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00

        481.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SWRO treatment shows high performance, a major problem associated with the biological growth of algal blooms (AB) still exists in many areas.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applications of pretreatment for the removal of AB-forming species in seawater and identified limitations to highlight future research areas. In addition, we evaluated pretreatment techniques such as meshed tube bio-filtration (MTBF) and UV oxidation, with the aim of marine algal cells and marine algal organic matter (AOM) removal, respectively. Vital indicators for ABs quantification, effects of the AB-forming species’ properties (size/shape, cell rigidity and toxicity/mobility) on treatment, and potential problems during AB-forming species removal were also visited.
        482.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SWRO-PRO 복합해수담수화 시스템은 압력지연삼투(PRO) 기술을 활용하여 역삼투(SWRO) 해수담수화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고염도 농축수의 삼투에너지를 회수하는 기술이다. 고염도 농축수와 저염도 하수처리수를 각각 PRO 시스템의 유도용액과 유입수로 사용하며, 두 용액의 농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삼투에너지를 압력교환장치(isobaric pressure exchanger)를 통해 회수하여 SWRO 고압펌프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줄이거나, 터빈 형태의 에너지 회수장치(Pelton turbine)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PRO 시스템을 통해 회수된 에너지는 해수담수화 운영비를 절감하는데 기여하고, 고농도 농축수의 희석 방류로 해양생태계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489.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LNG 공급계통시스템의 재기화 공정에서 배관 손상으로 인한 누출사고 발생시 LNG 성분 및 누출공의 크기에 따른 연소특성에 대한 피해범위를 산출하고, 피해영향을 해석하였다. LNG 성분에 따른 연소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7곳의 LNG 산지별 위험도를 확인한 결과 산지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LNG 구성성분 중 메탄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플래시화재 발생범위 및 증기운 폭발에 의한 과압이 발생하는 위험범위 그리고 제트화재 발생에 의한 열 복사량 피해영향이 다른 산지에 비해 비교적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배관 누출공의 크기에 따라 누설, 파공, 파괴 3단계에 나누어 위험 범위 및 폭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플래시화재로 인한 피해영향범위를 계산하고, 이에 따라 LNG 누출시 화재가능 위험범위를 확인했으며, 과압의 영향 및 복사열로 부터의 피해범위를 예측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LNG 조성 및 배관 누출공의 크기가 화재 및 폭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었다.
        4,000원
        490.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3년간 검토된 환경관리해역에서 이루어진 해역이용협의 건수는 총 60건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보전해역에서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특별관리해역에서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환경관리해역의 개별사업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공구조물 설치사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외 항만 어항개발, 연안정비 및 해수 인 배수사업유형이 많이 이루어졌다. 환경관리해역에서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MEIS) 자료를 활용하여 2006~2017년까지 경년별 수질변화경향을 비교한 결과, COD는 뚜렷한 증감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환경보전지역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TN과 TP의 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별관리해역인 광양만과 마산만 및 환경보전해역인 가막만에서는 주로 하계에 빈산소수괴가 출현하였다. 이러한 환경관리해역에서의 이용·개발행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해양환경부문 환경영향평가(해역이용협의)시에는 충분한 수질변화에 대한 실태분석 및 사업추진에 따른 수질영향과 퇴적물의 오염상태를 철저히 진단해서 오염원관리에 대한 대책이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각 환경관리해역의 지정 목적에 따른 유지 수질목표를 명확히 설정하여, 오염원 및 연안오염총량관리와 연계하여 오염 부하량 저감대책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4,000원
        491.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weigh-in-motion (WIM)-based overloading enforcement systems on the performance of a traffic stream. METHODS: A VISSIM simulator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various scenarios. Actual WIM event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 was used for simulation parameter calibrations. A genetic algorithm was incorporated into the calibration procedure to identify the optimal set of parameters. The impact of the overloading enforcement systems on the traffic stream was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mobility, safety, and environmental compatibility. RESULTS: The existing enforcement system is generally superior to the new pilot enforcement system. CONCLUSIONS : Policies and regulations to fully exploit the benefits of WIM-based enforcement systems on freeways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various enforcement scenarios should be tested on both actual and simulated environments.
