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42.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형질이 고정되지 않은 도입 삼도시호의 유용초형을 선발하고자 다변량 해석법에 의해 개체간의 유전적 거리를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Cluster analysis로 초형군을 분류를 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호의 지상부 및 지하부 8개 형질을 대상으로 Complete linkage cluster 방법 에 의해 초형을 분류한 결과 6개 군(群)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최초 분지 착생절위가 낮은 개체는 분지수가 많아 다분지형으로 최초분지 착생절위가 높은 개체는 분지수가 적어 소분지형 초형으로 구분되었다. 2. 초형 II군(群)과 VI군(群)은 다분지형으로 그리고 I군(群), III군(群), IV군(群) 및 V군(群)은 소분지형으로 분류되었다. 3. 시호의 건근중은 분지수와 고도(高度)로 유의(有意)한 정상관(正相關)을 보였으며, 최초분지 착생결위와는 유의힌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43.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호(柴胡) 재배(栽培)에 있어서 기계(機械)를 이용(利用)하여 파종(播種) 및 수확(收穫)의 성력화(省力化)로 노동력(勞動力)과 생산비(生産費)를 절멸(節滅)하기 위해 본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시호(柴胡) 기멸파종(機滅播種)의 경운기(耕耘機) 부착(附着) 줄뿌림기 파종(播種)이 97%의 성력효과(省力效果)가 었었저만 출아율(出芽率)은 인력(人力) 줄뿌림기 파종(播種)이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2. 시호(柴胡) 기계파종(機械播種)시 경운기부착(耕耘機附着) 줄뿌림기 파종(播種)의 파종양(播種量) 시험(試驗)에서는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 및 수양(收量)은 파종양(播種量)이 적을수록 1주당 근경(根莖), 건근중(乾根重)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10a당 수양(收量)은 파종양(播種量)이 많을수록 입모솔(立毛率)이 증가(增加)하여 파종양(播種量) 1.0kg/10a의 휴립 파종에서 54.1kg /10a로 가장 많았고, 파종기별(播種機別)로는 입모수(立毛數)가 가장 많은 인력(人力) 줄뿌림기 이용(利用) 파종(播種)이 84.1kg /10a로 가장 많았다. 3. 시호(柴胡) 기계이용(機械利用) 수확(收穫)은 관행(慣行)에 비해 다목적(多目的) 근수확기(根收穫機) 이용(利用) 수확(收穫)이 69%의 성력효과(省力效果)로 가장 좋았으며 수확작업비(收穫作業費) 절감(節減)에 의한 소득효과(所得效果)도 관행(慣行)에 비해 50% 증가(增加)되어 가장 좋았다. 4. 시호(柴胡)의 인력(人力) 줄뿌림기 파종(播種)과 다목적(多目的) 근수확기수확(根收穫機收穫)의 성력효과(省力效果)는 관행파종(慣行播種)과 수확(收穫)에 비해 74%의 노력시간(勞力時間)을 절감(節減)하여 69%의 작업비(作業費)를 절감(節減)하였다.
        45.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시호 종자를 파종했을 때 발아율이 낮고 발아 소요기간이 길어 입모확보가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단기(短期) 동시 발아시킬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호 종자의 발아특성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호종자의 크기는 입경 2.0~3.0mm 범위이었으며, 평균입경은 삼도시호가 3.0mm 재래시호가 3.1mm이었다. 대립종자일수록 발아기간이 짧고 발아율이 높았다. 2. 시호 종자의 선종에 알맞는 비중은 1.05로 판단되었으며 비중선에 의해 70% 이상의 발아율을 기대할 수 있었다. 3. 시호 종자의 등숙기간은 최소 60일 이상되어야 하며 80일간의 저온 층적 처리에 의해 발아율은20% 이상 증가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