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

        61.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수량, 그루터기의 저장탄수화물 및 주수저하에 미치는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3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파종량은 사초수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질소시비수준에 의한 사초수량의 차이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높은 질소시비 수준에서 최대 건물수량이 생산되었다.2.1회 예취시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은 공히 저장탄수화물 수준
        4,000원
        62.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가 권장하는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장려품종은 10종이 있으나 이들은 동일한 환경조건하에서 함께 평가된 일이 없다. 따라서 본 시험은 수원소재 서울대 농대의 사초시험포장에서 2년간에 걸쳐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축협장려품종에 대한 사초수량과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종의 공시품종중 G83F 및 NC+855는 조생품종으로 분류되었으며 Pioneer 988 및 Sordan 79는 다른품종에 비하여 잎마른병에 강하였
        4,000원
        63.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샤일리지용 수수와 청예용 수수-수만그라스 교잡 종의 사료생산에 안맞은 수확기를 안기 위하여 수수 2품종(p 931, P 956)과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 1 품종(P 988)을 재배하여, 수수는 출수기부터 1주일 간격으로 6회 수확하였고 재생한 것은 10월 13일에 모두 수확하였다 수수-수단그라스는 출수 1주전부 터 1주후까지 6회 수확하였고, 재생한 것은 2차 혹은 3차 수확하여 수화시기가 사료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4,000원
        64.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부지방에서 유숙기에 수확한 수수의 사일리지 생산과 지엽출현기에 수확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 종의 청예사료 생산에 알맞는 파종량을 알기 위하여 수수 2품종(P 931, P 956)과 수수-수단그라스 교잡 종 1품종을 4수준의 파종량(1. 2, 3, 4 kg/lOa)에서 재배하였다. 수수 P 931은 7월 22일, P 956은 7월 31 일에 1차 수확하였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7 월 26일,8월 16일에 수확하였으며, 수수의 2차 및 수수-수단그
        4,000원
        65.
        198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utting frequency and cutting height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performance of sorghum-sudangrass hybrid, cv. Pioneer 855 F on the experimental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Suweon.
        4,000원
        66.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本試驗)은 온도(溫度)의 변화(變化)가 사료작물(飼料作物)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수수(Pioneer 931), 수수×수단그라스교잡종(交雜種)(Pioneer 988), 수단그라스(Piper) 및 옥수수(수원(水原) 19호(號))를 공시재료(供試材料)로 하여 Growth chamber내(內)에서 수행(遂行)하였다. Growth chamber 내(內)의 주야간(晝夜間) 온도(溫度)는 10/5, 15/1
        4,000원
        67.
        198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本試驗)은 sudangrass의 Piper를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고 질소수준(窒素水準)을 20, 30 및 40kg/10a으로 하여 난괴법(亂魁法) 4반복(反復)으로 1984년(年)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사료작물시험포(飼料作物試驗圃)에서 실시(實施)하였다. Sudangrass에 발생(發生)하는 주요(主要) 병원균(病原菌)을 분잡(分雜) 동정(同定)하고 이중 매문병(煤紋病)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양적(量的) 및 질적손실(質的損失)을 연
        4,000원
        68.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종기(播種期)를 이동(移動)할 때 수수, 수단그라스, 그리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交雜種)의 생육(生育), 건물축적(乾物蓄積) 및 성분함량(成分含量)의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져 1981~'83년(年)에 포장시험(圃場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다. 파종기(播種期)는 4월(月) 16일(日)부터 2주일(週日) 간격(間隔)으로 7처리(處理)를 두었던 바 그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수속작
        4,200원
        69.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dangrass와 Sudangrass×Sorghun의 交雜種인 Pioneer 931과 Pioneer 988의 乾物生産量, 一般組成分 生産量, hemicellulose와 世胞內容物 生産量 그리고 乾物, 纖維素의 消化率 및 可消化에너지와 可消化蛋白質을 調査하였다. 1. 10a當 乾物生産量은 Sudangrass가 1,638kg으로 가장 많았고, Pioneer 988은 1,404kg, Pioneer 931은 1,282kg으로 적었다. Sud
        4,000원
        70.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種實用 수수와 수단그라스의 交雜種인 Pioneer 988의, 窒素施肥水準에 따른 時期別 生育 및 乾物生産量을 조사하기 위하여 本 硏究를 실시하였다. 窒素肥科는 成分量으로 10a當 15, 25, 35kg을 施用하였으며 幼植物로부터 開花後期까지의 生育期間게 몇가지 特性을 調麥한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이 要約된다. 1. 出現葉數는 生育이 進行됨에 따라 증가했는데 穗孕期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出穗期에는 最終葉인 15葉이 出現했다. 2. 葉面積指數는 生育의
        4,000원
        71.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단그라스계 잡종(雜種)인 Pioneer988의 수량(收量)과 잡초억제(雜草抑制) 및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에 대한 파종량(播種量)과 제초제(除草劑)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파종량은 ha당(當) 25kg와 50kg으로 처리하였으며 제초처리(除草處理)는 인력제초(人力除草), alachlor 처리, simazine 처리 및 alachlor와 simazine을 복합(複合)처리하였고 대조구로 잡초(雜草) 효임구(效任區)를 두었다. 수량(收量
        4,000원
        72.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Sorg hum bicolor (L.) Moench)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예취후(刈取后) 그루터기의 고사(枯死)와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에 미치는
        4,000원
        73.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 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 Sorghum bicolor (L.) Moench] 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 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신지(新枝)(측지(側枝) 및 분얼경(分蘖莖))의 발생(發生), 건물중(乾物重) 및
        4,000원
