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2

        121.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seismic strengthening effect of R/C buildings strengthened with the Carbon Fiber Composite Cable (CFCC) In this study, a three-story R/C building that constructed in the 1980s was selected, and its seismic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strengthening was evaluated based on the nonlinear dynamic analyses of members level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eismic strengthening effect of the proposed CFCC method was verified in terms of both strength and ductility demands, compared to the building before strengthening.
        122.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highly filled wood-plastic composite member and its production has become currently an important address of research concerned with environmental issues and engineering application of structures. Since the property of the composite material is manly depend on the wood content rate, a combination of compound, production order and so on, an investigation of production order and strength of the unit member in order to used in structures and building is important. In this paper, production and unitification of highly filled extrusion wood-plastic composite member are deal with. And also the flexural rigidity of the unit member is explained.
        123.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폴리비닐알코올 섬유와 폴리에틸렌 섬유 등의 합성 섬유는 고연성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를 제조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섬유 역시 복합재료를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있지만, 고연성을 구현하는 목적보다는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내화 성능 향상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보강된 시멘트 복합재료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5가지 배합을 결정하였다. 1종 보통포틀랜드시멘트 (OPC)와 OPC를 다량 치환한 플라이애시를 결합재로 사용하였고 물-결합재 비는 0.23~0.25이다. 또한 부피비로 2%의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사용되었으며, 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폴리스틸렌 비드가 사용되었다. 슬럼프, 밀도, 압축강도, 1축 인장 실험을 포함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파괴역학, 마이크로역학, 통계이론을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wood-plastic composite member has made major advances in material performance, environment friendly and its production has become currently an important address of research concerned with engineering application of structures. Since the material and production equipment of the wood-plastic composite member are manly depend on the wood contents rate, a combination of compound, production order and so on, an investigation of production order, equipment and basic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unit member in order to used in structures and building is important. In this paper, these characteristics of highly filled extrusion wood-plastic composite member are deal with.
        12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 of tensile strength of PP fiber on the fiber bridging behavior and density, compression, and tension test results of high strength PP fiber based fiber reinforced composite that has high strength as well as high ductility.
        126.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current study, reinforced concrete (RC) composite beams made with precast HPFC has been manufactured in order to improve bending and shear performances of the RC beam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cast column system was also developed in order to apply in the field construction of official building structures.
        127.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구조물의 내진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내진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FRP 복합재료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복합재료를 사용한 내진보강재는 강성과 연성을 가진 재료이어야 하므로 복합재료 보강재 설계 시 강성재와 섬유의 선택이 중요한 변수이다.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최적조합을 인장 테스트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섬유보강 복합재료 보강재를 실제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제 기둥부재에 보강하는 것을 가정하여 유한요소 해석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효과를 변위-하중 관계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섬유보강 복합재료 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구조물의 내진성능이 증가한다는 해석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128.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교량의 하중저항능력인 내하력은 교량의 거동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심각한 손상, 결함, 재료적인 열화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론적인 방법으로 평가한 내하력보다 여유가 있다. 그러나 현재 내하력을 구하기위한 재하실험 및 구조해석 과정에서 이미 오차가 포함되어 있어 응답보정계수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센싱 문제와 구조해석 모델의 적정성에 오차를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부에서 기존의 전기저항식 변형률, 변위 센서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성능이 우수한 스마트 센서인 광섬유 스마트 센서로의 변화를 추진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구조해석 모델 해석을 통하여 최적의 적정 모델을 선정함으로서 응답보정계수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130.
        200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재료의 적용 실험을 통하여, 탄소섬유 분말 혼입 모르타르 복합 구조체의 파괴예측 자가진단 적용 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가진단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코크스와 탄소섬유분말(미분쇄 탄소섬유)이 혼입된 전도성 모르타르의 개발 및 자가진단 재료로서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각 하중재하단계에서의 균열발생 전후의 전기저항값과 AE특성치의 변화특성 시험을 통해, 이들 각 인자의 상호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코크스와 탄소섬유분말(미분쇄 탄소섬유)을 사용하여 새롭게 제안된 복합재료는 모르타르 시험체의 파괴 자가진단에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