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5

        16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총체사료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맥종들의 출수 후 수확시기 및 식물체 부위별 사료가치 변화를 분석하여 각 맥종의 최적 이용시기를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조사료 이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단백질 함량은 전 맥종에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식물체 전체 조단백질의 함량이 낮았다. 식물체 부위 별로는 출수 후 40일 수확을 제외하고는 잎의 단백질 비율이 가장 높으며, 줄기 부분은 어느 시기에서나 10% 미만으로 다른 부위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2.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ADF함량이 낮아졌고 부위별로는 줄기의 ADF함량이 다른 부위보다 높고 잎의 ADF함량은 줄기와 이삭의 중간 정도의 비율을 나타냈다. 줄기의 건물중 비율이 높아지면 전체 ADF함량 비율이 직선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호밀을 제외한 전 맥종에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NDF함량은 낮아졌는데 호밀은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줄기 건물중의 비율이 높아 전체 NDF함량이 높아졌다.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줄기와 잎의 NDF함량 변화는 크게 변화가 없는 반면 이삭의 NDF함량은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낮게 나타났다. 4. 호밀을 제외하고는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RFV가 높아지며, 부위별로는 이삭의 RFV가 가장 높았고 줄기가 가장 낮았다. 식물체 전체 RFV 변이는 출수 후 이삭의 등숙이 진행되면서 잎과 줄기의 낮은 RFV를 보상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RFV가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162.
        200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elect the most suitable crop and variety of forage for nutrient quality at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e crop of wheat, barley and rye were grown from Oct. 1999 to June 2000. Paldanghomil variety of rye crop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chemical components in comparison to other varieties of crops used in this experiment. It showed relatively high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and low content of NDF, ADF, cellulose and lignin.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paldanghomil of rye crop was the most suitable variety with high weight and high nutrient quality for forag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e heritabilities of all nutrient quality characters were estimated to be high.
        163.
        200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find out the optimum harvest (dipping) date combined with sowing date on yield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rye which is suitable at the Southern part of Korea, Paldanghomil variety was grown Sep. 2001 to May 2002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nd yield and nutrient quality of plant were observed. As harvest date and sowing date were delayed, the plant length was longest, number of leaves per plant was increased in the time of May 20 clipping. Fresh yield was the heaviest in the time of May 20 clipping and Oct. l0 sowing, and the most dry matter yield was the heaviest in the time of May 20 clipping and Oct. 10 sowing. Content of crude protein was the highest and that of crude fiber such as NDF, ADF, hemicellulose, cellulose and lignin were the lowest in the late time of clipping and sowing. Further more IVDMD was high and dry matter yield and digestible dry matter yield were the highest in the time of May 20 dipping and Oct. 10 sowing. Judging from the results reported above, at optimum harvest (dipping) date combined with sowing date for yield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rye seemed to be the time of May 20 clipping and Oct. 10 sowing.
        164.
        200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find out the optimum fertilizer level for high yielding variety, Paldanghomil,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5 compositions of fertilizer levels at the experiment field of forage rye i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from Sep. 1998 to Aug. 1999. 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 on plant growth were large significant but increasing rate of application in potassium and phosphate fertilizers above 10kg/10a had negligible effects on plant growth. Raising nitrogen application rate of fertilizers turned out to be 18-10-10kg/l0a of N-P2O5-K2O. Content of crude protein was the highest and that of crude fiber such as NDF, ADF, cellulose and lignin were lowest at this rate. Furthermore, IVDMD was high and dry matter yield were the highest at the optimum rate.e.
        165.
        200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termine optimal plant density of forage rye in southern areas of Korea, forage rye cv. Paldanghomil,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among experimental varieties of forage rye, was grown under five different plant density.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were highest at the broad casting. Plants sown at broadcasting also showed highest fresh and dry matter yield. When plants were grown of the broad casting, they showed higher values in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lower values in contents of crude fiber such as neutral detergent fiber(NDF), acid detergent fiber(ADF), cellulose and lignin.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variation of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IVDMD) and plant density. Plants sown at the broad casting showed highest digestible dry matter yields.
