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1

        41.
        202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ries of three bench-scale experiment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version of sodium metal to sodium chloride via reactions with non-metal and metal chlorides. Specifically, batches of molten sodium metal were separately contacted with ammonium chloride and ferrous chloride to form sodium chloride in both cases along with iron in the latter case. Additional ferrous chloride was added to two of the three batches to form low melting point consolidated mixtures of sodium chloride and ferrous chloride, whereas consolidation of a sodium-chloride product was performed in a separate batch. Samples of the products were characterized via X-ray diffraction to identify attendant compounds. The reaction of sodium metal with metered ammonium chloride particulate feeds proceeded without reaction excursions and produced pure colorless sodium chloride. The reaction of sodium metal with ferrous chloride yielded occasional reaction excursions as evidenced by temperature spikes and fuming ferrous chloride, producing a dark salt-metal mixture. This investigation into a method for controlled conversion of sodium metal to sodium chloride is particularly applicable to sodium containing elevated levels of radioactivity—including bond sodium from nuclear fuels—in remote-handled inert-atmosphere environments.
        4,000원
        47.
        2020.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commonly used ceramics in molten salt research are alumina and mullite. The two ceramics were exposed to a combination of rare earth chlorides (YCl3, SmCl3, NdCl3, PrCl3, and CeCl3; each rare earth chloride of 1.8 weight percent) in LiCl-KCl at 773 K for approximately 13 day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ith wave dispersion spectra was utilized to investigate a formation layer or deposition of rare earths onto the ceramic. Only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 ceramics (Al, Si, and O2) were observed during the wave dispersion spectra. X-ray fluorescence was used as well to determine concentration changes in the molten salt as a function of ceramic exposure time. This study shows no evidence of ionic exchange or layer formation between the ceramics and molten chloride salt mixture. There are signs of surface tension effects of molten salt moving out of the tantalum crucible into secondary containment.
        4,000원
        49.
        2020.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opose a novel stripping solution containing acids (HCl and HNO3), an oxidant [(NH4)2S2O8], and complexing agents (NaCl and citric acid) to remove surface passivation layers from 14K gold alloys fabricated using an investment casting process. The optimized solution employing only HCl acid is determined by varying molar fractions of HCl and HNO3 on 14K yellow gold samples. Stripping properties are also identified for red and white gold alloy samples under the optimized stripping conditions. The removal of passivation layers, weight loss, and microstructure evolution are characterized using Raman spectroscopy, a precision scale, and optical microscopy. The proposed stripping solution effectively removes passivation layers more rapidly than conventional cyanide stripping. Weight loss increases linearly for up to 5 min for all 14K gold alloys. Red gold exhibits the greatest weight loss, followed by yellow gold and white gold. The results of microstructural analysis reveal that the conformal stripping occurs according to tim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roposed oxidative chloride stripping might replace conventional cyanide stripping.
        4,000원
        50.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농도 염화칼슘 처리 토양에서 토양개량제인 하이드로볼, 활성탄의 처리와 수크령 식재 유무에 따른 토양침출수 의 화학적 특성과 토양 내 염분 저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고농도 제설제처리 염분토양에서 토양개량 제 하이드로볼, 활성탄의 염분 저감 효과 및 수크령의 식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유리온실에 직경 10 cm, 높이 9 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수크령을 식재하고 무처리 (Cont.), 하이드로볼 (H), 활성탄 (AC), 수크령식재 (P), 하이드로볼 + 수크령식재 (H + P), 활성탄 + 수크령식재 (AC + P) 총 6개의 처리구로 나누었다. 염화칼슘 (CaCl2) 처리는 10 mg/L 농도의 수용액을 조제하여 2주 간격 1회 200mL씩 분주하였다. 토양침출수 분석은 pH와 EC, 염류계 치환성양이온 (K+, Ca2+, Na+, Mg2+) 함량을 측정하였고, 수크령의 생육은 초장, 엽장, 엽폭, 엽수를 측정한 뒤 실험종료 후 생체중, 건물중, 건물률, T/R률을 조사 분석하였다. 토양침출수 화학성 분석결과, 토양산도는 처리구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모든 처리구에서 약산성을 띄었으며, 전기전도도는 H + P, P, AC + P, H, AC, Cont.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류계 치환성양이온함량에 있어서 토양 염류도의 지표라 할 수 있는 Ca2+ 항목에서 Cont., P, H, AC, H + P, AC + P 순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크령의 생육변화는 H + P, AC + P, P 순으로 초장, 엽장, 엽폭, 엽수 모든 항목에서 상대생장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하이드로볼과 활성탄은 제설제 피해지역 토양개량제로 활용가치가 높으며 수크령은 토양 내 고농도 염화칼슘 염분저감 식물소재로 적합한 수종이라 판단된다.