        4,300원
        49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습지에 복원사업을 시행한 금개구리 개체군의 번식울음 및 번식울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구로구 궁동저수지 생태공원이었다. 연구기간은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이었다. 연구대상종은 복원사업을 시행한 금개구리와 동일한 지역에 번식울음을 내고 있는 청개구리, 맹꽁이 등도 포함하였다. 번식울음 및 환경소리 측정은 생물음향 측정기기(Songmeter SM4)를 습지를 바라보도록 수변의 수목에 설치(높이 1.2m)하였고, 시간당 5분씩 24시간 녹음되도록 스케쥴을 설정하였다. 기상요인은 국가기후데이터센터(http://sts.kma.go.kr/)의 서울지역 기상청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대상지에서 관측된 양서류는 금개구리, 청개구리, 맹꽁이 3종이었다. 두 번째 일별 번식울음 분석결과, 금개구리와 청개구리는 녹음을 시작한 5월 23일에 이미 번식울음을 시작한 상태이었고 금개구리는 8월 31일 울음을 종료하였고, 청개구리는 8월 이후에도 울음을 지속하였다. 맹꽁이는 6월 26일에 시작하여 7월 12일에 번식울음을 종료하였고, 중간에 울음을 울지 않은 날을 제외한 실질적인 번식울음 일수는 7일이었다. 세 번째 금개구리 울음빈도는 조사기간 중 5월 24, 25, 26일 3일간 13시간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이외에는 1~8시간 정도로 울음빈도가 낮아졌다. 네 번째 장마가 시작되는 6월 26일부터 7월 2일 사이에 양서류 3종 모두 집중적으로 번식 울음을 내었다. 8월 초부터 8월 중순까지 온도가 높은 기간 동안에는 금개구리와 청개구리의 울음빈도가 낮았다. 다섯 번째 번식울음의 일주기 패턴 분석 결과 금개구리와 청개구리는 19시에 울음을 시작하여 21시부터 15시까지 피크를 형성하였고, 낮시간 동안에는 거의 울지 않았다. 맹꽁이는 20시부터 06시까지 울음을 내었고 04에 피크를 형성하였다. 여섯 번째 연구대상종이 번식울음을 내는 평균온도 분석결과 금개구리는 21.86℃(최저 11℃~최고 33℃) 청개구 리는 22.94℃(최저 12℃~최고 31℃), 맹꽁이는 22.44℃(최저 19℃~최고 25℃)이었다. 금개구리, 청개구리, 맹꽁이 번식울음에 대한 평균온도의 분산분석 결과 금개구리와 맹꽁이는 동일집단으로 청개구리는 다른 집단으로 구분되어 금개구리와 맹꽁이가 청개구리보다 낮은 온도에서 울음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도시습지에 멸종 위기종인 금개구리 복원사업 시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9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에 감염된 Anopheles속 모기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이다. 한국의 Anopheles속 Hyrcanus group 모기 가운데 특히 Anopheles kleini, Anopheles lesteri, Anopheles pullus는 말라리아 주요 매개충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말라리아는 휴전선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환자 발생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한국의 기후는 점차 아열대 기후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가 한국의 말라리아 전파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말라리아 위험지역 가운데 경기 서북부 지역인 파주, 김포, 강화 세 지역의 소 축사에서 2014년과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채집된 모기의 월별 종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종 분포와 기후조건과의 관계를 통계분석 하였다. 기후조건으로는 채집일 기준 14일 전까지의 평균기온, 풍속, 강수량, 습도를 이용하였으며 Hyrcanus group 모기 6종(Anopheles belenrae, An. kleini, An. lesteri, An. pullus, Anopheles sinensis, Anopheles sineroides)의 분포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강수량과의 연관성은 찾지 못하였으나, An. kleini, An. lesteri, An. pullus는 기온이 상승했을 때 Hyrcanus group 내에서의 분포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n. sinensis는 풍속과 습도가 높을 경우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종들은 풍속과 습도가 낮을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한반도의 기온이 점점 상승하는 환경은 말라리아 주요 매개충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기존의 북한과 인접한 DMZ 부근에서 발생하던 말라리아가 한반도 내 다른 지역으로 분포 지역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49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시생태계는 일련의 속성들을 통해 자연생태계와는 구분이 되며, 도시 안에서 인간의 영향력 때문에 자연계와는 다른 도시만의 특별한 생태계와 종조성을 이루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생물군집들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는 제한적이다. 여러 도시생물 중에서 개미는 종수와 개체수가 많아서 채집과 조사에 편리가 있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히 반응하며 다년성 서식지(perennial nest)를 유지하기 때문에 교란된 환경의 회복이나 생태계 교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생물지표종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도시에 존재하는 모자이크 형태의 다양한 서식지에 서식하는 개미 조사를 통해 도시화가 개미군집 구조에 미치는 생태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12개의 조사지점(9개의 토지이용 유형)에서 52종의 개미가 기록되었고, SOM(self-organizing map) 분석 결과 12개의 조사지점은 3개의 클러스터로 구분되었다. 