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P (Fiber Reinforced Polymer) reinforced lightweight concrete structures can offer corrosion resistance and weight reduction effect simultaneously, so practical use of the structures may be expected afterwards. But, to construct the concrete structures using lightweight concrete and FRP bar, one of many important things to be previously investigated is to study bond characteristic between the lightweight concrete and the FRP bar. So, bond characteristics between lightweight concrete and two types of GFRP bar (helically deformed GFRP bar and sand coated GFRP bar)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do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bond strength test using a number of bond strength specimens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the bond strength of helically deformed GFRP bar and sand coated GFRP bar in the lightweight concrete were 49% and 81%, respectively, for the bond strength of steel reinforcement in the normal concrete.
이형철근과 FRP 보강근의 복합 이중근을 갖는 FRC 보의 휨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이 수행되었다. 인장근의 종류(CFRP 보강 근, GFRP 보강근, 철근)과 PVA 섬유 혼입률(0.5%, 0%)을 주요변수로 한 7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FRC 보의 균열 및 휨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해석적 방법이 제안되고 분석되었다. 복합 이중근을 가지는 실험체들에서 철근으로 이중근을 가지는 실험체가 철근과 FRP 보강근을 이단으로 배치한 실험체들에 비하여 26∼34% 균열하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휨강도에서는 복합 이중근을 가지는 실험체들 중 CFRP 보강근을 최외측으로 한 실험체가 가장 큰 내력을 나타내었다. 해석과 실험을 통한 휨강도를 비교한 결과, 강도비는 평균 1.2, 표준편차 0.085, 최대 오차율은 22%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본 연구의 유한요소해석방법이 복합 이중근을 가지는 보의 실제 거 동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flexural capacity of beam-column connection using FRP bars as a longitudinal reinforcement was higher than the predictions obtained using the equivalent stress block, whereas its flexural ductility was considerably lower than the companion connections using mild longitudinal bars.
In this experimental study, the characteristic of damages on GFRP rebar exposed to high temperature only and immerged in alkaline solution after the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was analyzed through microscopic image analysis. The found microcrack and pores in resin matrix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if there was effect of pre-exposure to high temperature. The damages, such as microcrack and pores in resin matrix, by alkali exposure were mainly found in rebar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pores caused by high temperatures were extensively found in a section and had greater width than those caused by the alkali exposure. In results of the quantitative comparison, the accumulated length and widths of microcrack and pores in resin matrix in pre-exposed GFRP rebar to high temperature were respectively 1.5 and 1.4 times of those in the GFRP rebar only immerged in alkali solution. Therefore, the deterioration of resin matrix by the alkali exposure could be accelerated due to the pre-exposure to high temperature.
본 연구는 일반철근과 FRPH Bar를 주철근으로 한 철근 콘크리트 보부재를 대상으로 정적실험 및 반복하중 재하실험을 수행하여 에너지 소산성능 및 반복하중 저항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24MPa의 설계강도를 가진 콘크리트 보부재(200×200×2175mm)를 제작 하였으며, 4점 휨 시험을 수행하여 초기균열하중, 항복하중, 파괴하중을 측정하였다. 정적하중 재하실험을 통해 각 시험체에 대한 항복하중과 파괴강도를 측정하였는데, 항복하중은 RC보에서는 48.9kN, FRPH 보에서는 36kN으로 평가되었으며, 파괴하중은 두 시험체 모두 50kN의 강 도를 보였다. 정적하중-처짐 결과에서는 FRPH 보는 RC보에 비하여 인장경화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FRPH bar의 인장경화 특성에 기인한다. 반복하중하에서 FRPH bar를 가진 보에서는 일반 RC보와는 다르게 작은 폭의 균열이 넓게 발생하였으며, 우수한 처짐 복원력을 나타내었다. 정적·동적 에너지 비율을 이용한 에너지 소산능력에서는 RC보에서는 0.62, FRPH 보에서는 0.83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를 통해 FRPH를 가진 보부재에서 효과적으로 반복하중에 대하여 저항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flexural strength and deflections developed of FRC beam with tensile bars composed of two layers combinations of steel bar, GFRP bar, and CFRP bar. As a test result, specimen with CFRP bars had the greatest maximum flexural strength. Specimens with FRP bars had more brittle failure behavior than only steel bars.
This paper introduces the recent development of GFRP-steel hybridized rebar and deals with an evaluation of its mechanical performance by auth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nsile and bonding performance of the GFRP-steel hybridized rebar. The effect of hybridization on tensile properties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ensile test with those of non-hybrid GFRP bars. The surface of the bar was designed and experimentally evaluated to obtain the sufficient bond strength in this study. To ensure the long-term durability of GFRP-steel hybridized rebar to corrosion resistance, the individual and combined effect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currently under investigation.
Accelerated alkali resistance test were conducted for pre-heated GFRP Rebar. The GFRP rebar specimens were heated to temperatures of 60℃, 120℃, 200℃ and 300℃ and then immerged in alkali solution for 30days. According to ACI 440.3R-12, tensile properties were measured.
