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4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해만을 대상으로 3차원 생태계 모델(EMT-3D)을 사용하여 PAHs 거동예측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계산치와 실측치를 비교한 결과, 모델의 재현성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여 영향인자를 파악한 결과, 용존 PAHs의 경우 광분해 계수의 영향이, 입자성 유기물질 내 PAHs의 경우는 입자성 유기탄소에 대한 분배계수의 영향이 중요한 요소였다. 식물플랑크톤 체내의 PAHs의 경우, 생물농축계수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 대기와 하천 및 대기의 오염부하에 대하여 저감에 따른 응답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4,000원
        4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계 진해만 16개의 정점에서 해양생태계의 오염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플랑크톤 건강 지수를 살펴보았다.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산출은 부유성 플랑크톤 생물 엔테로박테리아 Escherichia coli, HB, ANF, HNF, HABs 그리고 섬모충류 등과 더불어 무기와 유기 오염원인 DOC, COD, 그리고 Chl.a 등을 각각 조사하였다. 그 중 플랑크톤 지수 산출은 오염압력의 반응에 민감한 Chl.a, HABs, HB, E. coli 등 4개의 지표
        4,000원
        4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해만 광역해역에서 하계 식물플랑크톤의 수평적 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16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밀도와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66종이 출현하였고, 전체의 80% 이상이 규조류의 점유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와편모조류와 라피도조류순으로 관찰되었다. 규조류의 우점종은 Chaetoceros affinis, C. didymus, C. pseudocurvisetus, Leptocylindrus danicus, Pseudo-nitz
        4,000원
        4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Hs(다환방향족탄화수소) 화합물은 해양환경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며, 연안역과 하구역에 있어서는 도시화와 산업활동 중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어 주로 대기와 하천을 통하여 유입된다. 유입된 PAHs 화합물은 잠재적으로 해양 수서환경 생물에 대해서 발암 및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PAHs 화합물의 오염이 예상되는 진해만에 유입되는 주요하천에서 PAHs 화합물의 분포특성과 유입부하량을 조사하여 PAHs 화합물의 오염특성을 파악하였다. 진해만으로 유입되는 주요 하천수 및 하수처리수에서 용존 Total PAHs 화합물의 농도범위와 평균값은 9.79~128.25 (평균 36.94)ng/L를 나타내었으며, 부유입자물질 중 Total PAHs 화합물의 농도범위와 평균값은 1,814.34~8,893.37(평균 4,657.73)μg/kg dry wt.로 나타났다. 용존 PAHs 화합물과 부유입자물질 중 PAHs 화합물 모두 유사하게 도시화와 산업화가 이루어진 마산시로부터 유입되는 삼호천에서 기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하천수 및 하수처리수에서 PAHs 화합물의 조성 형태는 용존 PAHs 화합물은 저분자량 PAHs 화합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PAHs 화합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된 하천을 통해 진해만으로 유입되는 용존 Total PAHs 화합물의 유입부하량 범위는 0.06~12.05g/day, 평균 유입부하량은 1.86g/day 그리고 총 유입부하량은 14.85g/day로 산정되었다. 부유입자물질 중 Total PAHs 화합물의 유입부하량 범위는 0.12~16.00g/day, 평균 유입부하량은 평균 2.41g/day 그리고 총 유입부하량은 19.27 g/day로 산정되었다. 용존 PAHs 화합물과 부유입자물질 중 PAHs 화합물 모두 진해만으로 유입되는 유입부하량은 덕동하수처리장이 약 8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타 연구들과 비교에서 진해만 주요 하천수와 하수처리수는 아직까지 낮은 농도를 나타내지만 진해만 연안에 PAHs 화합물의 오염발생원이 주변에 산재하고 있어 PAHs 화합물의 오염정도가 심화될 수도 있다.