구분된 각각의 클러스터들은 개미군집과 서식지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종 분석(indicator species analysis) 결과, Tetramorium tsushimae 주름개미는 도시공원, 경작지 그리고 노지와 같은 서식지(open habitat)를 Proceratium watasei 와타세침개미는 상록수림과 같은 서식지(forest habitat)를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도시화는 외래종을 포함한 침입종(Linepithema humile)에 의한 교란 또는 서식지간 균질화(homogenization)을 유발하여 원래 고유한 개미군집의 규모나 종다양성을 변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추후 도시생태계 질(Quality of urban ecosystem)을 측정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개발에 개미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9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owing resistance to insecticides, especially pyrethroids, poses an increased risk for insect control world-wide. Thus, alternative compounds are urgently needed. Accordingly, my laboratory has been investigating synthetic materials, as well as natural products, which are an attractive source of new chemistries. We have examined the insecticidal and synergistic activity of new compounds using Drosophila melanogaster and the mosquitoes Aedes aegypti and Anopheles gambiae as model insects. In addition, we have also been investigating the modes of action of experimental molecules in various physiological preparations. Natural product research included thymol, which was toxic to Ae. aegypti adults at doses (3-50 μg/mg) similar to published toxicities for the cabbage looper larvae, Trichoplusia ni. On homomultimeric Anopheles gambiae GABA receptor-chloride channel complex expressed in Xenopus laevis oocytes, thymol acts as a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 increasing the potency and maximal effectiveness of applied GABA, consistent with the sluggish paralysis it elicits in exposed insects. Other studies investigated matrine; a bioactive component extracted from Sophora flavescens that is used as the main ingredient in Chinese bio-pesticidal products. Matrine caused flaccid paralysis in headless fourth instar larvae of Ae. aegypti (50% paralysis in 5 hours at 8 ppm) and was toxic to adult females by contact (topical LD50 = 258 ng/mg). Adult toxicity was increased about 2-fold by pretreatment with the mono-oxygenase inhibitor, piperonyl butoxide. Interestingly, this compound was much less effective on D. melanogaster in either glass contact or feeding bioassays. Adult mosquito knockdown was rapid, with little or no expression of hyperactivity or hyperexcitability. Matrine (ca. 1 mM) had effects similar to thymol on expressed An. gambiae GABA receptors, and reduced EPSP amplitude at the Musca domestica neuromuscular junction, without any evidence of neuroexcitation or membrane depolarization. These physiological actions are sufficient to explain the whole animal intoxication by matrine, but requir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to manifest themselves. Other studies tested a series of potassium channel blockers, including 1-((2-chlorophenyl)diphenylmethyl)-1H-pyrazole (TRAM-34), 11-dansylaminoundecanoic acid (DAUDA), and 5-hydroxydecanoic acid (5-HDC) as insecticides and synergists of pyrethroids. We also evaluated the action of these compounds in patch clamp recordings of engineered HEK cells expressing Anopheles gambiae Kv2.1 channels. Patch clamp studies revealed that fatty acid compounds without functional groups in the alkyl chain (e.g., decanoate, DAUDA) yielded a more potent blocking action on Kv2.1 currents than substituted fatty acids (e.g., 5-HDC). Also, in comparison to 2-methoxy-N-((1-phenylcyclopentyl)methyl)benzamide (2S-65465), a known Kv2 channel blocker (IC50 = 100 nM), decanoate and DAUDA were 6-fold and 12-fold less active, respectively, as blockers of potassium current. TRAM-34 was the least potent inhibitor tested in patch clamp studies (IC50 = 30 uM). When tested on D. melanogaster CNS, the compounds typically gave an initial increase in firing rate, followed by a decrease, both effects at micromolar concentrations. Various toxicity assays showed the same potency ranking as that obtained through patch-clamp recordings, indicating a possible connection between channel block and whole organism effects. In order to possibly improve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the fatty acids, we synthesized derivatized analogs (e.g., methyl esters) presumed to better penetrate the cuticular barrier, but activity did not improve. Finally, in contrast to a published patent, we found that fatty acids did not show much synergism with pyrethroids. The implications of this work for resistance management will be discussed.