        166.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oil seed rape could be used as a forage fodder crop and to select the most suitable variety of forage rape at the southern area of Korea, two varieties of oil seed rape currently grown for oil production and six introduced varieties of forage rape with relatively high yield and high nutritional value were grown at the same condition and their nutritional value were observed. Generally, rape was considered as a useful forage fodder crop with high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low contents of NDF, ADF, hemicellulose, cellulose and lignin. Differences in mean values of the above characters between two groups of rap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Velox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significantly lower contents of NDF, ADF, hemicellulose, cellulose and lignin compared with other varieties of forage rape. Rape was relatively high in IVDMD compared with other forage fodder crops, and forage rape was more or less higher in IVDMD and DDMM than oil seed rape. Velox was the highest in IVDMD and DDMM among the varieties of forage rape in this experiment.
        167.
        200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termine as optimal sowing time of forage rape in spring time in southern areas of Korea, forage rape cv. Velox,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among introduced varieties of forage rape, was grown under five different sowing times.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length, number of branches and number of leaves etc. were higher at the sowing time of Mar. 15 and Mar. 25. The plants sown at Mar. 15 and Mar. 25 also showed highest fresh and dry matter yield. When plants were grown under later sowing time, they showed higher values in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lower values in contents of crude fiber such as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cellulose and lignin.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variation of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and sowing time. The plants sown at Mar. 15 and Mar. 25 showed highest digestible dry matter yields.
        168.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ongram' is a new hybrid rapeseed (Brassica napus L.) with high yield and high quality for forage. This hybrid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Mokpo-CGMS (male sterile line) and Mokpo 64 (restore line) in 1996. Forage yield of 'Cheongram' was 57% h
        169.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known to produce the highest total digestible mutrients (TDN) yield among summer grain legumes in Jeju area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A determinate soybean cv. Baegunkong was planted on 5 June, 20 June, and 3 July and grown at four plant densities (30, 50, 70 and 90 plants m-2 in 1998 in Jeju to evaluate the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n the yield and quality of soybean forage. Days to flowering decreased from 47 to 38 days, average plant height from 61 to 51cm and main stem diameter from 6.31 to 5.00mm as planting was delayed from 5 June to 3 July. Average plant height quadratically increased from 45 to 62cm as plant density increased from 30 to 90 plants m-2 . Planting date did not affect the average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TDN yields. The average dry matter and TDN yields displayed a quadratic response to plant density and the optimum plant density for both dry matter and TDN yields was estimated about 60 plants m-2 . Plant density had no effect on crude protein yield. Planting dat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forage quality.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lant density. Increasing plant density slightly increased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but slightly decreased TDN content.
        170.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Glycine max (L.) Merr.),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 cowpea [V. unguiculata (L.) Walp.], adzuki bean [V.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maize [Zea mays L.],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times sudangrass [So bicolor intraspecific hybrid], and Japanese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Link) W.F. Wight] were grown at two planting dates (18 June and 15 July) at Cheju in 1997 to select the best forage legumes adapted to Cheju Island for grass-legume forage rotation. Averaged across planting dates and cultivars,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s were 5,646, 1,056, and 3,637 kg/ha for soybean, 4,458, 676, and 2,661 kg/ha for mungbean, 3,289, 553, and 2,055 kg/ha for cowpea, 3,931, 674, and 2,489 kg/ha for adzuki bean, 12,695, 969, and 7,642 kg/ha for maize, 17,071, 1,260, and 8,857 kg/ha for sorghum, 16,355, 1,163, and 8,543 kg/ha for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and 8,288, 929, and 4,091 kg/ha for Japanese millet. Soybean was higher in CP, ether extract (EE), and TON content but was lower in nitrogen free extract content compared with the three other legumes. The legumes had much higher CP (13.7 to 21.9%), EE (2.42 to 6.23%), and TDN (58.7 to 69.9%) content but lower in crude fiber (CF) content (17.3 to 25.3%) than did the grasses tested except maize which had relatively lower CF content but higher TDN cont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ybean could be the best forage legume for grass-legume forage rotation in the Cheju region.
        171.
