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5

        81.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panax ginseng C.A. Meyer) 추출물 단독의 항산화 활성과 홍삼추출물에 삼백초(Saururus chinensis(Lour.) Baill.)와 복분자(Rubus coreanus Miq.) 추출물을 농도별로 보충 급여 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rague Dawley rat에 이들 추출물을 8주간 섭취시킨 후 희생시켜 간장 cytosol중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T 등의 항상화 효소계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급여군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의 효소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높았다. 특히 홍삼 단독보다는 삼백초와 복분자를 보충급여시 상승효과가 높았으며 급여기간이 길수록 그 효과가 높았다.
        82.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 첨가 해물만두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하고자 시판 만두, 해물만두 및 20% 김치첨가 해물만두 추출물에 대한 항돌연변이,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간접돌면변이원으로 알려진 aflatoxin B을 첨가한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및 YG 1024에 만두 추출물을 5 mg/plate 농도로 처리한 후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한 결과 20% 김치첨가 해물만두의 돌연변이 저해율이 47% 및 61%로
        83.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L. ex fr.) Link)의 수소전자공여능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살펴본 결과 부탄을 분획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수소전자공여능이 다른 시료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결과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 4NQO 그리고 간접변이원인 B()P, Trp-P-1에 대해서 유의성 있는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보였다. MNNG(0.4 /plate)의 경우 S. typhimuriu
        84.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디의 기능성(機能性)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의 일환으로 뽕나무 품종에 따라 9종의 오디를 채취(採取)하여 냉동건조(冷凍乾燥)한 후 각각에 대하여 항염증 및 항산화효과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작용을 검색하기 위하여 cyclooxygenase II의 활성억제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광뽕 〉 검설뽕 〉 4배성 휘카스 〉 2배성 휘카스 〉검설뽕 등의 순으로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현재 항염증제의 표준물질로 사용되고 있는 nabumetone 10ppm에서 활성억제도(活性抑制度)를 1이라 했을 때,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낸 신광뽕 오디의 경우는 0.55의 활성도를 나타냈다. 2. 최근에 천연물(天然物)로부터 항암작용과 더불어 소염작용을 갖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phosphlipase A2의 활성억제도법을 이용한다. 오디 9품종의 MeOH 추출물 100μg/ml의 농도에서 phospholipase에 대한 억제활성은 신광뽕 〉 검설뽕 〉 휘카스 〉 북산2호의 순으로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3. 항염증 작용과 항산화 작용은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DPPH법을 이용하여 radical scavengingrate를 측정했다. 그 결과 신광뽕 〉 검설뽕 〉 휘카스 〉 청일뽕의 순으로 항산화작용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9종의 오디품종중 항염증제로의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은 검설뽕, 휘카스 및 신광뽕이었고, 북산2호와 대도상의 항산화 항염증 효과는 전혀 없었다.
        85.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구의 수명이 연장되고 노령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이 야기되고 있고, 이들 성인병의 원인이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이들의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30종을 대상으로 그들의 MeOH 엑스에 대한 자유라디칼소거효과 및 오배자의 분획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PPH법을 사용하여 약용식물 10종의 MeOH 엑스에 대한 1차 라디칼 소거작용 검색 시험을 한 결과 오배자, 토복령과 호장근의 MeOH 엑스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 을 나타내었으며 이중에서 오배자의 자유라디칼 소거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1차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오배자에 대하여 오배자의 MeOH 엑스로부터 각 극성별로 분획하여 얻어진 n-Hpxane, EtOAc, BuOH, H2O 엑스에 대하여 DPPH법을 이용한 라더칼 소거작용을 시험한 결과, n-Hexane, EtOAc, BuOH 엑스가 강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3. Ferric-Thiocyana법을 이용하여 오배자의 n-Hexane, EtOAc, BuOH 및 H2O엑스에 대하여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시험한 결과 오배자의 n-Hexane, EtOAc, 및 BuOH 엑스는 천연 항산화제인 tocopherol 및 합성 항산화제 인 BHA 보다 우수한 탁월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H2O 엑스는 tocopherol 보다는 우수하고 BHA와는 유사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