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7

        141.
        199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methods of injection of PMSG-hCG to the number of ovulated eggs, percentage of matured oocytes and in vitro fertilization using out-bred ICR mic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optimurn dose was 5 IU for both PMSG and hCG, while the number of ovulated eggs was 428, percentage of M II was 73%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 was 81 %. 2) The optimum injection interval of PMSG-hCG was 48 hours, while the number of ovulated eggs was 48 8, percentage of M II was 80%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 was 81%. 3) The optimum time for collecting eggs was between 16 and 18 hours after hCG injection, while the numbers of ovulated eggs were 448, 427 and 437 in 14,16 and 18 hours after hCG injection respectively, and percentages of M II were 79 and 81 %,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s were 81 and 80% in 16 and 18 hours after hCG injection, respectively. 4) The repeat of superovulation decreased with the number of ovulated eggs, percentage of M II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 than in control. But it was recovered by increasing the repeat interval.
        4,000원
        142.
        199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성숙 래트의 외경정맥에 카테타를 장착하고, 다음날 (28일령) 대조군에는 4IU, 다배란 처치 군에는 20IU의 PMSG를 피하주사하였다. 각 실험동물은 혈중의 LH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PMSG 투여 직전 (0시간), 투여후 12시간, 그 이후 6시간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하고 72시간에 희생시켰다. 그 결과 다배란 용량의 PMSG 투여는 먼저 배란반응 및 난소중량을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4,7배 및 2.1배나 현저하게 (P<0.05) 증가시켰다
        4,000원
        145.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재래종 밤나무와 저항성 품종 밤나무(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의 유충에서 유약 호르몬과 유약호르몬 특이에스테라제의 활성도를 Gas liquid chromatohraphy (R ller et al.1965), Galleria cuticle wax 검사 (de Loof & van Loon 1981) 및 Liquid scintilation counter (Hammock & Sparks 1977)로 비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충에서 GLC로 분리한 유약호르몬은 양군 모두에서 유약호르몬 I(JH-I)로 동정되었다. 저항성 품종(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의 유약호르몬 함량은 35,800 GU/g와 30,900 GU/g이고, 재래종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의 유약호르몬의 함량은 28,600 GU/g으로 나타났다. 유약호르몬 특이 에스테라제 활성도는 저항성 품종(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은 1.48 n mole/min/ml와 1.63 n mole/min/ml, 그리고 재래종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은 1.89 n mole/min/ml로 측정되었다. 유약호르몬 함량은 재래종 밤나무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보다 저항성 밤나무(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에서 더 높았으나, 유약호르몬 특이에스테라제 활성도는 저항성 밤나무(축파, 단택)보다 재래종 밤나무에 기생하는 혹벌에서 더 높게 나타나 서로 역비례 경향을 나타냈다.
        4,000원
        150.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 오리나무잎벌레(Agelastica coerulea Baly)성충의 유면 유기에 미치는 온도와 광주기 영향 및 유약호르몬(juvenile hormome III)과 탈피호르몬(20-hydroxyecdysone)이 휴면중인 성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오리나무잎벌레는 일년에 일회 발생하며 난, 유충, 용 성충기간은 가각 7~10일, 19~21일, 14~15일, 약 10개월로 조사되었다. 오리나무잎벌레의 알과 유충을 와 의 조건에서 광주기를 각각 16L/8L, 12L/12D, 8L/16D로 달?여 사육하여도 모든 성충이 휴면에 들어가 이들은 필수성충휴면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휴면기간동안 난소는 거의 발육되지 않았으며 유면말기의 개체를 , 16L/8D에 노출시키면, 난소소관이 급속하게 발달되었다. 휴면중인 성충에 유약호르몬을 처리하면 일시적으로 휴면이 타파되고 산란이 이루어졌으나 탈피호르몬은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4,000원
        153.
        199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ttempted to report the effect of Does for Job's tear on steroid hormone changes in rats. Experimental object was one male rat and four female rats in one group. The experimental diet keeped pace with basal diet and Does of Job's tear. A group was basal diet and basal diet & Does for Job's tea was B group(1/day), C group(2/day). D group(3/day), F group(1 day among 3 day, 3/day), G group (1day among 5 day. 3/day) and E group was made diet & Job's tear(3/day). The reduce of weight was appeared to higher in D group and revealed to higher was F, C, B, G and A group. The changes of steroid hormone were showed to significant difference in A group and indicated t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G, F, B, C, D and E group.
        4,000원
        159.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있어서 prostaglandin 의 투여(投與)가 황체퇴행(黃體退行)시에 야기되는 호르몬 함량의 변화(變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발정주기의 10일에 (Lutalyse) 5mg을 3시간 간격으로 2회 주사(注射)한 다음 경시적(經時的)으로 혈중(血中) 난소(卵巢) 및 뇌하수체(腦下垂體) hormon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있어서 발정주기(發情週期)의 10일에 를 주사한 결과 혈중(血中) progesterone의 평균농도는 주사직전에 였으며 주사후(注射後) 3시간에 로 약 60% 감소(減少)하였으며 12시간에는 로 감소(減少)하여 72시간까지 1.02ng/ml 이하로 감소(減少)하였다. 혈중(血中) estradiol- 함량은 투여후(投與後) 6시간부터 유의(有意)하게(p < 0.05) 증가(增加)하여 72시간까지 유지되었다. 혈중(血中) LH함량은 주사직전에 였으며 투여후 3~12시간에는 증가(增加)하였으나 그후 24~72시간 사이에는 에서 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혈중(血中) FSH 함량은 투여전 였으며 투여후(投與後) 3시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72시간까지 유의차없이 약간 감소(減少)를 나타내었다. 혈중(血中) prolactin의 함량은 유의성(有意性)은 없었으나 투여후 약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結果)에서 LH함량의 최초 증가는 혈장중(血漿中) progesterone의 감소로 기인된 것이며 성선척극(性腺刺戟) hormone의 분비형태(分泌形態)는 황체(黃體)의 퇴행시에 progesterone 또는 progesterone과 estradiol-의 함량비의 차이로 인하여 상위되었다고 본다.
        4,000원
        160.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ilateral ovariectomy on the embryo survival and changes of plasma progesterone and estradiol concentration. Mature Angora rabbi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Superovulation and unilateral ovariectomy after superovulation). Unilateral ovariectomied rabilt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ime of ovariectomy (24 hours and 96 hours after mating).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unilateral ovariectomy, survival rate and collecting rate of embryos recovered from contralateral and ipsilateral oviduct and uterus were not different, and were lower than intact rabbits. 2.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at 93, 99, 102 and 114 hours after HCG injection in superovulated rabbits were 12.9 0.5, 34.8 5.1, 12.2 2.7 and 43.4 5.8ng/ml, respectively. Mean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99 and 114 hours than at 93 and 102 hours (p <0.05). But plasma estradiol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3.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in unilateral ovariectomized rabbits was somewhat decreased after unilateral ovariectomy. Plasma estradiol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