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5

        12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400원
        123.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증례연구는 복합손상을 가진 척수손상환자의 재활치료과정을 소개하여 유사한 사례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증례연구의 대상자인 26세의 남자환자는 흉수 4번 완전손상과 사고 당시 전기화상에 의한 좌측하박 절단과 우측손의 정중신경이 마비되었다. 치료초기에는 일상생활동작 검사에서 MBI (Modified Barthel Index) 점수가 22점으로 독립적으로 가능한 것은 거의 없었고, 기능적으로도 모든 도움이 필요한 상태였으나 재활치료결과 독립적
        4,000원
        124.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al plan of industry in the industrial present condition of Korean Assistive Technology (Rehabilitation Engineering). The discussion includes the important role that go ahead the research of present condition about the enterprise of Assistive Technology (Rehabilitaton Engineering), reinforce the standard of equipment, the enterprise requesting the enlargement of facilities must lease a low late by the bank financing, give a necessary funds to a excellent minor enterprise, support a variety custom reduce method to buy a machine parts and machinery. The education master plan for rehabilitation engineer must be necessary the national medical engineer by establishing over one department at one big city and one province Further more research studies are required to realize on the developmental plan of Assistive Technology (Rehabilitation Engineering).
        4,500원
        125.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 haviors of elders aged 60 or over and factors related to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us to contribute to their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The subjects were 200 elders who had resided at An-Dong city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collect data,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3 to 23, 1996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by 6 trained student interviewers. Chi-square 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use of SPSS/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average age were 73.6 years old. 21.5% of the subjects were 60-69 years old, while 27.5% were 70-74 years old, 25.0% were 75-79 years old, 26.0% were 80 years old or over. 2) For the degree of the subject's perceptive health condition, the aver age 3.39 point and standard deviation 1.09. The perceptiv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s was in the mid point range of health condition. 3) 46.6% of men and 25.8% of women practiced exercise regularly for their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4) For the degree of the subject's perceptive health condition, the difference by sex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 51.8% of men and 60.2% of women has idea for interventions to health promotion program by rehabilitation services.
        4,900원
        126.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 will soon experience a high demand for medic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f it tries to deliver advanced health welfare service. In order to medical rehabilitation manpower policie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estimate and plan a long-term supply for physiatrists, physic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The study analysed both national and foreign statistical data of manpower supply for medic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A structured category of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survey the opinions of regarding the supply for rehabilitation specialists in Korea. Based on the above data, the demand of and supply for each specialists were estimated for long term up to the year 2030.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of the future demand and supply, the author intended to develop a new supply plan for the three specialist categor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upply plan are as follows : First, the replied proper mean ratios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physiatrists : physic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ists) appeared 1 : 5.93 : 3.59,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professionals (p>0.05). Secons, the estimated demand for rehabilitation services by interprofessionals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interprofessionals (p<0.05).
        4,200원
        127.
        199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129.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스포츠 손상 선수의 정서, 자아존중감, 행복 및 재활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최소 8주 이상의 재활 기간이 남아있는 D 대학교 야구팀 손상 선수 14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한 요구분석 자료,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 자문 자료를 통합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긍정 심리 프로그램(오리엔테이션, 음미하기, 감사하기, 강점 찾기, 주의집중력, 루틴, 희망 고취하기, 종결)은 주 1-2회, 50∼60분씩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측정도구로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검사지(PANAS), 자아존중감 검사지(RSE), 행복 검사지(Happiness measures), 재활 능력 검사지(RCQ)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 후 프로그램 평가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을 측정하였다. 결과: 양적 검증 결과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스포츠 손상 선수의 긍정 정서, 자아존중감, 행복 및 재활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정서 감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검증 결과는 긍정 심리 프로그램 구성의 적합성과 유효성을 지지해주었다. 결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긍정 심리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130.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여자축구선수들이 재활과정에서 느끼는 심리적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 는 전략을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참가자는 2018년 대학 여자축구연맹에 등록되어 있고, 부상으로 인한 재활경 험이 있는 7명의 선수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과 집단면담을 시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구성주의 근거이론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접근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선수들은 재활 과정 초기에서 부정적인 생각 을 하게 되는 동시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려는 노력이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심리적인 양상을 겪으며, 선수 생활에 대한 양가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 과정 중기의 심리적 변화에서는 재활상황 자체에 대한 초조함과 불안함, 심리적 압박감을 느끼면서도 점차 회복하는 신체에 자신감을 얻고 복귀를 위한 노력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 과정 후기에서는 복귀에 대한 설렘을 가지면서도 재발 불안감 등으로 부담과 압박을 느끼는 복귀 에 대한 양가감정이 드러났다. 선수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성한 극복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감 향상전 략, 긍정적 사고의 전환 등의 심리적 극복, 둘째, 복귀를 위한 훈련을 포함한 신체적 극복, 셋째, 여자선수들을 위 한 전문적 프로그램 필요의 환경적 지원, 넷째, 주요타자지원과 같은 사회적 지원이다. 결론: 대학 여자축구선수 들은 재활과정에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심리적 변화를 겪으며, 선수로서의 삶을 진지하게 고민해보는 양가감정의 갈등이 함께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드러난 양가감정의 폭을 줄이거나 해결하는 심리적 과정은 선 수로서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에 기반하는 내용을 포함한 전문적인 스포츠 심리상담과 체계적인 지원이 재활과정의 선수들에게 필요할 것이다.