        4,000원
        52.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vent excessive softening of seasoned spinach by heating and freezing through the pre-heating treatment in calcium chloride solution. The pre-heating temperature was set at 60℃, which supports the highest activity of pectinesterase around 60℃. Pre-heating spinach in calcium solution does not affect the chromaticity characteristics of spinach leaves and significantly improves its texture compared to conventional blanching only and pre-heating in water. The improvement of the firmness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trongly cross-linkages between carboxyl groups and Ca2+ by the action of the pectinesterase in spinach. For reheated spinach, the firmness of calcium chloride treated stems were 37.80~44.44 kg, and the control was 28.73 kg. The firmness of calcium chloride treated leaves was 19.73~40.79 kg, and the control was 9.63 kg. Additionally, the total aerobic bacteria in the fresh samples were 3.25~3.99 log CFU/g and 1.97~2.72 log CFU/g in the reheated samples. And the total coliform was not detected in the reheated samples. Considering the color, texture, 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taste quality, the optimum pre-treatment conditions to prevent excessive softening of spinach were 3% calcium chloride solution and 15minutes of treatment.
        4,000원
        5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로시설물의 염화칼슘 제거를 위한 미세기포 세척장비의 최적 운용조건에 대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미세기포의 직경은 196.6±100.6nm 에 1.36×108개/ml의 농도를 나타낸다. 세척장비의 분사장치에 대한 실험 성능결과, 100bar의 분사압력에서 100cm, 150cm 분사거리에 약 93%, 91%의 세척효율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세기포 생성(순환)횟수를 2-6회로 증가시킴에 따라 최소 1%에서 7%까지 염화물 제거율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미세기포 생성 공기유량을 4 ml/min에서 0.5 ml/min으로 낮춤에 따라 세척효율이 최대 30%까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반 상수도와 미세기포의 세척효율은 미세기포가 일반상수도 보다 세척효율이 25% 높게 나타났다.
        4,000원
        55.
        2019.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불화알루미늄(AlF3)이 포함된 염화물-불화물 혼합 용융염에서 ZIRLO 튜브를 이용한 지르코늄 전해정련공정을 실증하였다. 순환 전압전류실험 결과, AlF3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금속환원의 개시 전위가 일정하게 증가하고 지르코늄-알루미늄 합금형성과 관련된 추가적인 peak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류조절 전착법과 달리, −1.2 V의 일정전위 에서 수행한 지르코늄 전해정련에서 방사형 판 구조의 지르코늄 성장이 염의 상단 표면에서 확연하게 나타났으며, 전착물 지름의 크기는 AlF3의 농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SEM)과 에너지 분산 X선 분광기(EDX) 와 X선 광전자 분광기(XPS)를 이용하여 판 구조의 지르코늄 전착물을 분석한 결과, 극미량의 알루미늄이 지르코늄-알루미늄 합금 형태로 존재하며, 전착물의 상단과 하단 간에 서로 다른 화학성분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AlF3의 첨가는 전착물 내 잔류염 양을 줄이고, 지르코늄 회수를 위한 전류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58.
        201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의 사용후핵연료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후핵연료 저장조는 곧 포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운영 및 관리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미국에서는 오랜 기간 건식저장을 운영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운영 및 관리 방안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경험이 없으며 관련 관리방안 및 구체적인 기준이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건식저장기간 동안 주요한 이슈중의 하나는 건식저장용기 열화현상이며 대표적으로 응력부식균열에 의한 부식현상이 있다. 미국에서는 U.S. DOE, U.S. NRC, 그리고 EPRI 주관 아래 건식저장 캐니스터에서의 염화물 응력부식균열에 관한 많은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건식저장 캐니스터의 염화물 응력부식균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SNL에서는 확률론적 응력부식균열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 서는 SNL에서 제시한 확률론적 응력부식균열 모델을 검토하였으며 모델에 제시된 주요인자들을 세세하게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된 캐니스터를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으로 이용할 경우, 건식저장 운영 및 관리 방안을 구축하는 대에 좋은 참고문헌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5,200원
        59.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ctivated polymerization of 2-ethynylpyridine by using 2-thiophenecarbonyl chloride yielded the corresponding conjugated ionic polymer, poly[2-ethynylN-(2-thiophenecarbonyl)pyridinium chloride] (PETCPC). The polymerization proceeded well to give high yield of polymer without any additional initiator or catalyst. The instrumental analysis data on polymer structure indicated that the present ionic polymer have a conjugated polymer backbone system having N-(2-thiophenecarbonyl)pyridinium chloride as substituents. The photoluminescence maximum peak of PETCPC was located at 573 nm, which corresponds to the photon energy of 2.16 eV. The aromatic functional substituents in the conjugated backbone system shift PL maximum values because it makes different molecule arrangement. The cyclovoltamograms of PETCPC exhibited the electrochemically stable window at 1.24 to 1.80 V regi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