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1.
        202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태블릿 기반 스포츠심리측정(심리기술, 경쟁불안, 수행 프로파일)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인천 및 전남지역의 중⋅고⋅대학교 7개 종목(핸드볼, 양궁, 야구, 배구, 농구, 축구, 사격)의 운동선수 113명이 지필식과 태블릿을 활용한 스포츠심리측정도구에 응답하였으며, 태블릿 기기만을 활용한 재검사에는 78명이 참여하였다. 태블릿 기반 스포츠심리측정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지필식 검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태블릿 기기를 활용한 1주 간격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TOPS-2와 SCAT, IZOF 수행프로파일에 대한 지필식 검사와 태블릿 기반 검사의 상관관계는 대부분의 요인에 대하여 높은 정적상관이 나타나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둘째, 태블릿 기반 검사의 TOPS-2와 SCAT, IZOF 수행프로파일 요구점 수에서는 검사-재검사 결과 평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시간적 안정성 측면에서 신뢰도가 입증되었으며, 상관관계 도 높게 나타나 신뢰도의 증거로 해석되었다. IZOF 수행프로파일의 현재점수는 평균차이가 나타났지만 요인별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 시간적 안정성을 확보하였다고 판단하였다. 결론: 태블릿 기반 검사는 지필식 검사와 다 른 문항표출 방식을 지니고 있지만,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심리검사에 대하여 태블릿을 활용한 검사결과의 타당도 와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따라서 자료의 전산화나 준비과정의 간소화의 장점을 지닌 태블릿 기반 스포츠검사는 스포츠심리상담 현장에서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함이 검증되었다.
        22.
        201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에테폰과 부형제를 혼합하여 에틸렌 발생 타 블렛을 제조하였고, 에틸렌 가스 활성조건을 구명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온도조건별 타블렛의 에틸렌 발생량은 온 도가 높을수록 많은 발생을 보였다. Activator pH 조건별 에틸렌 발생량은 pH 7.0 및 9.0 조건에서는 발생량이 약 2 ppm으로 미미하였으나, pH 13.0에서 타블렛의 에틸렌 발생량은 Prosolv 부형제 94.05 ppm, HPMC 부형제 126.28 ppm, Crosscamellose 부형제 100.11 ppm으로 각각 나타났 다. 제조된 타블렛의 마손도는 Prosolv 부형제 0.1%, HPMC 부형제 0.3%, Crosscamellose 부형제 54.1%로 나타나 Crosscamellose 타블렛은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붕해 도의 경우 각각의 부형제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Prosolv 부형제 1분, HPMC 부형제 7분 이상, Crosscamellose 부형제 5분으로 각각 나타났다. 최종 선정된 부형제인 Prosolv 타블렛의 시간대별 에틸렌 발생 측정결과 가스포집 20시간 까지 에틸렌 발생량은 꾸준히 증가하였지만 20시 이후의 발생은 미미하였고 지속적인 가스 발생은 처리 후 20시간으로 나타났다.
        2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STEAM 기반 태블릿 G러닝 콘텐츠 개발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STEAM이란 Science(과학), Technology(기술), Engineering(공학), Art(예술), Mathematics(수학)를 뜻한다. STEAM은 이들 분야를 하나로 융합하여 교육함으로써 과학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는 3D STEAM 교육과정을 G러닝과 융합한 플랫폼 개발 과정을 분석하였다. STEAM 학습 주제 분석을 통해 선정된 5학년 과학 '태양계와 별'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단순 IT기반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아닌 G러닝과 융합된 학습 콘텐츠를 새로이 개발하였다. 학생들은 콘텐츠에 대해 높은 흥미와 몰입을 보여주었다.
        24.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바일 플랫폼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가 양산됨에 따라 교육용 기능성게임 역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교육용 기능성 게임은 교육적 기술의 적용이 미비하거나 오프라인(Offline) 교육과 연계되지 않는 단독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 효율성이 낮다. 본 논문에서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아동 교육용 기능성 게임 ‘쌀미미 어드벤쳐’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게임은 이야기, 놀이, 음악, 요리의 4가지 요소를 디자인하여 총 5단계로 구성하였고 캐릭터와 인터랙션 등을 통한 콘텐츠의 집중도와 흥미를 높였다. 천안 소재 초등학교 3,4학년 126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의 학습 융합과 효율성을 실험한 결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디지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의 연계 학습 측면과 학습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게임 콘텐츠의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들의 오프라인 교육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적용한 효과적인 수업과 학습 방법을 모색 할 수 있을 것이다.
