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4

        41.
        1983.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42.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신뢰적인 PSC 교량 내하성능 평가 기법 제안을 위해 PSC 교량 해석 모델을 이용한 구조물의 거동 양상을 분석하고 교량의 실제 변형률 데이터를 반영한 교량의 거더별 긴장력 손실량 유추 및 활용을 위해 PS 텐던의 긴장력 손실에 따른 교량의 응력 이완 패턴을 도출한다. 그리고 실제 교량의 계측 변형률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온도구 배의 영향을 적절하게 제거해 긴장력에 의한 변형률 데이터를 추출한다.
        4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교량은 강연선 통해 도입되는 압축력을 이용하는 구조로서 강연선의 긴장력을 당초 의도대로 확보하는 것이 PSC 교량의 안전에 중요한 요소이다. PSC 교량의 긴장력은 시공 당시부터 사용 중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감소하므로 현재 상태에서 긴장력의 크기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강연선의 강 심선을 FBG 광섬유 센서가 내장된 카본섬유 심선으로 대체시킨 스마트 강연선을 개발하고 검증했으며, 이를 실제의 외부 텐던 교량에 적용하여 약 500일 동안 안정적으로 계측을 실시하고 있다.
        44.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정적 변위를 사용하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교량의 유한요소해석모델 개선 기법을 제안하며, PSC 거더교를 대상으로 한 실증시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였다. 실증 재하시험으로 정적재하시험과 의사정적재하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재하시험의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교량의 유한요소해석모델 개선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의사정적재하시험의 계측 데이터를 통해 개선된 모델을 이용하여 공용 내하력평가를 수행하였다. 내하력평가에는 현 도로교설계기준과 구 도로교설계기준, AASHTO LRFD의 설계 활하중을 이용하였으며, 각 설계기준 별 내하력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4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part of a study on the maintenance method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PSC box girders. The top slab deterioration and damage cases occurred in PSC box girder bridg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inally, it is aimed to be used as basic reference of maintenance plan establishment.
        46.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PSC sleepers may deteriorate in the long term due to the cracks generated on the concrete surface, and maintenance is required to improve the strength and usability of sleepers and prolong the service life for a certain period. In this paper, flexural strength tests were carried out on rectangular parallelopiped specimens and real cracked PSC sleepers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the flexural performance for the liquid-type reinforcing materials.
        47.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improve the traffic congestion on the road,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overpasses and highways in big cities. In particular, in order to facilitate traffic flow within the overpass rout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curved bridge because the plane shape of the bridge itself must be aligned with the road alig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precast PSC curved girder of concrete hollow box type with excellent bending moment, shear force and torsional moment resistance, and perform performance evaluation by structural test to confirm applicability to curved bridge.
        4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nondestructive equipment using magnetic flux leakage(MFL) principle and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equipment. The equipment consist of a magnetization part, a sensor part, and a data storage part. The parameters of specimens for equipment verification are the length and the area of flaws. It was confirmed that the equipment accurately probed the locations of the flaws in the specimens, and grout had little effect on the results of the test.
        49.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레이저기반 응력측정을 위한 비접촉식 로드셀을 개발을 위하여, 실내실험을 통하여 기술을 검증하고, 실규모 실험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현장적용에 적합한 응력측정용 비접촉식 로드셀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심공 압축 타입의 로드셀 제작에 사용되는 로드셀 몸체 표면에 용사코팅기술을 이용하여 알루미나를 도포하고, 레이저를 기반으로한 압분광법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응력을 계측하였다. 이때, 인가되는 응력과 스펙트럼 이동간의 관계가 선형임을 확인하였다. 해당 기술의 현장 적용성 확인을 위하여, 실규모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시편을 제작하고, 레이저를 조사하여 인가된 응력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인 상황 하에서 레이저 조사 위치가 동일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브를 고정할 수 있는 케이싱이 포함된 로드셀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고, 실내일축압축시험을 통하여 압축력과 스펙트럼 이동간의 선형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비접촉식 로드셀을 이용하여, 압축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0.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량 구조물 거동의 건전성 평가는 하중재하-처짐의 정적특성과 충격계수와 고유진동수 등의 동적특성으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사용하중에 대한 거동은 탄성영역에서 이루어지므로 실물 구조체와 수치해석의 결과는 일체성을 보이지만, 동적특성의 경우 특히, 진동학적 분석에 있어서는 구조물의 기하형상과 사용재료의 이질성 에 기인하여 실물 구조체의 결과와 다소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오차를 수렴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실물 모형체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치해석적 모델을 제시하고 그 예민도를 분석함으로써, 교량 구조물 평가를 위한 실용적인 모델링 기법을 도출하여 안정적인 예비 해석 결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긴장재를 환산단면으로 치환한 모델을 기반으로 긴장재의 탄성적 특성을 반영한 모델과 수정된 탄성계수를 적용한 모델의 고유진동수가 실물 모형체의 그것과 가장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51.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 PSC I형 거더는 콘크리트의 자중, 정착구 및 긴장방식 등의 영향으로 장경간화의 적용성이 불리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PSC 거더의 복부에 중공을 도입하고 다단계 긴장을 도입함으로써 50∼70m 경간에 적용 가능한 중공 웨브 PSC I형 거더를 개발하고 실교량으로 시공하였다. 본 연구는 중공 웨브 PSC I형 거더교 현장에서 정적재하시험을 통하여 계측을 한 결과와 대상 구조물의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여 중공 웨브 장경간 PSC 거더교의 공용내하력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본 교량의 정적재하시험과 수치해석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중공 웨브 PSC I형 거더의 거동을 잘 모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량의 모든 거더는 설계 활하중 하에서 충분한 내하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안전성을 확보하여 시공 결과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52.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ssessment procedures given in the Detailed Guide (plan) for the precision safety diagnosis of the external tendon in Prestressed Concrete, it was evaluated with reasonable procedures and results.
