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41.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vestig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widespread pesticide use has revealed a virtue/vice relationship. Although many pesticides perform their function and disappear without harm to the environment, others persist beyond their useful purpose and cause direct of indirect hazard to man, domestic animals and wildlife. Concurrently, many pests have rapidly adjusted to chemical control practices through changes in behavior that avoid exposure to pesticides of throuth genetic selection for populations resistant to the toxicants. The prospect of losing control over insect herbivores and desease vectors and returning to the days of global hunger and disease is unthinkable. Fortunately, from basic studies of insect and plant biology many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safe, selective and environmentally pacific strategies for insect pest management are being realized.
        4,800원
        42.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자리파리와 담배거세미나방을 방제할 목적으로 곤충기생성 선충, S. feltiae와 H. heliothidis를 이용, 실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자리 파리에서 S. feltiae를 유충 한 마리당 30,60,120,240마리를 접종한 모든 구에서 80-100%의 높은 치사율을 얻었고, H. heliothidis 10,20,40,80마리 접종 구에서도 63.3-100%치사율을 얻었다. 담배거세미나방의 경우 S. feltiae는 유충한마리당 50,100,200,400마리를 접종하여 3령층은 전 선충 접종구에서 100%의 치사율을, 4령충은 76.7-100%, 5령충은 43.3-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어 접종량과 령게에 따라 치아율에 차이를 보였다. H. heliothidis는 20,40,80,160마리를 접종하여 3령층에서는 67.7-100%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4령충과 5령충에서는 36.7-90%, 3.3-90%의 치사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먹이인 케일에 처리한 경우 S. feltiae는 비교적 효과가 있었으나 H. heliothidis는 효과가 현저히 검소하였다. 그러나 3령충에서는 효과가 있어 3령충이 가장 방제 적기이며 감수적 영기임이 확인되었다.
        4,000원
        43.
        198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dan (Cartap) 4G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효과, 방제효과 및 이들에 관여하는 몇가지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내시험, 폿트시험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벼멸구에 대한 Padan의 치는 암컷은 (24시간)(48시간)/충이었고, 수컷은 (24시간) (48시간)충/ 이었다. 2. 벼멸구 암컷에 대한 Padan의 치는 온도수준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에서는 /충, 에서는 /충, 에서는 /충 이었다. 3. 벼멸구 암컷에 대한 Padan의 치(ppm)는 칩엽처리에서는 낮았다. 즉, 침근처리에서 살충효과가 훨씬 높았다. 4. Padan의 처리를 받은 벼멸구의 감로배치량은 로서 약량수준에서는 무처리 에 비하며 낮았으나 약량수준에서는 무처리와 비등하였다. 5. 벼멸구에 대한 Padan 4G의 살충효과는 성충에 대해서는 낮았고 약충에 대해서는 높았다. 6. 폿트시험에 있어서 벼멸구에 대한 Padan 4G의 살충효과는 Broadcasting와 Top-dressing 처리간에 별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7. 폿트시험에 있어서 Padan 4G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효과는 담수상태에 비하여 배수상태에서 높았다. 8. Padan의 처리를 받은 벼멸구의 차세대의 밀도는 총 513마리로서 무처리구 550마리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Furadan 처리구의 3.0마리에 비하여는 현저히 높았다. 그리고 Diazinon 처리에서 370.7 마리 비해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9. 수원지방에 있어서 Padan 4 G의 벼멸구 방제효과는 인데 비하여 Diazinon , Furadan 로서 월등히 높았다. 그리고 담수상태에 비하여 배수상태에서 벼멸구 방제효과가 높았는데 그 현상은 Diazinon, Furadan 처리에서 더욱 뚜렷하다. 10. 해남지방에 있어서 Padan 4G의 벼멸구 방제효과는 인데 비하여 Diazinon처리구 . Furadan 처리구 로서 월등히 높았다. 그러나 수원의 방제효과에 비하면 좀 낮은 편이었다. 담수조건과 배수조건에 따른 방제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Diazinon과 Furadan 처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11. 포장시험결과 Padan 4G는 4kg/10a 수준에서 벼멸구 방제효과 발현은 충분하였다. 12. 폿트시험과 포장시험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서는 금후에 연구검토가 요망된다.
        4,300원
        44.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he great importance of chemical insecticides, with the ever increasing resistance of pest insects to chemical insecticides and the growing concern over environmental pollution, it becomes evident that the problem of pest attack on crops cannot be solved by anyone system. Under these circumstances, main pathogens of insects, i.e., viruses, bacteria, fungi and protozoa, have been studied to control many insect pests. Some of these pathogens are now being produced as microbial insecticides at the rate of hundreds of tons per year in the world. Some microbial insecticides are very effective against numerous or target insects under 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 and microbial control has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egrated control program. They have many unique properties such as selectivity, multiplication and harmless to higher animals. However, we must be aware also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safety, persistence and difficulty of efficacy, etc_ on the microbial insecticides.
