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

        6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공호수(옥정호)에서 2004년 1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월 1회 간격으로 수층별(표층: 0~5 m, 중층: 4~5 m, 하층: 8~10 m)육수학적 요인과 동물플랑크톤군집 동태 및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섭식 기여율을 파악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수층별 평균 수온은 각각 상층 15.2±7.8℃, 중층 14.5±7.4℃ 그리고 하층은 13.0±6.2℃
        4,000원
        64.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계 완도 연안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군집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8월 30일에 6개의 정점에서 NORPAC net를 이용하여 수직 채집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37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출현 개체수는 147~1696 indiv. m-3의 범위를 나타냈다. 우점종은 E. tergesrina, A. pacifica, P. parvus s. 1, 십각류 유생, S. crassa로서 전체 출현 개체수에 90%이상을 차지
        4,000원
        65.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막만 소호 인근해역의 용존산소 농도에 따른 등물 플랑크톤 군집 동태를 연구하기 위해 2005년 8월 22일 부터 9월 15일까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저층의 용존산소 농도가 3mgL-1 이하일 때는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는 현저히 낮게 나타나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수층별 분포와 출현 개체수에 대한 저층의 저산소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용존산소 농도는 저층으로 갈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연구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는 대부
        4,000원
        6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돌목 수로에서 요각류 35개 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55개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연안종은 계절적인 종천이를 보였으며, 난류 외양성 종은 전 조사 시기에서 출현하였다. 분류군 수는 창조 시 저조에서 고조로 갈수록 증가하며 낙조 시 고조에서 저조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따라서 울돌목 해역은 연중 외해수 영향에 따른 외양종의 유입으로 동물플랑크톤 종조성에 영향을 받는다. 전체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은 104~2,717indiv.m-3의 범위를
        4,200원
        67.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등 효과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군집동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통영 바다목장 해역내 한국해양연구원 가두리 설치 지역에서 2004년 7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채집을 실시하였다. 점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시료 채집은 야간에 점등구간에서 또한 자연상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과 비교분석을 위하여 같은 시간에 인접 지역에서 점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를 선정하여 점등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채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종 수
        4,300원
        69.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ooplankton dynamics were investigated based on samples collected monthly during the period between November 1998 and October 1999 at 15 stations in Gwangyang and Sachon Bay. Zooplankters were quantitatively collected with horizontal towing through the su
        4,000원
        70.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진해만은 도시화로 인한 생활 폐수와 산업 폐기물. 해군기지 건설 등으로 오염이 심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에서 진해만의 오염에 따른 동물 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채집은 해군기지를 중심으로 마산만에 연결되는 북서쪽 2지점을 포함하여, 9개의 정점을 8월(여름), 11월(가을), 2월(겨울), 5월(봄)에 걸쳐 계절별로 관찰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37개 분류군으로 종수준까지는 31종이 동정되었으며 지각류는 겨울
        4,600원
        71.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양만에서 동물플랑크톤의 계절변동을 2001 6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격월로 조사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조사해역의 9개 정점에서 망목 3000μg인 NORPAC 네트를 이용하여 수평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동물플랑크톤은 47종류가 출현하였으며 평균 출현량은 6,205 inds. m-3이었다. 월별 출현량은 2002년 6월에 최대 26,060 inds. m-3에서 2001년 8월에 최소 630 inds. m-3사
        5,400원
        72.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이나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지속성 유기오염물질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염분과 온도에 대해 내성이 강한 Acartia 종들과 Artemia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지속성 유기오염물질인 PAHs와 TBT에 대한 요각류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3가지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1) 광양만에서 주로 나타나는 5가지 PAHs(anthracene, benzo〔a〕pyrene, fluoranthene, phenanthrene, pyrene)에 대한 A. omo