본 연구는 경량콘크리트와 GFRP 보강근을 휨보강근으로 사용하여 제작되는 GFRP 보강근 경량콘크리트 슬래브를 교량 슬래브 등에 활용해보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와 GFRP 보강근 경량콘크리트 슬래브의 휨 거동 차이점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일련의 슬래브 실험체들을 제작하고 3점 휨 실험 및 수치해석을 행하였다. 실험 결과, GFRP 보강근 경량콘크리트 슬래브 실험체는 GFRP 보강근의 과다보강으로 인하여 실험체 하부에 발생된 초기균열이 하중 재하면의 콘크리트 압축부까지 연결되면서 전단파괴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된 슬래브 실험체에 비하여 무게는 72%이었으며 휨 실험에서의 파괴하중은 58%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idas FEA를 이용하여 행한 수치해석 과정은 실험에서 나타난 전단파괴 하중까지 잘 모사하였다. 그러나 GFRP 보강근의 인장강도 대신 탄성계수가 입력값으로 요구됨에 따라 가력되는 하중과 처짐은 실험에서 나타난 전단파괴 이후에도 계속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shear reinforcement for one-way voided slab is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 The shear reinforcement for one-way voided slab needs to be considered for improvement of its structural performance,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about the shear strength and the failure mode of its specimens.
본 연구에서는 GFRP 이형 보강근으로 휨보강된 보의 거동, 파괴유형과 강도를 평가하였다. 4개의 보 실험체들을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4점 하중재하 조건으로 단순지지된 GFRP로 보강 콘크리트 실험체의 거동과 하중-처짐을 관찰하였다. 전단배근으로 인한 거동의불확실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스터럽을 배근하지 않고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 변수는 전단지간비와 유효보강비이다. 실험체의 길이는3,300 또는 1,950mm × 200mm × 240mm이고 순지간 2,900 또는 1,000mm이다. 전단지간비는 6.5와 2.5이며, GFRP 유효 보강근비는1.126 pfb, 2.250 pfb, 3.375 pfb 와 0.634 pfb 이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체는 전단파괴 되었으며 실험계획에 적용한 ACI 440.1R, CSA S806와 ISIS의 전단 강도식이 실제와 편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design concept as well as trial products to develop hybrid reinforcing polymer ba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iable hybrid FRP bar for concrete structures, especially for marine and waterfront concrete structures. Three different types of hybrid FRP bar wer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Using E-glass fibers,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and conventional steel bar, hybrid GFRP bar samples of 9 mm and 13 mm in diameter were fabricated as the trial products.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ultrusion process of the trial product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In this paper, a finite element analysis to design hybrid reinforcing polymer bars was presented. Two different types of hybrid FRP bar were considered in finite element modeling. To offer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finite element modeling for the hybrid reinforcing polymer bars, shape and material properties were assumed. Input conditions for analyzing the hybrid reinforcing polymer bars using FEM were verified. Using the results of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he hybrid reinforcing polymer bars were optimally design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bout hollow core slab with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Reinforcing bar instead of using deformed bar. This experiment is planed because using GFRP Reinforcing bar instead of tension bar in existing RC hollow core slab will improve not only on the constructability but also on the durability by solving the corrosion of slab.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study, GFRP Reinforcing bar and additional deformed bar appear to be superior compared to RC hollow core slab in structural ability.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lexural behaviors of hollow core beam using GFRP reinforcing Bar.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hollow core slab using GFRP reinforcing bar in a construction site. To achieve this, five specimens is planned and conducted on experimental study. The shape and size of specimen are rectangular shape of cross section with 210mm x 230mm. As a results of test, to add deformed bar in hollow core beam using GFRP reinforcing bar demonstrated superior flexural performance. Therefore hollow core beam using GFRP reinforcing bar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apply in the field.
본 연구에서는 거주형 무량판 구조의 뚫림 전단을 방지하기 위한 연속 절곡된 전단 보강근을 개발하였다. 이를 적용한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있어 개발 전단 보강근의 뚫림 전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변수는 전단보강근이 없는 경우, 개발 전단보강근을 사용한 경우, 헤드 스터드를 사용한 경우이다.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정축력하에서의 이력 하중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전체 변위 및 접합부 강도 등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발된 전단보강근이 층간변위비 거동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환경인자에 노출된 상용 유리섬유강화(GFRP) 보강근의 내구특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촉진실험방법을 이용하여 2종류의 GFRP보강근에 대하여 내구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264개 시편을 염화물 알칼리. 동결융해 상태에 최고 132일간 노출시켰다. CFRP 보강근의 내구특성은 촉진 실험된 보강근의 인장강도. 수평전단강도. 탄성계수를 원래 상태의 보강근의 결과와 비교하여 파악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촉진 실험된 GFRP 보강근의 재료적 특성은 심각하게 감소되었다. 단기 내구성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GFRP 보강근의 장기 열화특성을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