        4,000원
        4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해만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에 8개 정점을 대상으로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45종의 해조류가 서식하였으며, 이 중 녹조류 4종, 갈조류 10종, 그리고 홍조류가 29종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Ulva pertusa, U. conglobata, Sargassum horneri, Gelidium divaricatum, Gracilaria textorii, Polysiphonia morrowii으로 나타났다. 출현종수는 계절 및 정점에 따라 변하였다. 겨울에 가장 많은 42종이 출현하였으며, 여름에는 33종으로 가장 적었다. 정점별로는 정점 1,7,8에서 가장 많았으며, 정점 2와 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나. 해조류 군집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MDS 분석 결과에서는 해조류의 종조성 및 현존량이 각 정점의 물리해양학적인 특징 및 지형적인 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나.
        4,000원
        4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in stress-associated biomolecule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assessing the levels of environmental pollution because living organisms demonstrate contamination-stimulated stress respon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
        4,000원
        4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해만의 가덕수도 표층 해수 중의 증금속은 육지에 가까운 정점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븐포에는 조사 해역의 염분에 근거한 물리적 혼합은 크게 작용하지 않았다. 그리고 Pb를 제외한 다른 중금속은 과거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은 거제도 혹은 가덕도에 인접한 정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해역의 Zn, Eu와 Pb 함량은 과거에 비해 약간 상승하여 인위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Hg과 Pb을 제외한 중금속은 상호간에 양호한 상관성을 보였으면, Eo, Ni, Zn, Eu, As와 Ed는 IL 및 COD와도 좋은 상관성을 보였다. 평균지각을 기준으로 한 농축계수는 As>Cd>Pb>Zn>Co>Cu>Hg>Ni의 순이 었으며, As, Ed, Ni, Pb, Zn은 전 정점에서 1 이상이었다. 한반도 연안 퇴적물의 중금속 배경 농도에 근거한 Ni과 Rn의 농축계수는 지각평균에 의한 농축계수보다 낮았고, Cu는 높게 나타났다.
        4,000원
        4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해만에서 분리한 중심목 규조류 S. costatum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과 파장을 알기 위해 실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온 20℃와 염분 30 psu의 환경조건에서 광량과 성장의 관계식은 μ=1.17 (I-5.25)/(I+81.8), (r=0.98)로 최대 성장속도는 1.17 day-1, 반포화광량(Ks)은 92.4 μmol photons m-2s-1 그리고 보상광량(I0)은
        4,000원
        4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3년 하계 진해만의 수질개선을 위한 육상오염물질 삭감량을 산정하기 위해 생태계 모델을 적용하였다. 모델에 의해 재현된 진해만의 수질은 마산만 측의 내측에서 해양수질 등급 III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등급 II의 수질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육상부하를 50% 삭감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해만 전 해역을 목표수질인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농도 2.0mg/L을 만족하는 조 건은 전체 육상부하의 70~90%를 삭감하거나, 전체 육상부하와 저질 용출부하의 50%를 동시에 삭감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 II등급을 유지하기 위해 삭감해야 할 양은 유기물과 영양염을 동시에 삭감할 경우, 유기물 (COD) 5,632kg/day, 용존무기인 481kg/day 및 용존무기질소 7,991kg/day이며, 이 때 오염부하량의 한계 즉, 환경용량은 화학적산소요구량 부하 13,112kg/day, 용존무기인 206kg/day 그리고 용존무기질소 3,425kg/day 이라고 할 수 있다.