        4,000원
        45.
        197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RRI에서 고안제작한 액상 주입기(Liquid applicator)에 의한 Carbofuran 액상근부주변 처리의 수도 해충 방제 효과에 대한 시험을 Capsule 근부처리, 입제, 수면처리와 비교 시험을 호남작물시험장 묘 포장에서 실시하였다. Carbofuran 액상근부 주변처리는 Carbofuran Capsule 근부 처리에 비하여 해충 방제효과가 낮었다. 그러나 Carbofuran, Diaainon입제 수면시용, 2내지 4회 처리와 대등내지는 상회하는 해충방제 효과가 있었다. 이들 해충 방제효과는 유신품종에 비하여 팔굉 품종에서 현저히 높였으며 액상 Carhofuran일회 근부처리는 수도 전 생유기에 걸친 이화명충, 애멸구와 줄무늬 잎마름병 및 끝동매미충 방제의 가능성이 엿 보였다.
        3,000원
        46.
        197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살충제의 액상근부처리(Root zone-liquid)와 캡슐근부처리(Root zone-capsule)에 의한 수도해충 방제효과를 검토하고 살충제의 새로운 사용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pot 및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A. Pot 시험 이앙 5일후 ha당 1kg(a.i)와 2kg(a.i) 1회 시용수준에서 Carbofuran, Omethoate의 액상근부처리(Pipett에 의함) Carbofuran, Disysteon의 캡슐 근부처리 및 Carbofuran, Disyston, Diazinon의 수면처리를 하여 이화명충, 애멸구, 벼멸구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1. 약제처리후 10일, 20일, 30일에 이화명충 부화유충을 접종하고 20일후 살충율과 심고경을 조사한 바 Carbofuran 액상근부처리와 Capsule 근부처리는 약제처리후 30일까지 계속 이화명충의 방제효과가 좋았다. Carbofuran 수면시용은 약제처리후 10일까지는 방제효과가 있었으나 그 후는 낮았으며 그밖에 약제들은 이화명충 방제효과가 낮았다. 2. 약제처리후 17일에 애멸구, 벼멸구 성충을 접종하여 살충율을 조사한 바 Carbofuran 액상근부처리와 캡슐 근부처리는 살충력이 비교적 높았으나 그밖에 약제 또는 처리에서는 거의 살충력을 기대할 수 없었다. 3. Carbofuran 액상근부처리와 캡슐근부처리는 Carbofuran 수면시용에 비하여 해충방제효과가 정확하고 잔 효력이 월드이 좋았다. B. 포장시험 이앙 5일(A-포장)과 18일 (B-포장)후에 ha당 1kg과 2kg(a. I)을 각각 1회 시용수준에서 Carbofuran, Omethoate 액상근부처리 (Liquid applicator에 의함), Carbofuran 캡슐 근부처리를 실시하였고 Carbofuran 캡슐 근부처리를 실시하였고 Carbofuran과 Diazinon은 같은 수준에서 각각 이화명충 제1화기에 1회, 2화기에 1회 수면처리한 다음 이화명충에 의한 심고경율, 백수경율, 애멸구의 밀도를 조사였다. 1. Carbofuran, Omethoate 액상근부처리에 비하여 캡슐 근부처리는 이화명충, 애멸구방제효과가 월등히 좋았고 Omethoate보다는 Carbofuran의 방제효과가 좋았다. 2. Carbofuran 1회 액상근부처리는 Carbofuran 2회 수면시용과 대등한 수도해충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3. A포장에서 보다 B포장에서 이화명충 방제효과가 좋았는데 그것은 B포장에서의 약제처리시기가 이화명충 방제적기에 해당하기 때문인 것 같다. 4. Carbofuran 1회 근부처리는 수도 전 생육기간에 걸친 수도해충방제가 가능한 것으로 보였다.
        4,000원
        47.