        2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南冥 曹植은 退溪 李滉과 더불어 朝鮮을 대표하는 학자다. 그의 사후 그의 생애를 기록한 여러 傳記文字가 존재한다. 그 가운데서도 그의 神道碑는 여느 인물들과는 달리 네 개나 존재한다. 신도비는 하나만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1609년 남명이 領議政에 追贈됨으로 해서 당시 대표적인 제자라 할 수 있는 來庵 鄭仁弘이 神道碑를 지었다. 그러나 1623년 仁祖反正이 일어나 來庵이 처형되자, 죄인이 지은 神道碑는 둘 수 없어 즉각 없애버렸다. 다시 神道碑의 글을 받아 세울 필요가 있을 때, 남명의 손자 曺晉明이 謙齋 河弘度에게 請文했다. 겸재는 자신은 지을 수 없다는 뜻을 표하였다. 대신 西人의 대표적인 학자로서 志節로 널리 알려진 淸陰 金尙憲에게 請文하도록 주선해 주었다. 그러나 淸陰은 지어주지 않았다. 당시 남명의 弟子나 後學들로 주축을 이루었던 大北派가 몰락한 직후라 南冥學派는 매우 곤경에 처해 있었다. 겸재는 南冥學派를 존속시키기 위해서는 西人들과 제휴할 필요를 절실히 느꼈기 때문에 西人 가운데서 영향력이 있는 淸陰에게 청문하도록 주선했던 것이다. 淸陰이 지어주지 않자, 당시 南人의 영수였던 龍洲 趙絅에게 청문했다. 그러나 그는 오랫동안 지어주지 않았다. 그 뒤 용주보다 후배로 南人의 영수인 眉叟 許穆과 西人의 영수인 尤庵 宋時烈에게 청문하여 두 편의 神道碑文를 받았다. 그 당시는 德川書院을 南人들이 주도하였으므로 南冥의 묘소 밑에 眉叟가 지은 神道碑를 세웠다. 尤庵이 지은 神道碑文은 나중에 三嘉 龍巖書院의 廟庭碑로 세워졌다. 1764년 『南冥別集』을 만들어 南冥에 관계된 附錄文字를 수록할 때도 眉叟와 龍洲가 지은 神道碑文은 수록되었지만, 尤庵이 지은 神道碑文은 수록되지 않았다. 처음에 南人의 영수와 西人의 영수에게 南冥의 碑文을 동시에 받은 것이 論難의 발단이었다. 두 사람은 學問의 方法이나 文章體裁가 다르기 때문에, 보는 시각에 따라서 그 碑文은 처음부터 문제가 될 수 있었다. 眉叟는 스스로 ‘漢나라 이후의 글은 안 본다’라고 선언할 만큼 六經에 바탕한 古學 위주의 학문을 했고, 文章도 아주 簡明하면서 含蓄的이었다. 반면 尤庵은 철저한 朱子學 신봉자였고, 문장도 朱子처럼 내용 위주의 雄渾, 質朴한 文體를 즐겨 사용하였다. 南冥의 후손들은 애초에 어느 특정 黨派에 얽매인 것은 아니었지만, 眉叟가 지은 神道碑文에서, 제목을 「南冥先生神道碑」라 하지 않고 「德山碑」라고 한 점 , 南冥이 學問淵源이 없이 독자적으로 一家의 學問을 이룬 것처럼 서술한 점, 氣節만 강조한 점, 이미 처형된 鄭仁弘의 이름을 비문에 특별히 기록한 점, 자손을 수록하지 않은 점 등에 강한 불만을 갖고 있었다. 그래도 南人系 儒林들이 眉叟를 워낙 尊崇하기 때문에 불만을 가진 南冥 후손들은 어쩌지는 못 하고 오랜 세월을 지내왔다. 그러다가 眉叟가 南冥을 존경하지 않는 느낌을 주는 내용이 담긴 「答學者書」를 남명 후손들이나 西人系列의 인사들이 입수하여 보게 되자, 眉叟가 지은 神道碑에 대한 불만이 더욱 크게 고조되었다. 1879년부터 勉菴 崔益鉉, 淵齋 宋秉璿, 心石齋 宋秉珣, 老栢軒 鄭載圭 등 老論系 學者들이 眉叟가 지은 神道碑文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尤庵이 지은 神道碑를 칭찬하자, 南冥 後孫과 西人系 儒林들은 尤庵이 지은 碑文을 세울 운동을 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眉叟가 지은 南冥 神道碑에 강한 불만을 갖고 있던 남명 후손들이 1926년에 이르러 眉叟가 지은 神道碑를 넘겨 버렸다. 그러자 南人들은 南冥 후손들을 대대적으로 성토하면서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였다. 大邱覆審院에까지 가는 5년 간의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다. 결과적으로 1차 2차 소송에서는 남인들이 이겼지만 최종심에서는 曺氏들이 이겼다고 한다*. 眉叟가 지은 神道碑는 다시 서지 못 했고, 묘소 밑에는 尤庵이 지은 神道碑만 서 있게 되었다. 두 비석이 다 특징이 있고, 濟南 河經洛의 條卞처럼 자세히 들여다보면 眉叟가 지은 碑文도 큰 문제가 없지만, 이해하기 쉽고 南冥을 尊崇하는 점은 尤庵碑가 더 낫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네 개의 南冥神道碑는 각각 특색이 있고, 또 그 撰者들은 모두 학문적으로나 영향력에 있어서 당대의 최고의 인물이었으므로, 오늘날 와서 보면, 남명을 연구하는 데 네 개의 신도비가 있는 것은 오히려 크게 도움이 된다.
        26.
