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9

        168.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17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에 인체 중심의 무선통신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입을 수 있는 안테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 에서는 GPS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입을 수 있는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두께 0.7mm의 염소가죽을 유전체 기판으로 사용하고, 두께 0.08mm의 구리 폴리에스터 천을 방사체 및 접지판으로 사용하여 안테나를 제작하였다. 원형 편파 특성을 얻기 위해 정사각형의 패치에 대각 선 방향에 놓인 모서리를 짤라서 방사체를 만들었고, 도전성 천과 가죽을 에폭시를 사용하여 접착하였다. 먼저 염소가죽의 유전율을 구하기 위해 크기가 다른 3개의 정사각형 패치 안테나를 만들고,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염소가죽의 유전상수를 구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GPS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를 설계하고, 제작하여 실험을 통해 안테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옷의 어깨 부분에 설치하여, 사람이 입고 측정하 여 특성의 변화를 실험하였고, 상용 세라믹 GPS 안테나와 수신 감도 특성을 비교하여 제작된 안테나가 비슷한 수준의 감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7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 조형예술은 시간이 갈수록 점차 속도와 범위가 확장되고,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생활문화에 조형미를 접목하는 흐름으로 이어져 여러 나라에서 자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의복은 세계 어느 나라이든 그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문화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의복에 적용된 우리의 전통문양에는 민족의 혼이 담긴 연원이 깃들어 있고 자연에 순응하며 섬세하고 고상하게 우리 전통의 아름다움을 내포하고 있다. 문화상품이 상업화되면서 의복의 상품화와 그 가치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문헌들을 참고하여 의복에 적용한 대표적인 전통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사례를 통해 검증하며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한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의복과 우리나라의 전통문양이 결합됐을 때 그 시너지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의복이란 상품을 통해 정체성을 바로 찾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 나라의 위상을 전 세계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충분한 매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의 고유문화나 전통성이 소멸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 심미성만을 목적에 두고 의복이라는 상품을 생산하는 것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신이 점차 소멸되어 가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현대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개성있고 창의적이며 누구든 공감할 수 있는 특별한 전통의복을 개발하여 그 뿌리를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 고유의 전통문양에 뚜렷한 상징과 정체성, 가치를 담아 재탄생된 의복은 한국 고유의 전통성을 잃지 않고 상품의 가치를 높에 만들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점점 장인이라는 전통 계승자들의 부재는 우리 민족의 혼을 사라지게 하는 하나의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는 산·학간의 협력을 통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우리의 전통을 이어갈 수 있는 젊은 인재의 양성에도 소홀하여서는 안된다. 이러한 젊은 인재들은 전통의상디자이너들과의 교류를 통해 우리 전통문양이라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창조하고 기능적인 형태와 색체, 그리고 전통문양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한국의 전통의복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179.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ology for classfying types of lower limb disability and their mechanical structure, based on extensive survey of previous developments. We also propose a task-oriented design with human-friendly and energy-efficient assistive system. The result can be used for optimal design of wearable walking-assistive robot donsidering the type of disability and the content of task.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