        4,000원
        50.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examined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irradiance, and different media on the growth of the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HYM9704), which was isolated from Jinhae Bay, Korea. The range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which the s
        4,000원
        5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진해만에서 분리한 마비성패독 원인종의 하나인 Alexandrium catenella (AlCt-01) 최적 성장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온도, 염분, 광도의 다양한 조건에서 A. catenella 성장을 조사하였다. 50~150μE m-2s-1까지는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A. catenella 성장도 증가하였으나 50~150μE m-2s-1 이상의 광도에서는 A. catenella 성장이 일정하
        4,000원
        52.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2년 9월, 12월 그리고 2003년 3월에 걸쳐 진해 국가산업단지 인근의 조사해역에서 총 27개 정점을 선정하고 저서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전 조사기간 모두 각각 총 9개 동물군이 확인되었고, 평균 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2,324ind.m-2으로, 일반적인 한국 연안의 저서동물 서식밀도보다 다소 높은 값이었다. 이중 전 계절에서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은 다모류로서, 3회 평균 1,713ind.m-2의 서식밀도를 나타내었으
        4,300원
        53.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진해만은 도시화로 인한 생활 폐수와 산업 폐기물. 해군기지 건설 등으로 오염이 심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에서 진해만의 오염에 따른 동물 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채집은 해군기지를 중심으로 마산만에 연결되는 북서쪽 2지점을 포함하여, 9개의 정점을 8월(여름), 11월(가을), 2월(겨울), 5월(봄)에 걸쳐 계절별로 관찰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37개 분류군으로 종수준까지는 31종이 동정되었으며 지각류는 겨울
        4,600원
        5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산-진해만에서 1990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Prorocentrum 개체군 (P. dentatum Stein, P. micans Ehrenberg, P. minimum (Pavillard) Schiller, P. triestinum Schiller) 변동을 monitoring하였다. Prorocentrum 개체군은 대부분 6-8월 해수 성층화가 일어나는 시기에 bloom을 일으켰고 수온은 24-28℃, 염분도는 24-34
        4,000원
        55.
        198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해만은 여름철에 적조가 자주 발생하는 해역으로서 우리나라 남해안 중 해양 오염이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해역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오염된 마산만의 해수가 진해만으로 어떻게 유입, 희석되는가를 알아보고, 만외에서 유입되는 해수의 확산 이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1981년 8월 17일)와 소조(1981년 9월 7일) 각 조석에 따라 네 번에 걸쳐 Rhodamine B (중량비 6%) 확산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조 때 방출 90분 후의 썰물과 밀물 때의 확산계수는 각각 3.0×10 super(3) cm super(2) /sec, 2.8×10 super(3) cm super(2) /sec 이고 소조 때 방출 90분 후의 확산 계수는 밀물 때는 6.2×10 super(2) cm super(2) /sec, 썰물 때는 2.1×10 super(3) cm super(2) /sec로서 소조 때보다 대조 때 더 크게 나타났으며, 다른 해역과 비교해 보면 수영만의 8.2×10 super(2) cm super(2) /sec, 1.12×10 super(3) cm super(2) /sec(Kim: 1981)와 그 값이 거의 비슷하나, 고리에서의 10 super(3) ~10 super(4) cm super(2) /sec(Ro: 1980)보다는 매우 적게 나타났다. 진해만 및 마산만의 경우, 만 입구가 협소하고 남쪽으로 열려 있어서 여름철에 남풍계열의 바람이 강하게 불면 썰물 때라도 표층수가 역류하여 만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특히 소조 때에는 오염물질의 분산이 잘 되지 않고 누적될 가능성이 크게 보인다.
        4,000원
        56.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find proper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y for oxygen consumption organic matters in Jinhae bay, the physical process and net supply/decomposition in terms of COD was estimated by three-dimensional eco-hydrodynamic modeling. The estimation results of physical process in terms of COD showed that transportation of COD was dominant in loading area from land to sea, while accumulation of COD was dominant in middle~bottom level. In case of surface level, the net supply rate of COD was 0~60 mg/m2/day. The net decomposition rate of COD was 0~-0.05 mg/m2/day(-5~-10 m, in depth) to 2 level, and -0.05~-0.20 mg/m2/day(10 m ~) to bottom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iological decomposition and physical accumulation of COD are occurred for the most part of Jinhae Bay bottom. The variation of net supply or net decomposition rate of COD as reducing land based input loading is also remarkab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allochthonous and autochthonous oxygen demanding organic matter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Jinhae Bay.