        197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의약용 Capsuel에 넣은 입제형 살충제 BPMC, Carbofuran, Cartap, Chlorphenamidine-HCl, Cytrolane, Diazinon의 단일회 수도근부처리로서 수도 전생육기간에 걸친 이화멸충, 멸구, 매미충류 및 Virus 병의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포장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화명충은 발생이 적었기 때문에 약제간에 큰 차이는 볼 수 없었지만 약제처리후 50일에서 이화명충 1화기 심고경율 Cartap 0, Carbofuran 0.1, Chlorphenamidine 0.4, Cytrolane 0.5, BPMC 1.8, Diazinon 2.2이었으며 2화기 백수율은 BPMC에서 이었을 뿐 그밖에 약제처리구에서는 백수가 없었다. (2) 끝동매미충과 애멸구에 대해서는 BPMC와 Diazinon 처리구에서 비교적 낮은 밀도를 보였다. 벼멸구에 대해서는 BPMC와 Carbofuran에서 서식밀도가 현저히 낮아 그 방제효과가 좋았으나 Cartap, Chlorphenamidine, Cytrolane 및 Diazinon의 효과는 거의 기대할 수 없었다. (3) 오갈병의 발병주율은 Carbofuran이 , Cytrolane , Chlorphenamidine , Diazinon BPMC, Cartap , Diazinon 입제수면 시용 , 무처리 로서 Carbofuran 처리구에서 오갈병의 발병율이 가장 낮았다. 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은 전혀 없었는데 그 원인은 통일벼는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품종이기 때문인 것 같다. (4) 벼의 수량은 무처리 5,814kg/ha에 비하여 Carbofuran 6,649kg, Cytrolane 6,340kg, BPMC 6,315kg, Chlorphenamidine 6,265kg, Cartap 6,164kg, Diazinon 5,944kg, Diazinon 입제 수면시용 6,102kg로서 Carbofuran 처리구에서 벼의 수량이 가장 높았다. (5) Carbofuran 처리구에서 높은 수량을 보인 것은 Carbofuran 처리구에서 멸구, 매미충류의 밀도가 낮았고 오갈병의 발병율이 낮은데서 온 결과인 것 같다.
        4,000원
        48.
        197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유기인계 살충제인 Terracur P입제 및 Lebaycid 입제와 유기염소계 살충제인 상감마입제를 수면시용 하였을때 수도요해충인 이화명충, 끝 동매미충, 애멸구 및 흰둥멸구에 대한 동시방제가능성과 방제적기를 구명하고 약제간의 방제효과를 비교코저 실시하였다.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처리후 부화직후 이화명충 접종 시험에 있어서 상감마와 Terracur P는 높은 살충율을 보였으나 Lebaycid의 살충율은 낮았다. 約 살충력 잔효일수에 있어서 상감마는 8-14日이었고 Terracur P는 6일간이었다. 2) 당초 계획된 방제적기에 관한 정보는 얻을 수 없었다. 즉 주어진 일간격이 좁아 유의한 차를 얻을 수 없었다. 3) 1,2화기 이화명충에 대한 방제효과는 Terracur P=상감마>Lebaycid의 순이었다. 4) Terracur P와 Lebaycid 입제의 처리는 끝동매미충의 방제효과가 좋았으나 상감마의 방제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끝동매미충에 대한 Terracur P와 Lebaycid입제의 잔효력은 30일 이상이었다. 5) 애멸구와 흰등별구에 대한 시험은 충의 서식밀도가 낮기 때문에 약제간 방제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6) 공시약제중 Terracur P와 Lebaycidd입제는 이화명충과 끌동매미충의 동시방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4,000원
        4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agricultural organic materials using sulfur and oil for the insect pest control in pepper and cherry tomato cultivation. The control value of aphids and Oriental tobacco budworm (OTB) was examined one day after spraying with sulfur preparation (SP) (0.33~0.17%), oil preparations (OP) (2.00~0.33%), SP+OP, OP+ginkgo leaf extracts (GLE), SP+OP+GLE on the “Super Manidaa”pepper. The aphid control in pepper was complete by applications of SP+OP (0.25+1.00%) in the early growth stage and the control value was above 98.1% by the application of OP+GLE (1.00+1.00 %), SP+OP+GLE (0.25+1.0+1%), SP+OP+GLE (0.25+1.0+0.5%) in the middle to late growth stage while showing 0% in the control treatment. The OTB was completely controlled by the 3 times application with the high concentration of SP+OP (0.25+1.00%) in pepper cultiv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oil and the sulfur preparations should be applied at low concentration before insect pests do not appeared, and then sprayed at the high concentration after they appear at pepper plant. The greenhouse whitefly in ‘Minichal’ tomatoes was completely controlled by three times application of SP (0.25~0.33), OP (1.0~2.00%). and all the treatment of SP+OP. However, continuous control with intervals of 1~3 days was considered favorable in the tomato plant. By the periodical control with agricultural organic materials using sulfur and oil, the greenhouse whitefly, which is a high-temperature insect pest, several moths of OTB did not occur at all. In conclusion, SP+OP (0.17%+0.33%) treatment was the most economical combination to control the aphid, OTB, and greenhouse whitefly in pepper and tomato cultivation when considering operating cost. In addition, we recommend that SP should not be sprayed on the plant shoots during the day time from July to August because of high temperature.
