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

        121.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의 용수수요 증가에 따른 용수공급능력 평가를 실시하여 추가 공급 가능량과 이를 위한 저수지 운영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역 최적해를 탐색하는 SCE-UA법과 다중 목적함수를 적용한 최적화 모형과 저수지의 유입량, 수요량, 발전량을 추정하는 저수지 운영 모형을 결합한 저수지 최적운영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은 섬진강댐의 최적운영에 모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모형의 적용기간은 유입량을 고려하여 풍수기, 평수기,
        122.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ims is water supply criteria relations for evaluating the possible performance of water resources systems. These measures describe how likely a systems is to fail(reliability), how quickly it recovers from failure(resiliency), and how severe the consequences of failure may be(vulnerability). The performance of a criteria evaluating with a variety of operating policies illustrates their use. As a result study frequency reliability and quantitative reliability is linear relations and quantitative reliability is high reliability for equality water supply policy. As reliability and vulnerability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each other. Therefore these criteria relation analysis can be for Imha dam to variety water supply policy.
        123.
        200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와 기상조건의 변화로 기후의 변동폭이 증가하면서 극심한 가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 개발된 용수원의 수질 오염, 물 분배에 관한 상류지역의 반대 및 지방자치단체간의 수리권 문제 등도 상류지역으로부터의 맑은 수자원 확보를 필요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용수공급 관리 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각되고 있으며, 수도권의 용수수요 변화에 대한 북한강 유역 댐의 용수공급 능력에 대한 적절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124.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nalyzed the reliability indices against the water supply ability of Andong dam. The water supply analysis of Andong dam used the HEC-5 model. So Andong dam simulated planed water-supply capacity of Andong dam as increase and decrease +5%~-5% of water supply quantity. Water-supply capacity of Andong dam estimated, deficit occurrence, deficit quantity, deficit period. As the results estimated reliability(occurrence based, time based, quantity based) and resiliency vulnerability and with water supply capacity evaluation indices of Andong dam. Also reliability(occurrence based, time based, quantity based), resiliency, vulnerability and resiliency indices are estimated to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water supply on Andong dam, and their relationships are evaluated.
        125.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general, the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is important factor to establish various establishment of water resource supply plan include water resource security and determination of dam's mass. But former researchs about estim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were lack in continunity of evaluation basis, and didn't excute analysis on reliability criteria also. In this study, Nakdong river was selected for study basin, and then water supply capacity was analyzed by HEC-5 model using identical reliability criteria.
        126.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the effective estim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of small scale reservoir and the proposal of the data which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n of down stream area of the reservoir in the future by comparison and examination about reservoir operation technique for the security of agricultural water in small scale reservoir. The result of flow calculation by Tank model is used for the input data as the inflow data which is needed for the analysis of water supply capacity. Stochastic method, simulation method, and optimization method are used to examine the water supply capacity, and water security amount is compared with each method. From the analyses of water supply capacities by each method, slightly different results are shown in spite of the effort to compare them equally using input data such as inflow data under equal conditions, and the comparison of water supply capacities by each method are as follows; linear planning method, simulation method, and transition probability matrix method in the order of amount from the largest. It is thought that the simulation method in which comparatively reasonable application of the inflow data is possible and is simulated in successive time series dam operation of the three methods used in this study thus, simulation model is proper to estimate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agricultural small scale reservoir. And it is judged that the heightening of efficiency of water resources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ownstream area of dam may be possible using the upward readjusted water supply amount of 55.18×106ton and 63.7×106ton at 95% and 90% supply reliability respectively which are above the planning water supply amount of 50.0×106ton when the simulation method is introduced as the standard.
        127.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수기 동안의 저수지 운영은 효율적인 홍수조절과 갈수기를 대비한 용수량 확보를 모두 고려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세트 컨트롤 알고리즘(SCA)을 홍수기 저수지 운영방안으로 적용하였다. SCA의 개념은 유입량이 일정한 범위 안에서 주어질 경우에 저수지의 상태가 허용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저수량과 방류량의 조절 세트(Control Set)를 저수지 운영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입량 세트는과거자료를 이용하
        129.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계규모에서 과거의 수원공 운영자료를 이용하여 농업용 저수지, 취입보 및 관정 등으로부터 논 관개지구에 공급된 농업용수 공급량의 조사방법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농업용 저수지에 의해 공급된 관개량은 일별 혹은 순별 저수율 자료와 DIROM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일별 양수량은 연간 총양수량으로부터 일별 양수패턴을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관정에 의해 취수된 일별 공급량은 논벼의 조용수량과 관정의 설계유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였으며,
        130.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공급측면 산업연관분석모형을 사용하여 물공급지장이 끼치는 산업의 전방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분석된 공급지장비용은 수도사업의 신뢰도 결정에 사용될수 있으며 물의 공급부족이 발생할 경우 물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정책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수도부문이 차지하는 국민경제적 위치를 확인하고 공급지장으로 인한 산업간 직·간접 피해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뭄시 중요한 공급우선 순위 결정을 위한 공급지장지수를 제
        131.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자원 개발이 인문 사회적 여건으로 날로 어려워짐에 따라 공급위주의 물 관리 정책이 한계에 달하고 이어 수요관리개념에 따른 적용 가능한 수자원관리 기법의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다. 무효방류량을 최소화하여 한정된 물 자원 배분을 합리적으로 이룰 수 있는 실제 적용 가능한 수요관리기법은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유역물관리 시스템의 방법론적 완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물수지분석 기법을 댐 연계운영 모형과 조합하여 MIP 기법에 의해 이수목적
        132.
        199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광역상수도 요금제도 개선 방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지금까지 기존 연구에서는 거의 논의가 없었던 용도별(생활용수, 공업용수) 차등요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분석하였다. 먼저 현행 용도별 동일 요금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용도별 차등화 요금 설정을 위한 몇 가지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다소 제약적인 가정에서지만 실증자료를 이용하여 람지(Ramsey) 가격을 계산해 보았다. 둘째, 첨두부하요금(계절별 차등 요금)과
        133.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상수도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필요한 1일 급수량 수요를 예측하는 방식에 대하여 인공지능(Artificial Inteligence)이라 불리는 퍼지 뉴론(fuzzy neuron)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퍼지뉴론이란 퍼지정보(fuzzy information)를 입력으로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퍼지 신경망을 일컫는 말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속함수와 퍼지규칙을 신경망으로 학습하는 기능인 적응식 학습방법을 통하여 1일 급수량을 예측하였으며 연구
        134.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계열자료의 분해능력이 뛰어난 wavelet 변환을 사용하여 물소비특성을 분석하였다. Wavelet 변환의 기저함수로는 물수요량의 경우 Coiflets5 함수, 기온측정치의 경우 Coiflets3 함수를 사용하였으며 해석결과 212 scale에서 목표된 장기간에 걸친 변화추이는 hyperbolic tangent 함수의 형태로 전기간에 걸처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절기혹은 경기주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추가수요가 6월과 12월말을
        135.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관리와 저수지의 최적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의 수준을 결정하고 위험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하여 위험도 평가시 평가기준이 될 수 있는 신뢰도, 복원도, 취약도 등의 지표를 수학적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저수지 시스템의 기능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추계학적 모의 발생기법을 통하여 모의 발생된 월 유입량 자료를 이용하여 대청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저수지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저수지 시스템의 기능 수행 능력을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