        53.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st-tension system was applied most PSC bridges in Korea. Also Grouting was applie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strand.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inspection the condition of the strand after completio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Nondestructive testings(NDTs) developed at domestic and foreign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urrent level and limit of the NDTs were analyzed considering the existing bridge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Strand condition inspection using NDTs have been analyzed to have technical and environmental limitations.
        54.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flexural strength by crack condition of PSC sleeper, which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ballasted track, 9 PSC sleepers used in Gyeongbu high speed railway line were sampled and static bending strength tests were conducted by EN 13230-2. The flexural strength of PSC sleepers with some mesh or longitudinal cracks was lower than that of new sleepers. In particular, the flexural strength of PSC sleepers with mesh-type cracks was less than 40% of the new sleepers’ flexural strength. The flexural strength of uncracked sleepers was similar to that of new sleepers
        55.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AE non-destructive testing equipment and signal analysis method for external tendon of PSC (Pre-Stressed Concrete) bridge. The AE NDT equipment, which has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AE sensor, signal receiver, hitting device, driving part and main frame. Defective and non-defective specimens, designed to emulate signal characteristics for external duct with void(25%, 50% and 100%) or not, were constructed and tes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E NDT equipment. Test results and AE parameters comparisons between defective and non-defective specimens are presented.
        56.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ACT)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열차 하중을 분산 및 저감시킬 수 있고 아스팔트 도상의 노출을 줄일 수 있는 광폭 형태의 콘크리트 침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형상 설계를 통해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용 광폭 PSC침목을 개발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레일 좌면부 및 침목 중앙부에 대한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용 광폭 PSC침목의 설계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EN 13230-2에 의거 침목 주요 위치별로 정적 휨 강도 시험, 동적 휨 강도 시험 및 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성능 시험 결과,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용 광폭 PSC침목은 균열 하중, 파괴 하중, 및 균열 확대 여부 등 유럽 표준에서 요구되는 성능 기준을 모두 충족하였다.
        57.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량은 사회간접시설물의 핵심이 되는 도로의 주요 시설물이므로 공용기간 동안 안정성과 사용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건설되며, 교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현재 상태에서 건전성을 평가하는 것은 유지관리 업무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내하력 평가를 위해 차량재하시험을 통하여 횡분배윺을 측정함으로써 교량의 중첩거동 및 대칭거동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공용중인 교량의 횡분배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적재하시험을 수행하고 있으며 교통통제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적재하시험 및 상시진동시험에서 측정 된 교량의 변위응답 데이터를 경험적 모드분해기법을 이용하여 정적 성분의 변위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정적 성분의 변위를 이용하여 횡분배 율을 추정하였으며, 정적재하시험에서 측정된 횡분배율과 비교하였다.
        58.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afety issue of PSC box Girder Bridge is being brought up to the surface. For countermeasures, we developed an extensive material testing procedures and applied it into our existing bridges. We believe that these set of newly constructed procedures are well within the reasonable mark. With that, we now foresee the necessity in systematic improvement and ample supply of its technology in order to secure the future safety of PSC box girder bridges.
        60.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SC girder bridges, widely applied to bridge and railroad bridge (25 ~ 50 m), are a type of bridge that introduces compressive force in advance to the part where tensile force of concrete is generated. The tension force for introducing the compressive force by inserting the tendon into the concrete is a key element of the structural performance in the PSC. At present, however,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of this is indirectly managed through deflection and cracking. However, it has become more necessary to develop practical evaluation methods of prestress force of PSC bridges. In this experiment, a small scale PSC beam with various curvature radii was made. Tension force monitoring with FBG sensor and EM sensor was performed on test members using 3 point flexural loading test. The measured values of the FBG sensors and the EM sensor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s of the load cell.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