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5

        161.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의 전반적인 효과성을 메타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출간된 29편의 연구를 바탕으로 총 218개의 개별효과크기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연구대상, 연구기간, 집단크기, 연구 영역 및 세부 하위영역에 따라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활용한 논문은 “CMC”, “컴퓨터 매개 학습”이라는 검색어를 사용하여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및 구글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CMC”를 활용한 영어학습은 전체적으로 중간 크기의 효과를 나타내어(ES=.69)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정의적 영역의 효과크기(ES=.71)가 인지적 영역의 효과크기(ES=.69)보다 약간 더 높았다. 특히, CMC 기반 영어수업은 어휘 및 문법(ES=.87)과 쓰기(ES=.81)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한편, 정의적 영역의 태도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나(ES=.92), 학습전략 영역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또한, CMC는 중·고등학생보다 대학생과 초등학생에게, 중간 기간(5주-11주) 과 장기간(12주 이상)일 때, 그리고 소집단일 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영어교육에서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나 플랫폼 및 SNS 기기들이 활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감안하여 수업을 설계한다면 보다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162.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glish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impede the success of North Korean refugees’ adaptation to South Korea in terms of pursuing college education and getting a job. This article attempts to illustrate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hopes and anxieties about learning English through a reflective process. To examine comprehensive qualitative data about their perceptions toward English education,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were invited to English classes in private institutes in South Korea. After experiencing English classes for six month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nty-four students ranging in age from twenty-one to forty-eight. Based on Gibbs’ reflective process framework that promotes meta-thinking about their own learning experience, the refugees’ reflections on English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emes: education and meaning of life, importance of post-caring, determinants of motivation for class attendance, and ambivalent view on English education. Suggestions are made from the findings regarding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hopes and anxieties about education in Korea and future English programs.
        163.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모의TOEIC 듣기성적과 성별에 따라 영어듣기학습자가 듣기학습에서 사용한 듣기전략의 차이점과 영어듣기학습에서 사용한 듣기전략과 성별이 모의TOEIC 듣기성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설문을 Oxford(1990)의 듣기학습전략 중, 모의TOEIC 듣기전략에 알맞은 45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모의TOEIC을 치른 강원도 원주 소재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학습자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신뢰도, 빈도분석, 평균비교,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의TOEIC 듣기성적 Level Ⅱ집단이 Level Ⅰ집단보다 기억전략, 인지전략, 상위인지전략, 보상전략, 정의적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자대학생학습자가 여자대학생학습자보다 정의적 전략을 제외한 기억전략, 인지전략, 상위 인지전략, 보상전략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보상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전략들에서는 통계 적으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성별은 모의TOEIC 듣기성적과 상관 관계를 가지지 못하였다. 넷째, 영어듣기학습에서의 듣기전략의 사용은 모의TOEIC 듣기성적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특히 인지전략과 보상전략의 사용은 모의TOEIC 듣기성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164.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imed at examining Korean colleg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views in flipped classrooms. In total, 89 students with two different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45 in beginning class and 44 in intermediate clas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had pre-and post-test, and they responded to two surveys. Also, 15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follow-up interview.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intermediate cla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ir post-test (p<.05) although those in the beginning class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Regarding students’ views on the approach, the findings revealed that many students in the beginning class considered the flipped learning skeptical while half students in the intermediate class perceived the approach positive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lipped learning approach may not be an effective learning approach for beginning English learners.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165.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scores of a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of a middle school group and a high school group. It examines the effects of two factors on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of each motivation subtype: whether students receive private education, and when students first start learning English. T-test results indicate higher scores for the middle school group in all the subtypes than for the high school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obtained in support of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The group that started learning English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showed a higher amotivation mean score than the group that started in the first or second grade. Also, amotivation was proven to be a viable variable to group subjects with in addition to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supporting the motivation system proposed in Selfdetermination Theory.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motivation as a dynamic construct and attempt to promote it through groupspecific approaches in English classrooms.
        16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Youn-Kyoung Lee. 2017.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Korean College Learner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udies in Modern Grammar 96, 253-270. The present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in a Korean college context. In total, 5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BL class (n=26)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non-PBL class (n=26) was the control group. Both group had the same curriculum. All participants had pre-and postvocabulary test, and 1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follow-up interview.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post-vocabulary test (p<.05). The PBL participants’ interview data revealed that PBL provided sufficient English conversation practice and opportunities of scaffold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PBL should be applied to foster Korean college learners’ ability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167.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al factors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Additionally,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rms of the motivational subtypes. 17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For analys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dopted from the Language Learning Orientation Scale (LLOS) of Noels et al. (2003).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which includes seven motivational sub-types of self- determination theory, was acceptable to measure Korean secondary students’ motivational factors, showing good fits in most fit indices. The seven dimensions of motivation that the current study explored were amotivation, external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intrinsic motivation-accomplishment, intrinsic motivationknowledge, and intrinsic motivation-stimulus. Also, the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ddle school group and the high school group was not significant in terms of their motivational orientation. A meaningful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e scale’s possible use by secondary English teachers.
        168.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effects of two tele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asynchronous (ATL) and synchronous telecollaboration learning (STL),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xiety,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CC). To evaluate the 27 participants’ motivation and anxiety level,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administered and the motivation level and the anxiety level were compared between the ATL and the STL group. On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to examine their ICC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 with questions constructed based on five objectives of Byram’s intercultural compet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rease their motivation level. However, when examining in more detail, the participants in ATL increased their instrumental motivation while those in STL increased their integrative motivation.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At last, (3) regarding ICC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both in the ATL and in the STL greatly improved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but ATL participants, compared to STL participants, demonstrated relatively limited changes in their critical cultural awareness. Implications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d ICC by telecollaboration are suggested.