        199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총체용 보리, 밀, 신기호밀의 조사료 생산성 및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고자 올보리, 그루밀, 신기호밀을 공시하여 총체수량, 기관별 구성비, 사료적 가치 및 예취적기를 조사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체수량은 호밀>밀>보리의 순으로 많았으며 총체수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보리, 밀은 출수후 14일, 신기호밀은 21일이었다. 2. 기관별 구성비는 세 품종 공히 출수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이삭의 비율이 늘고 줄기와 잎은 감소하였다. 보리의 이삭 비율은 황숙기에 56 1%로 밀과 신기호밀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3. 사일레지 제조 적정 수분에 도달하는 시기는 보리가 출수후 24-31일, 밀은 출수후 24-35일, 신기호밀은 출수후 25-34일 이었다. 4. 보리의 황숙기 때 조단백, 조지방의 각 10.7%, 4.7%로 밀, 신기호밀에 비하여 높았으며 반면에 보리의 조섬유는 낮았다. 5. 총체수량, 수분함량, 사료가치 및 수도이앙 등을 고려할 때 총체용 맥류의 수확적기는 출수후 23-24일 이었다. 6. 중북부지역에서 답이작 총체용으로는 보리가 가장 적합한 맥종으로 사료되었다.
        172.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남부지방에 적합한 사초용유채의 파종기별 예취시기가 수량 및 영양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Velox를 공시하여 실험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태를 제외한 초장, 분지수, 주경엽수의 형질들은 파종기와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우수하였다. 2. 생초수량은 9월 하순에 파종하여 개화기인 4월 하순에 예취한 구가 가장 높았으며, 건물수량은 파종기와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높아서 9월 하순에 파종하여 만개기인 5월 초순에 예취한 구가 가장 높았다. 3, 조단백질함량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높았고, 예취시기는 늦을수록 급격히 저하되었으며, 9월 하순에 파종하여 추태기인 4월 초순에 예취한 구가 가장 높았었다. 4. NDF, ADF, hemicellilose, cellulose 및 lignin 등의 조섬유함량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저하되었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높았었다. 5. IVDMD은 조섬유와 같은 경향이었고, 가소화건물수량은 9월 하순에 파종하여 개화기인 4월 하순에 예취한 구가 가장 높았었다.
        173.
        198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질 다수성 신사료작물 진주조 수원1호에 적합한 예취시기, 간격 및 높이를 구명하여 청예수량 및 품질을 높이고저 수원, 춘천, 대전, 광산, 무안의 전국 5개소에서 1987∼88년에 실지하였던 바 그 결과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예취높이 20cm구에서 11.1t/10a이 생산되어 가장 증수되었다. 예취높이 5cm구에서 1차예취후 염생이 잘 되지 않아 총수량이 가장 낮았고 예취높이 30∼40cm구는 20cm구에 비하여 수량성이 전체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2. 5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중순에 1차예취수 4주간격 예취구에서 11.4t/10a이 생산되어 6, 8두간격 및 1회 예취구에 비하여 월등히 증수되었다. 3. 예취높이 20cm구에서 조단백질함량 12.8%로 가장 높았고 조지방함량은 5cm구에서 3.4%로 가장 높았다. 조섬유함량은 예취높이가 높아질수록 3회예취 평균 24.0%에서 26.9%로 증가하였으나 1차예취에서는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서 15.4%에서 12.6%로 낮아졌으나 가용무질소물함량은 33.7%에서 35.7%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4. 예취시기별 품질의 변화를 보면 1차예취구의 조단백질함량 14.0%로 가장 높았고 조지방함향은 2.6∼2.7%로 큰 차이가 없었다. 조섬유함량은 2차예취구 30.5%로 가장 높았고 1차, 3차예취구에서 24.0%, 24.1%로 낮았다. 초회분함향은 1차예취구 14.9%로 가장 높았고 가용무질소물 함량은 1차에취에서 2∼3차예취로 감에 따라서 34.2%에서 38.1%까지 높아졌다. 5. 7월 중순 1차예취후 4주간격 예취구에서 조단백질함량 13.0%로 가장 높았으며 조지방함량도 4주간격 예취구에서 3.4%로 가장 높았다. 조섬유함량은 4주에서 8주간격 예취로 예취간격이 커질수록 24.2%에서 27.1%로 높아졌다. 조회분함량은 10.4∼9.3%로 낮아졌다. 가용무질소물 함량은 6주간격 예취구에서 38.7%로 가장 높았다. 6. 청예사료용 진주조의 염성력과 수량성은 예취 높이에 따라서 크게 달라졌고 품질은 예취시기, 간격 및 회수에 따라서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초고 1m 이상 자랐을 때에 예취높이 20cm 남기고 7월 중순 1차예취후 4준간격으로 예취하는 것이 염생력, 청예수량 및 품질을 높일 수 있었다.
