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1

        81.
        2017.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cean economy plays a crucial role in the strengthening maritime safety industry and in the welfare of human beings. Electric Submersible Pumps (ESP) have been widely used in floating platforms on the sea to provide oil for machines. However, the ESP fault may lead to ocean environment pollution, on the other hand, a timely fault diagnosis of ESP can improve the ocean economy. In order to meet the strict regulations of the ocean econom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fault diagnosis of ESP system ha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in many countries. The vibration mechanical models of typical faults have been able to successfully diagnose the faults of ESP. And different types of sensors are used to monitor the vibration signal for the signal analysis and fault diagnosis in the ESP system. Meanwhile, physical sensors would increase the fault diagnosis challenge. Nowadays, the method of neural network for the fault diagnosis of ESP has been applied widely, which can diagnose the fault of an electric pump accurately based on the large database. To reduce the number of sensors and to avoid the large database, in this paper, algorithms are designed based on feature extraction to diagnose the fault of the ESP system.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algorithms can achieve the prospective objectives superbly.
        4,000원
        8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uggest more efficient fishing operation, it was analyzed using five years (2011~2015) catch data of six Korean-flagged tuna purse seiners (with 1000 mt of haul capacity) operating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In terms of annual total catch, it presented a two-year cycle of variation on catch, showing that catches of 2012, 2014 and 2015 were high, whereas those of 2011 and 2013 were low. The proportions on fishing effort of associated set were around 21.9~30.8% having 21.5~45.0% of total catch.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tches of unassociated set and associated set. When considered having good fishing conditions, fishing activities were concentrated in the areas of Papua New Guinea (PNG) and Kiribati, while it showed that fishing ground spreaded out to the areas of not only PNG and Kiribati but also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FSM), Tuvalu and Solomon islands. The average number of fishing days was 271 with a range of 246~285. As restriction on fishing operation such as reduction of fishing days and higher fishing fee are expected to strengthen,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select more efficient fishing methods for purse seine fishery based on fishing conditions.
        4,000원
        89.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해상화물 운송주선인은 해상운송 시장 내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그 의 업무 범위도 많이 변화되어, 화주와 운송업자 간의 연결 뿐만 아니라 많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데, mere agent, contracting carrier 및 performing carrier 등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여러 가지 법적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을 바탕으로 중국최고법원은 해상화물 운송주선인의 분쟁의 재판에 관한 법규 를 제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법규를 소개하고 해상화물 운송주선인의 정의 및 법적 책임, 운송 서류의 송달 지연, FOB 조건 하에서의 운송 서류의 송달, 화물의 멸실 및 훼손의 고지 및 해상화물 운송주선에 관한 분쟁의 시효 및 관할권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4,800원
        90.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변화하고 있는 중앙북극공해 어업에 대한 국제입법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북극해는 기후변화와 함께 북극의 어업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현재 북극은 베링해와 바렌츠해를 중심으로 어장이 형성되어있다. 그러나 최근 해빙의 양이 줄어들면서, 중앙북극 공해의 어업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북극 연안 5개국은 중앙북극해의 어업에 대한 3차례(2010년 오슬로 회의, 2013 년 워싱턴 회의, 2014년 누크회의)의 회의를 개최하였다. 2015년 7월 북극 연안 5개국은 오슬로에서 예방적 접근을 근거로 하여 ‘중 앙북극해에서의 비규제 공해어업방지에 관한 선언(이하 오슬로 선언)’을 발표 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2015년 12월 미국은 ‘중앙북극해 비규제 공해어업 방지 협약안’을 만들어 채택하고자 관련 국제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는 과학자 회의와 함께 개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동 회의는 ‘broader process’ 방식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아이슬란드, 유럽연합(EU)도 참여하 여 진행되고 있다. 원양어업국인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중앙북극공해에 대한 국제입법 동향을 살펴보는 것 또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이 논문에서는 중앙북극해 공해에 대한 국제회의 과정을 통해 오슬로 선언 과 중앙북극해 비규제 공해어업 방지협약안의 형성 과정을 살펴 볼 것이다. 또한 동 선언 및 협약안과 타 협약과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해 살펴 봄으로서, 향후 우리나라가 취해야 할 입장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6,100원
        94.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in the Pacific Ocean were investigated using logbook data compiled from captain onboard and the statistical data from 1980 to 2014. Changes in fishing ground and correlation between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and fishing patterns were investigated using Oceanographic index. The proportion of unassociated set was higher than that of associated set. The catch proportion of yellowfin was higher in the unassociated set, while that of skipjack and bigeye was higher in the associated set. Due to vessels, fishing gears and Korean captains’ high-level of skills in fishing technology optimized for the unassociated set and preference of large fishes, especially large yellowfin tuna, it showed unique fishing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unassociated set. As for fishing distributions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and impacts of oceanographic conditions on the fishery, the main fishing ground was concentrated on the area of 5°N~10°S, 140°E~180° through the decades. When stronger El-nino occurred, the range of fishing ground tended to expand and main fishing ground moved to the eastern part of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During this season, yellowfin tuna had high CPUE and catch proportion of yellowfin tuna in the eastern part also increased. As for the proportion of fishing effort by set type, proportion of log associated set was high during El-nino season while that of FAD associated set was high during La-nina season.
        4,500원
        97.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해양수도21 기본계획’의 분야별 목표를 확인하고, 선행연구와 지역언론을 통해 각 분야에 대한 현 실태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해양수도 건설’ 계획의 5개 중점 전략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틀은 구조적 관점과 제도적 관점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통해 자료들을 정성적으로 평가했다. 분석결과, 항만인프라 구축 분야에서는 항만의 환경과 안전기준, 다원화된 항만관리기관간의 협의회가 필요하였다. 해양수산 분야에서는 저개발 어장의 재정 비, 단계별 산학협력 장려가 요구되었다. 해양문화·관광분야는 축제와 공간을 연계한 관광코스 개발, 역사와 현재가 조화된 관광자원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해양인력·정보 분야는 해양클러스터 실무진 협의회 개최, 일자리 수요 를 반영한 인력양성이 요구되었으며, 해양경제 분야는 해양금융 관련 기관의 협업을 위한 운영방식 개발, 해운거래소 설립과 해양펀드 운영 등이 필요하였 다. 본 연구는 해양수도 건설계획에 대한 외부평가 자료를 정성적으로 파악하 였으며, 향후 명확한 데이터를 토대로 한 정량적인 분석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
        6,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