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8

        8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blood urea nitrogen (BUN) and sex steroid hormones, such as estrogen, progesterone, and testosterone in Korean cattle (Hanwoo) with reproductive disorde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UN and body condition score (BCS) in Hanwoo. The concentration of BUN was 16.2 mg/dl, 17.8 mg/dl, 15.1 mg/dl, 17.9 mg/dl, and 28.3mg/dl in pregnancy, repeat breeding, follicular cyst, luteal cyst, and ovarian atrophy, respectively. In Hanwoo with BCS , and , the concentration of BUN was 15.8 mg/dl, 17.0 mg/dl, and 17.6 mg/dl, respectively. Fluoroimmunoassay showed that serum estrogen and progesterone levels were decreased in reproductive disorders Hanwoo, such as ovarian atrophy, endometritis, and weak estrus. The testosteron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nwoo with reproductive disorders compared to that in pregnant Hanwoo ( vs 0.13 ng/ml, p<0.05). The progesterone and estrogen concentrations in follicular fluid obtained from ovary with follicular cyst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in normal follicle fluid.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BUN and BCS in Hanwoo, and the concentration of sex steroid hormone in serum and follicular fluid are changed in reproductive disorders Hanwoo.
        4,000원
        86.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and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hCG) on the nuclear maturation of canine oocytes. Oocytes were recovered from mongrel female ovaries in various reproductive states; follicular, luteal or anestrous stage. Oocytes were cultured in serum-free tissue culture medium (TCM)-199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FSH (Exp. 1: 0, 0.5, 1.0 or 10 IU) or hCG (Exp. 2: 0, 0.5, 1.0 or 10 IU) or both (Exp. 3: 1 IU FSH + 1 IU hCG) for 72 hr to determine the effective concentration of these hormones, and to examine their combined effect. After maturation culture, oocytes were denuded in PBS containing 0.1% (w/v) hyaluronidase by gentle pipetting. The denuded oocytes were stained with 1.9 μM. Hoechst 33342 in glycerol and the nuclear state of oocytes was evaluated under UV light. More (p<0.05) oocytes matured to MII stage when follicular stage oocytes were supplemented with 1 IU FSH (6.2%) compared with the control, 0.1 or 10.0 IU FSH (0 to 1.2%). Significantly higher (p<0.05) maturation rate to MII stage was observed in follicular stage oocytes supplemented with 1.0 IU hCG (7.2%) compared with the control or other hCG supplemented groups (0 to 1.5%). However, the combination of FSH and hCG did not improve the nuclear maturation rate of canine oocyte (2.4 %) compared with FSH (6.2%) and hCG alone (7.2%). In conclusion, FSH or hCG alon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aturation of canine oocytes to MII stage.
        4,000원
        89.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글개 6두에서 11회(임신견 7두, 비 임신견 4두)의 발정 주기 및 임신 기간 동안 질 상피 세포 검사 및 혈장 progesterone과 estradiol- 농도를 측정하여 질 상피 세포상과 번식 호르몬의 관계를 조사하고 배란 및 교배 적기 판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신 예와 비 임신 예에 있어서 발정 전기, 발정기 및 발정 휴지기의 기간은 각각 및 그리고 및 일이었다. 임선 예에 비해 비 임신견의 발정 휴지기가 길
        4,200원
        90.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호르몬과 Na-pyruvate의 첨가가 개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개의 발정주기와 관계없이 암캐의 난소에서 회수한 난자를 NCSU-37 배양액에서 72시간 체외 배양하였다. 호르몬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배양액 중에 다양한 호르몬을 24{sim}72시간 첨가하여 성숙율을 검사하였으며, Na-pyruvate 첨가 농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E2 단독 첨가구에서는 제2감수분열 중기(MII) 단계까지 성숙이 관찰되었으나(5.7%), 타 처리구에서는 MII기까지의 성숙이 이루어지지 않았다(P<0.05), E2를 6~24시간만 처리하였을 때는 MII기로 성숙되는 난자가 없었으나 72시간 처리하였을 때는 6.0%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Na-pyruvate의 농도를 0.25 mM 첨가한 구보다 2.5 mM 첨가한 구에서 제1감수분열 중기(MI) 단계까지의 성숙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MII 단계까지의 성숙율은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개 난자의 체외성숙시 E2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72시간 배양시에 성숙율을 증진시킬 수 있으나, Na-pyruvate의 농도는 개 체외배양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4,000원
        91.