        75.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 biomass, photosystem II (PSII) photochemical activity, photosynthetic function, and zinc (Zn) accumulation were investigated in a sorghum-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 S. sudanense) exposed to various Zn concentrations to determine the elimination capacity of Zn from soils. Plant growth and biomass of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decreased with increasing Zn concentration. Symptoms of Zn toxicity, i.e., withering and discoloration of old leaves, were found at Zn concentrations over 800 ppm. PSII photochemical activity, as indicated by the values of Fv/Fm and Fv/Fo, decreased significantly three days after exposure to Zn concentrations of 800 ppm or more. Photosynthetic CO2 fixation rate (A) was high between Zn concentrations of 100-200 ppm (22.5 μmol CO2・m –2・s –1), but it declined as Zn concentration increased. At Zn concentrations of 800 and 1600 ppm, A was 14.1 and 1.8 μmol CO2・m –2・s –1, respectively. The patterns of stomatal conductance (gs), transpiration rate (E), and water use efficiency (WUE) were all similar to that of photosynthetic CO2 fixation rate, except for dark respiration (Rd), which showed an opposite pattern. Zn was accumulated in both above- and below-ground parts of plants, but was more in the below-ground parts. Magnesium (Mg) and iron (F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leaves of plants, and symptoms of Mg or Fe deficiency, such as a decrease in the SPAD value, were found when plants were treated with Zn concentrations above 800 pp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is able to accumulate Zn to high level in plant body and eliminate it with its rapid growth and high biomass yield.
        76.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wever, these elements can limit plant growth. This study selected a heavy metal-tolerant plant by analyzing seed germination and biomass of alfalfa (Medicago sativa), canola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Chinese corn (Setaria italica), and a sorghum-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 S. sudanense), and determined heavy metal uptake capacity by analyzing biomass, chlorophyll a fluorescence, and heavy metal contents under high external copper or zinc levels. The seed germination rate and biomass of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were higher under copper or zinc stress compared to the other three plants. The plant biomass and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s of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seedlings were less vulnerable under low levels of heavy metals (≤ 50 ppm copper or ≤ 400 ppm zinc). The maximum quantum yield of PSII (Fv/Fm) and the maximum primary yield of PSII (Fv/Fo) decreased with increasing copper or zinc levels. Under high copper levels, the decline in Fv/Fm was caused only by the decline in Fm, and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non-photochemical quenching (NPQ). The Fv/Fm declined under high levels of zinc due to both a decrease in the maximum fluorescence (Fm) and an increase in the initial fluorescence (Fo), and this was accompanied by a marked decrease in photochemical quenching (qP), but not by an increase in NPQ. Accumulations of copper and zinc were found in both aboveand below-ground parts of plants, but were greater in the below-ground parts. The uptake capacity of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for copper and zinc reached 4459.1 mg/kg under 400 ppm copper and 9028.5 mg/kg under 1600 ppm zinc.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contributes to the in situ phytoremediation of copper or zinc polluted soils due to its high biomass yield.
        79.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바이오에탄올 생산용 작물 선발을 위해 국내재배 가능한 일년생 작물중에서 바이오매스 생산량이 우수한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에 대한 바이오에탄올 생산성을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총 11 품종의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 대한 화학적 특성검증 결과 셀룰로오스 함량은 Green Star 품종이 가장높았으며 발효율 검정을 위해 Green Star, Revolution,KF429 그리고 SS504 4품종을 선발하였다.2. 선발된 4품종으로부터 발효 당을 추출하기 위해 시료와1 M NaOH 용매를 1:14의 비율로 혼합하고 150℃에서30분간 전처리하였을 때 시료내 셀룰로오스 함량은 55%이상 이였으며, 발효 저해 작용을 하는 리그닌 및 회분함량은 65%이상 제거 되었다.3. 전처리물의 당화율 검정을 위해 celli CTEC II 효소 30FPU/g-cellulose를 사용하였으며 4품종의 당화율은 평균86%이었다.4.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의 발효율 검정은 동시당화발효(SSF)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발효균주로는 Saccharomysiscerevisiae CHY1011를 사용하였고, 결과적으로 GreenStar의 발효율이 92.4%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 생산량은 6,206 L/ha임을 확인하였다.
        8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nutritional problem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xSorghum sudanese) silage is low quality and palatability.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organic com grain and crushed rice addition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 increases forage quality of the silage. The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s with added com grain and crushed rice were similar to conventional corn silage in moisture content. However organic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 had low pH values. Silage added with gain and byproduct had higher crude ash,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than control corn silages, while its non-fiber carbohydrate (NFC)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showed the opposite results. Lactic acid, butyric acid and lactic percentage oftotal organic acid (UT)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m silage, but acetic acid was higher than control.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ity (IVDMD) of com silage was higher than other sorghum silages. Feed intake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 added with crushed rice was highest among silages. Therefore, these data indicate that crushed rice and com grain added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 could be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creasing silage quality and palatability.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