        174.
        198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봄철 청예사요 생산에 알맞는 사료작물을 찾으려고 청예용 호밀 4품조, 청예용 Triticale 2품종을 1984년 10월 15일에 파종하여 1985년 봄에 이들의 사료생산성과 사료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모든 품종이 4월초순부터 출수후 20 일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초장증가율은 호밀이 Triticale보다 높았으며 호밀품종간 또는 Triticale 품종간에는 초장의 차이가 없었다. 2. 건물중은 Triticale 품종은 모두 출수후 20일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호밀품종은 모두 출수기까지는 Triticale과 같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절대량은 Triticale보다 높았고 출수기 이후에는 건물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3. 건물비율은 4월중순까지는 모든 호밀이나 Triticale 품종간에 차이없이 11∼13%이었다. 그러나 호밀은 출수기가 되면서 건물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Triticale은 출수후 20일까지도 서서히 증가하였다. 4. 출수기는 호밀품종은 4월 22일∼25일이었고 Triticale품종은 모두 5월 6일이었다. 출수기의 초장은 호밀이나 Triticale보다 컸으며 건물수량, 건물비율, 가소화건물수량은 Triticale이 호밀보다 높았다. 호밀중에는 팔당호밀이 다른 품종보다 건물수량과 가소화건물수량이 낮았다. 5. Triticale이 호밀보다 엽신장이 길고, 엽신폭이 넓으며 엽신이 전지상부 건물중에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6. 단백질함량은 생육이 진전될수록 감소하였으며 출수기 이전에는 호밀이 Triticale보다 높았으나 출수기 이후에는 맥종간 또는 품종간 차이가 없었다. 7. 호밀은 Cellulose와 Lignin이 모두 출수후 20일까지 계속 증가하나 Triticale의 Cellulose는 출수기까지 증가한 후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며, 반면 Lignin은 출수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Hemicellulose는 호밀에서는 출수기까지 다소 증가한 후 유지되었으나 Triticale에서는 생육초기에 높으며 서서히 감소하였다. 8. 소화율은 출수기까지는 모든 품종에서 높았으며 호밀은 출수 5일후부터 급격히 떨어졌으나 Triticale은 출수후 15일까지 출수기와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9. 단백질함량과 건물소화율은 엽신이 간+엽소에서 보다 높았으며 Hemicellulose는 차이가 없었고 Cellulose, Lignin, ADF는 엽신에서 보다 간+엽소에 서 높았다. 10. 호밀은 저온기에 생육이 빨라 4월 초중순의 청예사료생산에는 Triticale보다 유리하나 출수기 이후에 소화율이 급격히 저하하고 Triticale이 호밀보다 출수기가 늦으므로 4월하순∼5월상순의 청예사료공급은 Triticale이 유리하다. 호밀이나 Triticale 중 한가지 종류만 심는 것 보다 두 종류를 심어 초기에는 호밀을, 다음에는 Triticale을 청예로 이용하면 청예이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고 수확량도 크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75.
        198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예사료생산을 목적으로 대맥·호맥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기와 시비량, 그리고 예취시기와 높이, 예취회수가 청예건물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식물체의 출현율에 있어서 대맥은 10월이 지나게 되면 출현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한계파종기는 10월말이었으며, 호맥은 11월초까지 파종하여도 출현율의 차이가 없다. 2. 월동률은 비료수준과는 관계가 없었으며, 파종시기간에는 대맥의 경우,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률이 높았으며, 호맥은 파시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다. 또한 호맥이 대맥보다 월동률이 높았다. 3. 출수기의 청예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비료수준이 높을수록 많은 경향이었으며, 호맥이 대맥에 비해 청예수량이 높았다. 4. 출수기 때 예취한 식물체의 조성분 중 조단백질·조지방 함량은 비료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조회분·조섬유 및 TDN 함량은 시비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NFE는 비료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TDN yield는 비료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호맥이 대맥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5. 2회예취처리에서는 1차예취시기가 빠를수록 호맥에서는 수량이 많은 경향이었으나, 대맥의 경우에는 1차예취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6. 예취높이는 12cm를 유지해 줄 때 재생이 좋아서 총수량이 많았다. 1회, 2회, 예취회수에서는 2회예취에서 청예수량 및 TDN yield가 가장 많았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