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61.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poses a deep learning-based underground object classification technique incorporated with phase analysis of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for enhancing the underground object classification capability.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using the combination of the B- and C-scan images has recently emerged for automated underground object classification. However, it often leads to misclassification because arbitrary underground objects may have similar signal features. To overcome the drawback, the combination of B- and C-scan images as well as phase information of GPR are simultaneously used for CNN in this study, enabling to have more distinguishable signal features among various underground objects. The proposed technique is validated using in-situ GPR data obtained from urban roads in Seoul, South Korea. The validation results show that the false alarm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NN results using only B- and C-scan images.
        62.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information about buried objects has been needed for redevelopment and reorganization of the complicated urban environment. Accidents caused by pipeline damages, such as gas lines, communication lines and underground electric power lines, are results of loss of people and property. Therefore, information on underground obscured material is essential for safety and construction progress. GPR (Ground Penetrating Radar) investigation has advantages of high resolution, ease of utilization and strong electromagnetic noise when using high frequency. However, the GPR detection data image is not visible and has a problem that it is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inspecto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isualization of detection data using computer vision based on GPR detection data. Canny edge and Harris corner detection were applied to the GPR image data to detect the hyperbolic shape. By using this to increase the visibility, it will contribute to the reliable result in the buried detection.
        63.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weaknesses of water-pipe buried at river because of difficulty like to invisible exposure by scour. These weaknesses cause flotation, deformation and damage of pipelin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survey instrument applying GNSS that KISTEC has recently introduced. Also, we has verified reliability by discovering exposed water-pipe on field
        64.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quartile control chart method is tried to apply to determine limit values of existing dams of K-water’s instrumentation data for dam safety, show asymmetric distributed data, and the example of application is presented. The determined limit values of concrete stress meter and concrete non-stress meter by Shewhart method and quartile method show that the determined limit values by Shewhart method indicate that the majority of instrumentation are on abnormal condition, although the measured values are normal behavior. But, in case of the result of quartile method has such an error. Like this, it is judged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limit values of dam instrumentation, show asymmetric and abnormal distributed data, by the quartile method is appropriate. Therefor The quartile method i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limit values of existing dam instrumentation of K-water.
        65.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mong the reliability assessment method for measured data of dam instrumentation, time series analysis and behavior analysis were introduced and the reliability assessment cases for seepag weir, pore-pressure meter, concrete stress meter and joint meter were presented.
        66.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strategy of the research project was introduced to develop the safety evaluation factors and the monitering system of underground lifelines against the ground subsidence.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in three steps of concept design, critical technique development and technique verification.
        67.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quartile control chart method is tried to apply to determine limit values of dam instrumentation data for dam safety, show asymmetric distributed data, and the example of application is presented. The determined limit values of concrete stress meter and concrete non-stress meter by Shewhart method and quartile method show that the determined limit values by Shewhart method indicate that the majority of instrumentation are on abnormal condition, although the measured values are normal behavior. But, in case of the result of quartile method has such an error. Like this, it is judged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limit values of dam instrumentation, show asymmetric and abnormal distributed data, by the quartile method is appropriate. Therefor The quartile method i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limit values of dam instrumentation of K-water.