        57.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hree-dimensional eco-hydrodynamic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autochthonous COD caused b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in Jinhae Bay. A residual current was simulated, using a hydrodynamic model, to have a sightly complicated pattern in the inner part of the bay, ranging from 0.001 to 5 cm/s. In the outer part of the bay, the simulated current flowed out to the south sea with a southward flow at a maximum of 25 cm/s. The results of the ecological model simulation of COD levels showed high concentrations, exceeding 4 mg/L, in the inner bay of Masan, an area of wastewater discharge, and lower levels, approaching less than 1 mg/L, closer to the outer part of the bay. The simulation results of Autochthonous COD by two methods using ecological modeling, showed high ratio over 70% of total COD.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consider nutrients than organic matters in the region for control COD standard.
        58.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study on the dynamic interaction with a simulated physical-biological coupled model response to nutrient reduction scenario in Jinhae Bay. According to the low relative errors, high regression coefficients of COD and DIN, and realistic distribution in comparison to the observation, our coupled model could be applicable for assessing the marine ecosystem response to nutrient input reduction in Jinhae Bay. Due to the new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sewage treatment plant from our government, we reduce 50% nutrient inputs near Masan Bay and sewage treatment plant. COD achieves Level Ⅱ in Korea standard of the water quality from the middle of the Masan Bay to all around Jinhae Bay except the inner Masan Bay remaining at Level Ⅲ. When our experiment reduces 50% nutrient inputs near Masan Bay and Dukdong sewage treatment plant simultaneously, COD decreases to about 0.1-1.2 mg/L (128°30’~128°40’ E , 35°05’~35°11’ N). The COD from the middle of the Masan Bay to Jinhae Bay achieves Level Ⅱ.
        59.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termining factors and temporal &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D(Chemical Oxygen Demand) at the sea surface in Jinhae bay have been examined by using seasonal data, taken at twenty six stations cver the whole bay during 1989∼1994 by NFRDA. The data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long term means, anomalously large values. Jinhae bay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 based on the time mean : mouth of Jinhae bay, inner sea of Masan bay, western sea of Jinhae bay called region 1,2 and 3, respectively.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the long term mean of COD at each station is similar to those of nitrogen and phosphorus. Characteristics of whole mean variation in the year shows high range of variation in region 2. It was appear to decreases every year in whole trend. Factors determining seasonal variation in whole COD mean are relative to salinity and nutrient, affected by precipitation in summer. Spatial variation shows high range of fluctuation in region 2 compare to other region. Factors determining of spatial variation of COD was appear to nutrient, affected by pollutant load of land area and bottom sediment. The long term mean of COD at each st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ats of nutrients. The coo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OD and nitrogen, phosphate phosphorus was found to be high as 0.75, 0.78, respectively. Anomalously large COD was observed 14 times at 6 stations. These stations are located in inner sea of Masan bay(Region 2) and Songjeong bay(Region 1). The seasonal frequency of the observed anomalous COD is large in April, and other seasons are much the same.
        60.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clarify the seasonal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zooplankton community in Macheon Bay. the study was carried out trimonthly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6 to January 1997. 37 taxa and 7 unconfirmed species of zooplankton was identified. It consisted of 28 species of Protozoa. 1 species of Cnidaria, 1 species of Annelida, 2 larva of Mollusca, 3 species of Rotifera, 4 species and 4 larva of Arthropoda and 1 larva of Echinodermata, respectively. Seasonal succession of the dominant species was Tintinnopsis beroidea in the spring. Copepodite in the summer. Tintinnopsis directa in the autumn and Ceratium fusus in the winter. Abundance of zooplankton ranged from 4.720 to 4 1.215 inds./ . It was high in the summer (4 1.215 inds./ ) and low in the spring (4.720 inds./ 1 ). Dominant index ranged from 0.133 (in the spring) to O. 551 (in the winter). Species diversity index ranged from 1.114 (in the winter) to 1.996 (in the spring).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