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41.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개인심리학에 기반하여 수행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아들러 개인심리학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76년 1월부터 2018년 8월까지 발표 된 학술지 170편, 학위논문 224편을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내용, 연구방법, 핵심개념, 연구변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기별로는 2008년부터 연구가 급증하였다. 연구대상자별로는 학생들(초등학생, 청소년, 대학생·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주로 연구되었고, 특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연구내용별로는 개인심리학 핵심개념과 다른 변인간의 관계를 밝히는 관련요인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다음으로 효과연구, 이해연구, 프로그램개발연구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별로는 조사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다음으로 실험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핵심개념별로는 격려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음으로 개인심리학, 사회적 관심, 생활양식, 열등감 순으로 많이 연구되었다. 연구변인별로는 핵심개념이 독립변인으로 사용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종속변인, 매개변인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42.
        2018.10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평가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경향 검토 및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7년-2017년까지의 유아교육기관 평가 관련 학위논문 및 학술지 총 302편의 시기와 주제, 연구방법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평가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2010년 이후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주제별 분석에서는 ‘기관평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기관평가 사후관리’ 관련 연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관련 연구는 혼합대상 보다는 단일대상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유치원에 비해 어린이집 대상 연구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연구유형에서는 양적연구 중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고, 자료수집방법에서는 질문지법을 사용한 논문이 가장 큰 비율을 보였다. 질적연구는 면담법을 사용한 소수 연구가 이루어졌고, 문헌연구 및 양적·질적 혼합연구방법 또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끝으로, 자료 분석 방법은 양적분석, 질적분석, 문헌분석, 양적·질적 혼합분석 순의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후속연구들에서 좀 더 포괄적이고 다양한 각도에서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연구의 동향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4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72년부터 2007년까지 발표된 난 관련 석ㆍ박사 학위논문 130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연도별 분석결과, 1972년부터 2007년까지 130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1972년 처음 논문이 발표된 이후 차차 논문의 발표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대에 이르러서 발표논문이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2. 학위별, 학교별로 발표된 동향을 살펴보면 전체 학위 논문 중 석사학위 논문이 102편으로 전체의 78.5%인 반면, 박사학위 논문은 28편으로 전체의 21.5%에 불과하다. 학교별 분류에 있어서 논문 발표 빈도는 제주대가 16.9%, 서울여대가 13.1%, 고려대와 경북대가 각각 8%순이었다. 3. 난의 종류별로는 자생란 연구가 전체 연구의 41.5%로 다른 종류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 분야별로는 번식관련 논문이 45편으로 전체의 34.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재배관련 논문이 22편으로 전체의 16.9%를 차지하였다. 번식과 재배관련 논문은 1972년 난 관련 논문이 발표된 이래로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특히 2000년대 초반에는 가장 많은 관련 논문을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45.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통사회 관련 아동교육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연도별로 연구수량, 연구내용, 연구방법을 분석하여 전통사회 관련 아동교육 학위논문의 연구경향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학위논문의 연구수량은 제1기와 제2기에는 연구의 수량이 적었고, 제6기와 제7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내용은 초기에는 아동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았고, 제6기와 제7기에는 전통문화교육의 인식과 실태,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 및 학습법 개발, 전통문화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크게 증가 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은 제1기와 제2기에는 문헌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가 주로 사용되었고, 제5기부터 연구방법이 다양해지면서, 제7기에는 실험연구, 개발연구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내용분석은 감소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