        2005.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hypothesis that a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ELF-MF) partially suppresses the synthesis of human growth hormone (HGH) in a group of 28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nearby and 60 primary schoolchildren aged 12 years living far away from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s from December 2003 to April 2004 in Seoul, Korea. The mean personal exposure levels of the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nearby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were 0.37 μT, whereas the levels for the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away from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was 0.05 μT. From simple analyses, the mean growth hormone levels in the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nearby were lower than away from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growth hormone (p = 0.0316), where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growth hormone related to the distance from residence to power line less and more than 100 m by cut-off point (p = 0.4017). In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urinary levels of nocturnal growth hormone are altered in primary schoolchildren exposed to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at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4,800원
        97.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루미늄 용액과 갈근 열수 추출액의 급여가 흰쥐의 Aldosterone, rennin의 호르몬과 GOT, GPT. LDH의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이섭취량은 각 실험군간에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체중증가량은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에 비하여 갈근과 알루미늄의 병합 급여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조직은 다론 조직에 비하여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은 1.78~1.83g이었으나 알루미늄과 갈근 병합 급여군은 2.10~2.19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rennin 활성도에서 각각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은 399.98~464.58ngAl/ml/hr에 비하여 알루미늄과 갈근 병합 급여군이 289.74~88ngAl/ml/hr으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ldosterone 활성도는 각각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병합 급여군은 1351.60~1394.83pg/ml 알루미늄과 갈근 열수 추출물 병합 급여군이 954.54(~9632.57pg/ml으로 알루미늄 병합 급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GOT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은 258.60~395.80IU/L인데 비하여 알루미늄과 갈근 열수 추출물 병합 급여군이 314.20~320.20I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GPT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은 100.40~108.20IU/L인데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군과 알루미늄 병합 급여군은 70.80~81.00I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DH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은 3157.20~3726.20IU/L인데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와 알루미늄 동시 병합 급여군은 2846.60~2993.20I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군에 의한 알루미늄 중독 완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4,000원
        99.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nsgenic mice containing GH Receptor (GHR) gene fused to metallothionein promoter were analyzed to evaluate effect of GHR expression on growth in vivo. Three founder mice lines contained copies of GHR transgene and transmitted these genes into F₁ and F₂ progenies. The mRNA expression of transgene was identified using RT-PCR with GHR genes in tissu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nsgenes on growth performance, body weights of pups were measured at 4, 10 and 14 weeks after birth. The body weight of transgenic mice was higher compared with that of non-transgenic control mice regardless of sex (P<0.05). Body weights between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mice were increased with aging. Overall, GHR transgenic mice tended to grow about 10 to 15 % faster than non-transgenic mice without any pathological defects.
        4,000원
        100.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백초가 TCDD 투여로 유발된 rat의 간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TT, TTA, STT군의 3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TCDD를 투여하고 4주 동안 물질을 투여하였다. 4주 후 희생시켜서 생체 내 간 조직 활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관찰한 결과 1. AST 활성도는 STT군이 TTA군과 비교해서 70.05%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ALT활성도는 STT군이 TTA군에 비해 24.00% 감소하였으며, 64.80%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2. SOD는 TTA군이 NTT군보다 137.78% 감소하였으며, STT군은 TTA군에 비해 81.94%로 상승되었다. Catalase는 TTA군은 NTT군 보다 199.13% 감소하였으며, STT군의 catalase 활성도는 TTA 군과 비교하여 52.48% 증가하였고 55.45%의 회복율을 보였다. 3. TTA군의 GSH함량은 NTT군 보다 291.29% 감소하고 STT군은 TTA군과 비교하여 74.20% 증가하였으며, 98.72%로 회복되었다. TTA군의 GSSG함량은 NTT꾼 보다 46.80% 증가하였고 STT군의 간 조직중의 GSSG 함량은 TTA군과 비교하여 61.08% 감소하였으며, 81.01%로 억제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