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

        81.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icit antecedents that influence the buying of counterfeit products in Raipur, an emerging capital c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203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to come out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From the exploratory study, 20 variables were identified to have an influence on the buying of counterfeit products. Factor analysis was applied on the data collected and these items were grouped into four factors. Result - The findings suggest that safety implicatio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ying of counterfeits in an emerging city – Raipur, India. Further studies that are specific to geographical locations could be carried out to validate the findings of this paper as the tastes and preferences of each of the markets are unique. Conclusions - For manufacturers, marketers and law enforcers it might be of great interest to learn that safety concerns are uppermost on the minds of people who deliberately or inadvertently consume counterfeits. If it can be conveyed effectively that consumption of counterfeits can cause more harm than increase in perceived value, it can be checked to a good extent.
        82.
        201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영화가 중국 후베이성 대학생들의 한국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로서 현지 대학생들을 상대로 직접 설문조사를 하고 수집된 조사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후베이성을 선택한 이유는 후베이성이 한류가 잘 전파된 중국 동안 베이징이나 상해 등 보다 지리적으로 중국 내륙에 위치하고 있어 소득수준이 이들보다 비교적 낮고, 한국 드라마/영화의 접근성이 취약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설문조사는 2015년 6월, 여름방학을 이용해 중국 후베이성 문민대학생들 2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에 대한 주요 분석 도구로는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한국 영화/드라마는 중국 후베이성 대학생들의 한국 화장품 구매에 직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국은 여러 개의 성들이 모여 있는 유럽(EU)형 국가라는 점에서 중국에 진출할 예정이거나 기 진출한 한국 화장품 기업들은 각 성의 지리적, 문화적 환경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사려 된다.
        83.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and rank factors that influence impulse buying behavior among shoppers in Dubai.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68 Dubai shoppers using non-probability quota sampling. Factor Analysis was completed to identify factors triggering impulse buying traits. Results – Six antecedent factors were identified: hedonism, in-store influences, product related influences, socialization, promotional activities, and convenience. Surprisingly, product related influences were the most significant in stimulating impulse buying behavior. Conclusions –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 multitude of factors affect shopper propensity for impulse buying, with non-economic factors like product and in-store related influence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Hence, retail managers should concentrate on these in merchandising and promotional efforts. Against the backdrop of Dubai, one of the biggest retail destin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present knowledge on impulse buying behavior. In terms of shopper inclinations and likeliness to purchase products, it highlights how shoppers respond to special in-store displays and discount offerings. For marketers, the findings regarding relative significance of various factors may help in strategies to attract consumers.
        84.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POP광고 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응답자의 자기감시와 충동구매성향이 어떤 조절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현재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물은 이미지형, 판매촉진형, 제품정보형으로 분류하여 총 3가지 유형의 POP광고물을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응답자의 충동구매성향과 자기감시성을 측정하고 각각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조절변인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POP광고유형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OP광고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충동구매성향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기감시성은 구매의도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광고태도에는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을 논의하고 미래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85.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brand marketing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redefine their statu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impacts on consumer buying behavio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Products, with in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agricultural brand products and generic products. Dependent variables were limited to expanding sales of a specialty brand through consumer awareness, consumer buying behavior, and confidence in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Control variables wer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products such as freshness, safety, quality, and their category. Moderating effects were examined on consumer characteristics, including income levels and age. Results - Consumers increasingly purchased agricultural brand products rather than generic agricultural products because of the general reliability of quality assurance. Conclusions - Large agricultural specialty stores have enhanced the perceptions of quality assurance, freshness, safety, and diversity. Through a critical analysis of the domestic consumer income levels and age, gender, and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ricultural consumer buying behavior not affecting consumers' health and life, this study proposes positive changes in quality perception.
        86.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전단지라는 광고 수단과 소비자의 구매태도에 관한 상관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근본적인 목적으로 두어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전단광고물을 통한 홍보 활동이 얼마나 많이 이뤄지고, 또 어디에서 많이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파악하여 여러 가지 홍보 수단들 중에서 전단광고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어떠한지가 분석하였다. 더불어 설문 초기에 전단 광고라는 홍보에 대해서 소비자가 얼마나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를 가장 먼저 알아보았다. 근본적으로 전단광고에 대해 호감이나 적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 자체로 그 광고물의 홍보 효과에 대한 성패가 갈리기 때문이다. 이렇게 전단광고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감정을 토대로 전단 광고물이 수용자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는 것에도 또한 그 목적이 있다. 어떤 혜택이 가장 마음에 들었으며, 그러한 혜택으로 인해 실제로 업체를 방문하였는지, 또한 방문 후 실질적인 구매 행위를 했는지에 대한 질문을 통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끼쳤는지 검증하여 전단 광고물을 받은 후의 느낌과, 그것을 받은 후 얼마나 자세히 읽어보는지를 통해 전단광고의 홍보 수단 자체의 실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