        6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수의 사용은 해수담수화, 원자력발전소, 해양심층수, 어항의 어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수요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해수 취수는 해수를 관으로 직접 취수하는 방식과 대수층에 관정 등을 이용해서 취수하는 간접 취수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리모형실험에 의해 분석한 매설식 해수취수시설은 다양한 해수취수방법중 항내에서 직접해수를 취수하는 방법이다. 매설식 해수취수시설은 여과사를 이용한 전처리를 통해 부유물질을 저감시킨 후 폐색을 방지하는 이중관에 의해 물을 공급하므로서 수질을 개선하고, 최저 약조위 이하로 항내 매설되어 있어 풍부한 수량을 확보하며, 항내에 설치되어 있어 외해를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구조적 안전성이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매설식 해수취수시설의 취수관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여과사가 없는 경우에 단일관과 이중관의 성능을 조위를 바꾸어가면서 수리모형실험에 의해서 검증하였으며, 여과사가 있는 경우에 취수관의 연장과 조위를 바꾸어 가면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최적의 취수관의 연장을 제시하였다. 수리모형실험 결과 여과사가 없는 경우 스트레이너 형태의 외관을 갖는 이중관의 경우에도 단일관과 거의 동일한 유량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류단의 경계조건인 조위를 변화시켜가며 실험한 결과 조위에 따른 유량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과사가 있는 경우 이중관에 대해서만 실험을 수행했으며 실험결과 여과사나 조위에 의한 유량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스트레이너 형태의 외관을 갖는 이중관의 경우에 충분한 유량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취수관의 연장이 20m인 경우에 충분한 안전율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주요 사회기반시설물 중 하나인 매설가스배관의 지진 취약도 모델을 개발하였다. 취약도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대상시설물의 지진해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지진해석은 동적해석법인 시간이력해석과 실무에서 지중구조물의 지진해석에 많이 이용되는 방법인 응답변위법을 이용하였다. 동적해석법인 시간이력해석에서는 지반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Winkler Foundation모델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고, 동정평형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수치해석기법은 Hilber-Hughes-Taylor방법을 이용하였다. 가스관의 지진 해석 결과는 확률론적인 해석방법인 최우도추정법을 이용하여 지반별 지진취약도 곡선을 작성 및 분석하였다.
        70.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stress distribution of gas pipe buried in soft ground. A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API 5L X 65 steel gas pipe. The analytical model describes the typical cohesive sediment bed in domestic southwest coast, and embankment load is adopted for this research. Compared with residual soil conditions, the effective stress increases by 23∼26%. From th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soil stiffness would significantly affect the stress distribution of gas pipe buried in soft clay.
        71.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댐에는 다양한 계측기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계측되는 데이터는 댐의 유지관리 및 안전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계측결과들의 획득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댐체 매설 계측기 (또는 계측데이터)의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는 수정된 상관함수를 이용한 새로운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인공 계측 데이터와 실제 댐에서 수행된 계측 데이터에 대해 적용 검토 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72.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하에 매설용 하수관거 자재에 대한 누수를 체크할 수 있는 장비로는 수밀시험 방법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공기압 시험을 활용한 누수시험방법은 수밀시험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자연상태 및 대기중에 있는 공기를 활용하여 공기압으로의 대체를 통하여 훨씬 더 효율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방법으로의 유도 및 국가 시방서의 개정을 통한 효과적인 누수시험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되어왔었던 것도 사실이다. 수밀시험방법의 문제점으로는 용수확보 문제, 사용 후 처리수의 문제, 펌핑 비용 및 인력의 과다한 투입문제 등이 늘 지적되어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로 공기압 시험방법은 관로 내부로 공기를 형성하여 배기되는 시간을 모니터링 하고 적정 압력상태에서 밸브를 폐쇄시킨 다음 일정한 압력상태에서의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서 대상관로의 수밀검사를 수행하는 기술이다.
        73.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베딩조건에 따라 강성재질의 지중매설관 주변에 작용하는 토압분포와 크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초경량재료인 EPS블록을 매설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여러 가지 조건으로 설치한 다음 주문진 표준사로 복토하여 토압과 침하량을 측정하는 원형의 대형토조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EPS 베딩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매설관 바닥에서 측정된 토압은 4.96 으로 나타났으며 베딩재를 설치하는 경우 바닥에서 측정된 토압은 조건에 따라 1.87~4.35 으로 베딩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12~62% 가량 토압이 경감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베딩재의 위치에 대한 매개변수적인 실험결과 베딩재를 하부-상부-상하부에 설치하는 순으로 경감효과가 크며 EPS 베딩재를 하부보다는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 경감효과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