        2011.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전통발효식품인 청국장의 기능성 및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생약초(표고버섯, 더덕, 어성초) 추출물을 각각 동량 섞어 제조한 것을 청국장환에 10%, 20% 및 30% 첨가하여 제조한 다음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생약초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색도 중 L값과 b값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pH의 경우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 조지방과 조섬유 함량은 생약초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27.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lumbo nucifera root(NNR) is used to clear summerheat(暑熱), bear Yang(陽) upwards and stop bleeding as mention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lso, it has been known that NNR is effective for lowering blood pressure and hyperlipidemia. The rhizome is considered to be nutritive, demulcent, diuretic and cholagogue and is used to treat piles, dyspepsia and diarrhea. An increasingly growing market for nutr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has triggered the study on natural sources for nutraceuticals, health foods and functional foods. But rhizome was inconvenient to formulate liquid dosage form(extract) by way of hot water because of its limited storage. Also the majority of the consumers have a complaint against the dos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unctional materials from NNR without side effects. We formulated the solid dosage form viz tablet and granule from the lotus root.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in terms of smell, taste, color and overall of lotus root and all colored forms(brown, dark brown, light green and yellow) of tablet and granule to evaluate the acceptability of the formulated tablets and granules. In sensory evaluation, among the formulated tablets and granules, light green granules obtained best score overall and yellow tablets showed the overall improved acceptability. In conclusion, lotus rhizome could be recommended as functional food. Further studies to clarify bioactive functions of Nelumbo nucifera in experimental animal model on atopic dermatitis are in progress.
        28.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타블렛의 영양성과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재료로 유자, 사과, 당근, 표고버섯의 혼합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검토하였다. 당근분말은 0.75 g 첨가시에 타블렛의 견고성이 낮았으며, 표고버섯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이 증가하였다. 사과는 1.0 g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표고버섯 및 당근의 첨가량이 견고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김치 타블렛의 hue angle은 유자, 사과, 당근 및 표고버섯의 첨가량이 0.5 g 이하 및 1.
        29.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쇄한 재료와 젖산균 스타터를 사용하여 김치를 숙성시킨 후 열풍건조 (HAD) 및 동결건조 (FD)를 행하고, 성형압력 (100, 150, 200 kg/cm2)과 성형시간별 (0, 1, 2, 3, 4분)로 제조한 김치타블궷 (KT)의 붕해성과 여백의 특성, 텍스쳐, 객도, 흡습성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FD-KT의 성형압력의 증가에 따른 붕해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HAD-KT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FD-KT는 HAD-KT에 비하여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