        13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REX, an upper limb exoskeleton robot,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to assist in the upper limb movements of subjects with weak muscular strength and control ability of the upper limbs, such as those with hemiplegia. For the free movement of the shoulder of the existing NREX, three passive joints were added, which improved its wearability. For the flexion/extension movement and internal/external rotation movement of the shoulder of the robot, the ball lock pin is used to fix or rotate the passive joint. The force and torque between a human and a robot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 a reaching movement for four targets using a six-axis force/torque sensor for 20 able-bodied subjects. The addition of two passive joints to allow the user to rotate the shoulder can confirm that the average force of the upper limb must be 31.6% less and the torque must be 48.9% less to perform the movement related to the axis of rotation.
        132.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질소산화물 등의 배출규제 강화로 인한 사용처의 확대로 SCR(선택적 촉매 환원) 촉매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폐촉매 발생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폐촉매는 지정폐기물로 분류되어 처리시에 비용이 발생하여, 물리적으로 재생하여 재사용 하거나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재생의 횟수가 제한적이고, 유가금속 회수는 비용이 고가이며 촉매의 85~90%를 차지하는 TiO2가 폐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CR 촉매를 경제적이며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피독된 SCR 촉매 내 피독물질만 화학적으로 수세 및 정제하고 유가금속/TiO2의 함량을 높이는 최적의 세정 용매를 도출하는 촉매 재활성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비교대상 촉매인 Poisoned 촉매를 5가지 세정용매로 화학적 처리결과, acetic acid 용매가 V2O5 1.19 wt%의 높은 함량과 57.6%의 높은 피독물질 제거효율을 나타내며 다른 산 처리 용매에 비해 촉매 재생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정 용매의 농도와 세정 시간에 따른 V2O5 함량과 피독물질 제거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 변수를 두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0.1 N acetic acid로 처리한 촉매가 가장 높은 NOX전환율을 나타냈으며, 유가금속/TiO2 함량 또한 높게 나타나 본 연구 목표에 가장 적합한 세정용매로 판단되었다.
        133.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자산업의 발달로 printed circuit board (PCB)와 같은 구리를 함유한 부품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제조 및 가공하는 과정에서 염산 및 질산과 같은 강한 산이 사용되며, 이 때 발생되는 폐산은 많은 양의 구리를 함유한 채 폐기처분된다. PCB 제조 기기의 구리 석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세척용 질산은 사용 후, 구리를 3~8%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현재 발생되는 폐질산은 가성소다(NaOH)나 소석회(Ca(OH)2)를 이용하여 중화한 후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산 내 존재하는 구리를 탄산구리(CuCO3) 형태로 침전시키기 위하여 소다회(Na2CO3) 및 소석회(Ca(OH)2)를 이용하여 구리를 중화・침전시켜 회수하고, 이를 재자원화하기 위한 금속소재(금속 구리, 산화구리 등)로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폐질산으로부터 탄산구리(CuCO3)를 회수하기 위한 반응인자로 사용 약품의 혼합비, 사용량, 침전 pH, 반응 온도를 달리하여 구리의 회수율을 최적화하였다. 또한, 회수된 탄산구리를 고온에서 산화시켜, X-ray diffraction(XRD)을 통한 결정성을 확인하고, 탄산구리를 폐염산에 용해시켜, 철 치환반응을 통한 금속구리를 제조하였다. 구리를 5% 함유한 폐질산으로부터 99.8% 이상 구리를 회수한 최적 조건은 소다회:소석회 혼합비 1:2에서, 혼합약품 사용량 300 g/kg, 침전 pH 6.5, 반응온도 70℃로 도출되었다. 또한, XRD 분석을 통한 고온산화조건은 1,100℃에서 산화구리(CuO) 전환률 99.9%를 나타냈으며, 폐염산에 용해시켜, 철 치환반응을 통해 제조된 금속구리의 구리 순도는 99.8%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중화처리 후, 매립되는 구리 자원의 재활용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사업화하기 위하여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134.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5년부터 음식물류 폐기물 분리배출제도 도입을 비롯하여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 방안에 대해 여러 가지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자원화 노력으로 되어왔지만, 조리 전 생 쓰레기 형태의 음식물류 폐기물에 대해 구체적인 재활용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과채류의 유통경로에 따라 생산현장 및 가공현장에서 발생하는 세척, 다듬기 후 발생하는 부산물은 사료의 원료로 활용가능하나, 그 동안 적절한 유통체계 없이 사료로 활용되거나 퇴비화 또는 소각처리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채류 부산물의 정의를 세우고,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수축산물 표준코드 및 기타 관련 논문을 통해 과채류 부산물의 분류 기준을 마련하였다. 전국 공영도매시장의 과채류 부산물 처리 현황을 조사하고, 시장 유형에 따라 대표 지역을 선정하여 과채류 부산물의 유통구조와 과채류 부산물 발생량을 추정하였다. 전국 4개 시장과 N 대형마트의 물류센터를 대상으로 과채류 부산물을 구분하고, 삼성분, 발열량, 원소분석 등을 측정하였고, 시장 내 중도매인 180여명을 대상으로 과채류 종류별 부산물 발생량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135.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는 자원순환기본법이 2015년 5월 29일에 공포되어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이 법에 따라 국가의 중장기 단계별 자원순환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도와 산업폐기물 배출자를 대상으로 자원순환 성과관리제가 도입된다. 그 대상 주체는 최종처분율, 순환이용률의 목표의 이행계획을 제출하고 목표를 이행한 후에 그 이행실적을 보고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폐기물 종류별, 업체별 순환이용률을 산정하기 위한 통계 기반이 미흡하다. 