        169.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dimensions of English learning style which is manifest in English underachieving student in high school. In this study, 148 English underachieving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 when it comes to English learning style. The items in the questionnaire were based on Learning Style Inventory (LSI) by Kolb (2007) who categorized student's learning style. The subject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submitted to SPSS version 20.0 to analyze the salient dimensions of English learning style. The statistical results of factor analysis revealed three dimensions of English learning style of underachieving student: self-direction, creativity and reactivity. The contribution of three dimensions to English proficiency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regression and cluster analysis, in which the more dimensions they had, the higher they had English proficiency lev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English learning style held by underachieving student could be explored on the basis of differentiated features in isolation from intermediate and high level student.
        17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망각곡선을 응용한 반복학습시기 설정 및 학습자 수준과 단어 난이도 자동계산 방법이 적용된 영어단어 암기시스템을 소개한다. 우리 시스템은 망각곡선을 사용해서 학습자의 단어암기 횟수에 따라 적절한 반복 주기를 정하고 그 시기에 복습을 요구한다. 학습자가 알고 있는 단어들에 대한 복습시간을 없애고 잊어버릴 확률이 가장 높은 단어들을 우선 적으로 복습하는 것으로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수준에 맞는 난이도의 단어들을 제공함으로써 학습 흥미와 성취도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난이도의 단어를 무작위로 제공하거나 이미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맞춰진 난이도의 단어들을 제공하는 기존의 시스템과 차별되도록 학습자와 단어 난이도 설정에 온라인 체스게임 랭킹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Glicko" 시스템을 적용시켰다. 플레이어간의 대결을 통해서 서로의 실력이 결정되고 매칭되는 이 시스템을 우리는 단어와 사람간의 대결로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그것으로 인해 학습하는 사람의 수준과 단어들의 난이도가 실시간으로 측정되고 학습과정에 반영이 된다. 이 외에 부가적으로 분산학습, 시험형식의 문제풀이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활용하여 영어 단어 암기의 효율성을 극대화 한다.
        171.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스마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 러닝이 대두되면서 영어교육 분야에서도 디지털콘텐 츠의 활용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했을 때, 향후 영어교육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콘텐츠로 게임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영어교수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 용할 수 있는 게임의 인터페이스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게임 장르 별 대표게임을 선정하고 해당 게임의 플레이 과정을 분석하여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인터페 이스를 도출한 다음, 해당 인터페이스의 언어적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분석 결과와 영어교수학습 방법의 특성을 종합하여 교수학습 방식에 따라 활용 가능한 게임 인터페 이스를 제시해 보았다.
        172.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행맨, 크로스퍼즐, 매칭등과 같은 많은 영어 단어 학습용 게임들이 보드 형태 또는 컴퓨터 게 임 형태로 개발되었다. 이들 컴퓨터 게임 대부분은 전략형 게임 플레이를 채택하기에 이런 스 타일의 게임을 좋아하지 않는 학습자들에게는 게임의 고유 특성인 즐거움을 주는데 한계가 있 다.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 및 성인 대상의 1인용 자동차 주행 게임을 중심으로 새로운 영어 단 어 암기를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의 핵심인 자동차 주행 게임에서 학습자는 차를 운전하면서, 트랙 상에 아이템처럼 나타나는 영어 단어 텍스트와 충돌하여서 점수를 획득하게 된다. 학습자는 화면상에 노출된 영어 단어를 주행 중에 지속적으로 보면서, 영어 단어를 뇌리 에 새기게 된다. 우리의 실험 결과, 우리의 게임을 통한 영어 단어의 기억 효과는 만족할 수준 이고, 학습 도구로서의 본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다. 또한 기본 영어 단어 학습용 게임들 이 이미 알고 있는 단어 대한 기억 강화에 적합하지만 우리의 게임은 새로운 단어 암기에도 사 용할 수 있다.
        17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motivating factors of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a local area in Korea. The interviews with 17 students who are in three different proficiency groups reveal 8 demotivating factors: 'learning difficulty', 'exam-oriented class', 'low test scores', 'low confidence', 'memorization', 'learning material', 'teacher', and 'grammar translation method'. The main demotivating factor is 'learning difficulty'. Half of the students who mentioned this state that they experienced the learning difficulty when they advanced to middle school from elementary school. The majority of other demotivating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Korean education system under which both teachers and students do not have much autonomy. The 'teacher' factor which was identified as the main demotivating factor in other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is not the main demotivator in this paper. In the distribution of demotivating factors, there do not exist any big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proficiency groups but it is shown that the low proficiency students experienced demotivation earlier than the higher proficiency students.
        17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육 현장에서 감정은 기억, 학습 성취, 동기부여에 있어 핵심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감정적 개입(emotional engagement)을 촉진하기 위해 기능성 게임을 학습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 학습용 기능성 게임 '워드 콜렉트리안'을 이용하여 탐색 연구를 진행하였다. 워드 콜렉트리안은 인터액션을 통한 단어의 동적 시각화와 맥락 영상의 제시를 통한 상황 인지, 완성된 단어의 배치를 통한 단어에 대한 애착 고취 등을 활용하여 아동들이 감정적으로 영단어 학습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1차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기초 실험 결과 워드 콜렉트리안이 학습 효과와 감정 개입의 효과를 모두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