        4,000원
        7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eastern Barents Sea were observed at 17 stations, from 12 to 28 July 2002. Six taxa of zooplankton were found, including tintinnids, copepods, cumaceans, appendicularian
        4,000원
        74.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pact of artificial illumination on zooplankton dynamics has been studied in Tongyong marine ranch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998 to August 1999. Monthly sampling has been carried out to collect zooplankters from both natural waters and artificially
        3,000원
        77.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막만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을 계절별(2001년 4 월, 7월, 9월, 12월)로 Norpac 네트를 이용하여 수직 채집하였다. 우점적으로 출현한 분류군은 4월과 12월에 요각류, 7월에 요각류와 지각류, 9월에 야광충이었다. 출현 개체수는 22-17,197 indiv. m-3으로 시.공간적으로 변동폭이 매우 컸다. 요각류의 우점종은 4월에 Eurytemora pacifica, Acartia omorii, Centropages abdomina
        4,300원
        78.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9년 2월부터 11월까지 강진만의 16개 조사정점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격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9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출현량은 2,028indiv. m-3이었다. 월별 출현량은 2월에 최대 5,496 indiv. m-3에서 11월에 최소 78 indiv. m-3 사이에서 변동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중 요각류는 총 19종이 동정되었는데 월평균 출현량은 42-4,159 in
        4,000원
        79.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양호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적 천이는 1996년 에 Asterionella → Peridinium → Anabaena의 순서이었고 1997년과 1998년에는 Asterionella → Cryptomonas → Anabaena로 천이양상이 바뀌었다. 면적당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규조류의 spring bloom시에 가 장 많았으며 늦여름에는 Anabaena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1996년에서 1998년으로 해가 지날수록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감소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요각류의 Eodiaptomus, Cyclops, Diacyclops, 지각류의 Bosmina, Daphnia, 윤충류의 Polyarthra, Keratella 속의 종들이 계절에 따라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요각류의 현존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봄에 규조류의 생체량이 높은 시기보다 2~3개월 후인 6월말부터 7월에 걸쳐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높았고 이때 식물플랑크톤의 증가를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9월 전후에도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높아졌는데 이 때는 남조류의 우점 시기와 거의 일치한 것으로 보아 남조류는 동물플랑크톤에 의해 효율적으로 포식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봄의 규조류 증식 초기에는 bottom-up 효과가 우세하였고 이후에는 동물플랑크톤이 증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억제하는 top-down 효과가 우세하였으며, 남조류 번성기에는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의 먹이 연쇄의 기능적 연결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에는 미생물먹이망의 기능이 중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80.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 6월부터 1996년 6월까지 한강 하류 7개 정점에서 6회에 걸친 현장조사를 통하여 동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기간중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총 70분류군 (taxa)으로 원생동물 3종, 윤충류 25종, 지각류 18종, 요각류 13종, 다모류 1종 등 60종이 종준위까지 동정되었다. 계절별로는 1995년 6월에 전정점에서 10~27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다양한 출현 양상을 보였으며 홍수 발생 직후인 1995년 7월에 가장 빈약하게 출현하였다. 정점별로는 상류에서 하류보다 많은 종류가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최대출현량은 입방미터당 44,317 개체(1996년 6월, 정점 7)를 기록하였으나 같은 정점에서 1995년 7월에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계절별로는 1995, 1996년 모두 6월에 높은 출현량을 기록하였으며 7월과 1월에 출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우점종으로는 지각류인 Daphnia galeata와 D. pulex 및 Bosmina longirostris와 요각류인 Canthocamptus carinatus, Cyclops vicinus, Thermocyclops hyalinus 및 요각류 유생이 출현하였다. 단일종으로 D. galeata가 최대 입방미터당 16,964개체의(1996년 6월, 정점 2) 농밀한 개체군을 형성하였으며 D. pulex, B. longirostris, T. hyalinus, C. vicinus도 각각 입방미터당 9,375 개체, 7,250개체, 6,714개체 및 5,772개체의 개체군이 관찰되었다. 동물플랑크톤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1996년 5, 6월을 제외하고는 상류역인 정점 1~4에서 하류역인 5~7보다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