        50.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not only the cultivation area of Jujube in Korea but also the number of pest species has increased. The farmers farm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re in great difficulty because there are no effective control devi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rol effect of the insect screen net on three pest species (Apolygus spinolae, Dasineura sp. and Carposina sasakii) in Jujube orchard when the pests were blocked by insect screen net. For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the damage rates by A. spinolae were 9.06, 13.95% in 50 mesh, 4.75, 10.17% in 25 mesh, 5.68, 11.84% in 18mesh mesh of insect screen net and 21.6, 36.34% in untreated insect screen net, respectively. The damage rates by Dasineura sp. were 0.54, 0.13% in 50 mesh, 0.93, 2.84% in 25 mesh, 1.05, 13.45% in 18 mesh mesh of insect screen net and 11.1, 26.65% in untreated insect screen net. Carposina sasakii were completely blocked in all the treatments. Damages on Jujube were not observed by insect screen net. Therefore, insect screen net is effective on insect pest control for Jujube.
        5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과종 수박의 병해충 발생 양상을 조사하고 이중 가장 문제가 되는 병 들 중 의 하나인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한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5년 충북 음성에서 소과종 수박에 발생하는 병해충 조사 결과 덩굴마름병, 흰가루병, 목화진딧 물, 점박이응애, 총채벌레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 일반수박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 는 대부분의 병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 흰가루병은 6월 중순에 품종 별로 27~99.3%의 발생률을 나타냈으며 점박이응애는 6월 중순에 품종별로 엽당 마릿수가 79.9~111마리로 높은 발생을 보였다. 또한, 총채벌레류는 6월 중순과 상순에 황색과 청색 평판점착트랩 각각에 트랩당 407마리와 774마리로 높은 유살수를 나타냈다. 포장에서 마 요네즈와 올레산 그리고 현재 시판 중인 유기농업자재 3종에 대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sodium bicarbonate 80%가 함유된 자재, 마요네즈 그리고 대황추출 물 1%가 함유된 자재가 60% 이상까지 효과적으로 병 발생을 감소시켰으며, 이중 sodium bicarbonate 80%가 함유된 자재가 83%로 가장 높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소 과종에 발생하는 병해충에 대한 정보와 sodium bicarbonate 80% 함유 자재가 흰가루병 방제 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2.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eld trial was conducted at the Research Farm of the Katsina State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Authority during the farming season of 2004 with a view to evaluate/determine the efficacy of some selected plant-derived biopesticides against the insect pests of cowpea as well as their effect on yield. The variety of the cowpea used was IT86D-719 and the plant derived biopesticides evaluated during the trial were chilli pepper, garlic, ginger, neem, sweetsop and tobacco. The experimental field was ploughed, harrowed and thereafter ridged before the commencement of the 2004 planting season. A total of twenty one (21) experimental plots were demarcated and arranged into seven treatment plots. The size of each plot was 5m~times4m while interspaces between adjacent plot and blocks were 1m and 2m, respectively.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all the plant-derived biopesticide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p>0.05) better than control treatment. The order of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s was tobacco (80-90%), sweetsop (75-85%), garlic (70-80), neem (72-78%), chilli pepper (60-70%) and ginger (30-50%). Furthermore, yield result corresponded positively with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s. Results of the present finding suggest the use of tobacco, sweetsop and garlic as promising biopesticides in the control of cowpea insect pests.
        53.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택사 2모작 재배시 몇가지 진딧물 살충제 처리가 살충효과와 택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진딧물 방제가는 약제 살포후 5일 조사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Methomyl-Lf, 24.1%(메소밀 액제 )·, Imidacloprid-Wp, 10%(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코니도]·, Carbosulfan-Wp, 20%(카보설 수화제)[포수]·, Methomyl-Wp, 45%(메소밀 수화제)[란네이트] 처리에서 97.5%, 98.9%, 98.4%, 97.0%로 각각 높았으며 약제 살포후 10일 조사에서도 무처리에 비하여 Methomyl-Lf, 24.1%·Imidacloprid-Wp, 10%·Carbosulfan-Wp, 20%·Methomyl-Wp, 45% 처리에서 92.3%, 92.8%, 93.0%, 93.1%로 각각 높았다. 2. 10a당 건근수량 역시 무처리 232kg에 비하여 Methomyl-Wp, 45% 처리에서는 313kg으로 134%로 증수였으나 Methomyl-Lf, 24.1%·, Imidacloprid-Wp, 10%·, Carbosulfan-Wp, 20% 처리에서는 333kg, 341kg, 325kg으로 각각 143%, 146%, 140%의 높은 수량성으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3. 약해 조사에서는 기준량에서는 약해증상이 전혀 없었고 배량에서는 약하게 증상이 보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