이 성과관리제의 성공적 실시를 위해서는 일선 업체별 폐기물 종류별 폐기물의 순환이용 실태 파악과 자원순환률 산정방법의 정립이 필요하다. 현재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통계는 1차 재활용시설로 반입된 폐기물이 전량 재활용(순환이용)된 것으로 간주하여 재활용률을 산정하고 있다. 폐기물에 따라서는 1차 재활용시설에서 재생원료 및 재활용제품이 생산되는 경우도 있으나 여러 단계의 가공 및 정제 공정을 거쳐 재생원료나 재활용제품이 생산되는 경우도 있고, 이들 재활용 공정에서 이물질 제거와 공정손실이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재활용률(순환이용률)을 산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 폐기물의 특성(물리・화학적, 함수율 등)과 재활용공정을 고려하여 그 유형을 구분하고, 회수된 재활용 폐기물의 전 공정에 대한 물질흐름을 조사하여 실제로 천연자원을 대체하여 순환 이용된 유효재활용률을 산정하였다. 현재 재활용률의 산정방법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통일된 방법이 없기 때문에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 시점, 1차 해체・선별하여 재활용 원료로 판매하는 시점, 최종 재생원료 또는 재활용품 생산시설의 투입 시점과 최종 재생원료와 재활용품의 제조완료 시점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재활용률을 산정하여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물질재활용에 대하여 폐기물 특성과 재활용 공정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물질재활용률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재활용 공정의 물질흐름 분석을 통하여 폐기물의 유효재활용률의 향상방안과 재활용 정책의 기초자료를 수집・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자원순환 성과관리제도의 정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136.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 force control based on the observer without taking any force or torque measurement from the robot which allows realizing more stable and robust human robot interaction for the developed multi-functional upper limb rehabilitation robot. The robot has four functional training modes which can be classified by the human robot interaction types: passive, active, assistive, and resistive mode. The proposed observer consists of internal disturbance observer and external force observer for distinctive performance evaluation. Since four training modes can be quantitatively identified as impedance variation, position-based impedance control with feedback and feedforward controller was applied to the assistive training mo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ensorless observer estimated cleaner and more accurate force compared to the force sensor and the impedance controller embedded with the proposed observer completed the assistive training mode safely and properly.
        139.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hand module of NREX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Robotic Exoskeleton) designed to assist individuals with sustained neurological impairments such as stroke and spinal cord injuries. To construct a simple and lightweight hand module, the robotic hand adopts a mechanism driven by a motor and moved by two four-bar linkages. The motor facilitates the flexion-extension movements of the thumb and the other four fingers simultaneously. Thus, an individual using the robotic hand module can effectively grip and release objects related to daily life activities. The robotic hand module has been designed to cover the range of motion with respect to its link distance. This hand module can be used in therapeutic rehabilitation as well as for daily life assistance. In addition, this hand module can either be mounted on an NREX or used as a standalone module.
        140.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multimodal 사회기술 훈련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통제군과 실험군으로 나눠, 교사평가와 아동평가로 구분하여 사전·사후로 사회기술 평정체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도구를 사용하여 장애아동의 사회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전·후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군에서는 교사용 사회기술평정체계(SSRS)의 자기통제, 자기주장, 협동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아동용 SSRS에서도 자기통제, 자기주장, 공감, 협동 모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즉 원예치료 실시 전·후 비교 시에 교사용은 3개 항목 중 3개 항목, 아동용은 4개 항목 중 4개 항목 모두 유의한 차가 발생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원예치료 효과가 확실함을 알 수 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실험군의 두그룹을 비교한 결과, 통제군에 비해 실험군이 교사용 SSRS의 자기통제를 제외한 자기주장, 협동에서만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고, 아동용 SSRS에서는 자기주장과 공감에서는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자기통제와 협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통제군과 실험군 비교 시에 교사용은 3개 항목 중 2개 항목, 아동용은 4개 항목 중 2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가 발생함으로써 대체적으로 양호한 원예치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multimodal 사회기술 훈련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켜 낮은 자신감과 사회성으로 기인된 부적응행동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원예치료가 장애아동 뿐만 아니라 사회성 향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