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8

        141.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온 피복재 종류가 자옥 포도 유목의 월동시 동해방지, 노동력 절감 및 병해 발생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1월 하순에 짚을 덮은 다음 보온덮개B, 킬딩, 칼라부직A 및 백색니들펀칭부직포 등을 피복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온력은 백색니들펀칭부직포가 가장 불량하였고, 다른 보온재간에는 차이가 미미하였다. 2. 발아는 보온덮개B에서 빨리 시작되었으며, 발아 9일 후에도 발아율이 79.7%로 타 보온재 보다 2.3∼12.5% 높았다. 3. 생육은 보온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병해 발생은 킬딩과 보온덮개B에서 뿌리혹병이 지수 3.0∼3.2로 다소 많이 발생되었을 뿐 기타 병해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거나 미미 하였다. 4. 작업 단계별 소요노력은 보온덮개B에 비하여 킬딩은 6% 많았으나, 칼라부직A는 6%, 백색니들펀칭 부직포는 15%적었다.
        142.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숙기 판단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봉지 재료를 선발하고자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년간에 걸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옥천포도시험장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봉지내의 광 투과율은 종이 봉지에 비하여 부직포 및 무적비닐 이용 봉지에서 11∼65%가 높았으나, 무적비닐 천공 상면 50% 흰색 페인팅 봉지는 25% 낮았다. 과립중은 종이봉지에 비하여 부직포와 무적비닐이용 봉지에서 무거웠으며, 무적비닐 천공 상면 50% 흰색 페인팅 봉지는 열과, 탈립 및 부패과가 심하여 조사가 불가능하였다. 숙기는 종이봉지에 비하여 부직포와 무적비닐 이용 봉지에서 1∼4일 빨랐다. 당도는 부직포와 무적비닐 이용 봉지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산도는 상반된 경향이었다. 착색정도는 종이 봉지에 비하여 부직포와 무적비닐 이용 봉지에서 빨랐으며, 이들 봉지간에는 착색 정도는 맥반석 혼합 부직포와 무적비닐+부직포 봉지에서 빨랐으나, 적숙기로 가까워질수록 부직 포봉지에서 빨랐다. 비정상 과립율은 종이와 부직포 봉지는 5.4∼7.0%로 낮았으나, 무적비닐 이용 봉지는 16.6∼100%로 높았다. 외관상품질은 부직포와 맥반석 혼합 부직포에서 지수 9.0으로 가장 좋았으나, 무적비닐 천공 상면 50% 흰색 페인팅 봉지는 지수 1.0으로 가장 불량하였다. 숙기 판단 소요시간은 종이(17.4시간/10a)에 비하여 부직포와 무적비닐 이용 봉지에서 74∼93% 절감되었다.
        143.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was performed for the extraction of phenolics from grape seeds which up to now have been discarded. The optimum condition for extraction process was predicted throug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using central composit experimental design. The extraction amount of grape seed phenolics was increased by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pressure, and concentration of co-solvent (ethanol).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84.83C, 51.50MPa and 1.27% ethanol. The yield of phenolics using SFE was higher with 3 folds than ethanol and 4 folds than hexane but less than 80% methanol. In the respects of food poisoning, the approved solvents were restricted to ethanol and hexane. So, SFE for extraction of phenolics could be powerful alternative method for solvent extraction.
        144.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orage life of grape cultivars including Kyoho(Inzuka), which were imported from Japan and are cultivated after adoption as farming application, were examined. The stu요 was accomplished with grapes packed by PE film under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90%RH loss of weight, Weight loss and occurrence of abnormal fruit increased in proportion to storage days. Abnormal fruits of Kyoho(izuka), North Black , and Seto giants increased rapidly after 60 days of storage, resulting in slight deterioration of commercial value. Similarly, this phenomenon of Campbell early , Takasumi , and Aki Queen occurred after 70 days of storage. External appearance decreased rapidly after 60 days of storage, resulting in 7.0 index of Takatsuma and Aki Queen , 3.0-3.6 of North Black and Seto Giants, and 5.0 of Campbell Early, kyoho (izuka0, and takasumi after 80 days of storage. Soluble solide content and titratable acidity showed a trend to be decreased with lapse of storage. Sugar/acid ratio shwoed much fluctuation between different grapes. Possible storage days, in view of more 70% merchandise berry ratio, were 90 days of Takatsuma and Aki Queen , 70 days of Campbell Early, 60 days of Takasumi , kyoho(Iizuka), and Seto giants, below 60 days of North Black.
        145.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PS 포장상자가 포도의 신선도 유지효과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자 'Sheridan' 포도를 포장하여 에 저장하면서 골판지상자와 0.02와 0.04mm 두께의 LDPE필름, EPS 상자로 포장한 것들과 신선도 유지효과를 비교하였다. 저장 10일후 중량감소는 대조구는 5.7%, EPS 상자는 0.9%의 중량감소가 나타났다. 비타민C는 EPS 포장구가 대조구 보다 15.5%, 산도는 24.4%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당도는 EPS와 LDPE
        146.
        199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능성 MA필름을 생산하여 이를 골판지 상자의 내부에 첨합시킨 FC상자의 활용가능성을 조사하고자 골판지 상자와 기능성 MA필름대를 골판지 상자 내부에 첨합시킨 FC포장구와 LDPE 및 기능성필름과 대조구로 골판지 상자만으로 포도를 포장하여 25 C에 저장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FC 상자와 LDPE와 CE포장구는 대조구 보다는 중량감소율이 현저히 낮았으며 비타민C의 함량도 33%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산도와 환원당 함량은 포장구들간에는 큰
        147.
        199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통을 위한 포도 보존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보존기간 연장에 효과적인 적정 포장재 제작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포도 캠벨얼리를 공시하여 스치로폴 상자, 마닐라상자 등 6처리를 두어 시험한 결과, 중량감소는 유통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많았으며, 처리 간에는 15일 보존시 스치로폴상자에 비해 스치로폴상자+(스치로폴접시 + BioPE 필름밀봉), 스티로폴상자 + (스치로폴접시 + 랩 밀봉)처리가 적었으며, 비정상과는 밀봉구에서 많았으나,
        148.
        199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carried out to find the storage life according to the kinds of packaging material. Sheridan(Grape) which was fumigated SO2 were wrapped with polyethylenes(Bio-PE and PE) and stored at under 90% RH modified condition. The resorts were summarized as follow. Natural weight loss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during the 135days storage that was only 1.0-1.7% in sealing section while 10% in non-sealing section. Abonrmal fruits were increased as the storage time was increased and it was 6.6-6.7% in sealing section while 100% in non-sealing during the 135days storage. Quality of appearance and taste are better in sealing section than non-sealing section and it was good in Bio-PE sealing section between packaging materials. Moistrue content was de creased as the storage range was increased and the decreasing rate of that during the storage was 4.9-5.2% in sealing section between treatments. During the storage range increased, the soluble solid degree was increased in non-sealing section but decreased in sealing section.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