성, 색소함량을 처리 전 초기값을 기준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무늬 베고니아 ‘Harmony’s Red Robin’은 60μ mol·m-2·s-1 광도에서 가장 생육이 양호하였으나 적색발현을 나타 내는 적색도와 안토시아닌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초기값보다 감소 했다. 결론적으로, B. rex ‘Harmony’s Red Robin’의 실내에서 적 정광도는 60μmol·m-2·s-1이었다. 그러나, B. rex ‘Harmony’s Red Robin’의 잎 무늬에 있어서 적색발현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