        49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북아프리카의 ‘아랍 Maghreb 연합’(AMU) 지역조직의 체제형태가 정체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주의와 지역조직에 접근하고 재고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 논문의 초점은 지역주의를 연구하는 비전통적인 방법으로서 국내 정치의 중요성에 대해 다룰 것이다. 그리고 지역주의에 대한 많은 연구들과 달리, 이 논문은, 일반적으로 보안이나 경제에 오래된 지역주의 패러다임의 결과로 초점을 맞추는 현실주의자들과 자유주의자들이 강조한 것과는 달리, 이 논문은 지역주의를 이해하기 위한 지침으로 국내 정치를 강조할 것이다.
        6,400원
        49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인들은 급격한 사회문화의 변화에 대한 적응과 극심한 경쟁 상황 속에서 항상 몸과 마음의 긴장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긴장은 결국 신체적인 또는 정신적인 질병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15여 년 동안 자기경영법을 연구하고 개발하여 교육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은 헬피니스 자기경영 운영체계이며, 이 교육을 통해 현대인들이 겪는 긴장, 스트레스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밝히며, 자기관리와 계발 차원에서 누구나 활용하여 좋은 습관을 가지며, 개인복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헬피니스 자기경영 운영체계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스트레스지각 점수가 감소하고,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감소하는 유의한 결과를 내었으나 그 영향이 직무성과로 이어지는 효과성을 검증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헬피니스 자기경영 운영체계 교육이 스트레스 완화에는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연구기간이 2주로 짧게 설계하여 직무성과로 이어지는 효과성을 검증하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5,200원
        49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원보존이론과 사회적 비교이론을 기반으로 개인의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 한편, 상사-구성원 관계의 사회적 비교(LMXSC) 수준과 동료 도움 의 정도가 개인의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에 미치는 효과를 어떻게 상이하게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 행위를 감소시킬 것이라고 예측하였으며, 상사 -구성원 관계의 사회적 비교가 낮을 때 이러한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 행위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보다 강화될 것이라고 보았다. 이와는 반대로, 동료 도움의 경우 동료 도움이 높다고 인식할 경우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 행위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보다 강화될 것이라고 가설화하였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군의 조직에서 근무하는 155명의 상사-직원 설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예측과 같이 사회적 비교성향은 지식 공유 행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구성원 교환 사회적 비교에 대한 인식이 낮을 때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강화되었으며, 반대로 동료 도움의 경우 동료 도움에 대한 인식이 높을 때 사회적 비교성향이 지식 공유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강화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지식경영 관점에서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5,200원
        500.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국적 기업의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현지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에게 정당성을 확보하는 방안 중 하나로써,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기업의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이 현지 지원자의 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국 가이미지(country of origin image)에 따라 사회적 책임 활동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 국내 구직자에게 있어 다국적 기업 해외자회사의 국내 사회적 책임 활동은 구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중국기업의 경우 이러한 사회적 책임 활동의 긍정적인 영향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호의적이지 않은 신흥국 기반의 다국적 기업들의 현지 진출 시, 현지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현지 구직자의 지원의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기업전략임을 확인함으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관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