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명말(明末) 청초(淸初)의 저명한 화가로, 고숙화 파(姑孰畵派)의 창시자인 소운종(蕭雲從: 1596-1673)의 산수화 도식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소운종 산수화의 도식 특징 에 대한 분석을 시작으로, 산수화 도식의 형성배경과 변화양상 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심도있게 논의했다. 이를 통해 소운종 이 산수화 도식에 끼친 영향과 그 시사점을 새롭게 밝혀냈다. 청(淸)나라가 명(明)나라를 멸망시키고 중원을 차지한 환경 속에서 사회정세는 매우 혼란했지만 당시 화단(畫壇)은 도리어 더욱 활발해 수준 높은 작품들이 대거 나왔다. 고숙화파의 창시자인 소운종은 당시 산수화 도식의 새로운 풍조를 선도한 화가이다. “경쾌함을 기뻐할 수 있다.(輕快可喜)” 라는 화풍과 독특한 산수화 기하도식 언어는 중국 산수회화사 (山水繪畫史)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소 운종 산수화 도식은 주변 국가에 전파되어 남종문인화(南宗文 人畫)의 교류 전파에도 상당한 기여를 했다. 이로 인해 소운종의 산수화 도식에 대한 연구는 학술적 의의 가 크다고 할 수 있다.
        5,200원
        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당에서 오대를 거쳐 북송과 남송에 이르는 시대는 중국회화사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 시기로 이 시기 회화의 양상은 이후 중국 회화의 전개와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산수화에서는 수묵대관산수 양식의 성립과 발전, 화북산수화와 강남산수화라는 상이한 산수 화 양식의 형성, 문인산수화의 대두를 통해 이후 산수화 전개의 기반을 마련한 전범을 창조 하고 지속적으로 화가들의 창작력을 자극한 여러 화파의 전통이 형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기왕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오대와 북송대 산수화의 발전 양상을 살펴보고 오대에서 북송을 거쳐 남송 초까지 산수화에 나타난 변화와 그러한 변화의 시대적 배경을 고 찰하여 중국 산수화의 창신 및 전범의 형성과 전통의 성립 과정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북송 과 남송 교체기인 12세기 전반에 활동했던 화원화가인 李唐과 문인화가인 李公年의 작품을 통해 이들이 오대에서 남송에 이르는 산수화의 양식적 변화 및 창조와 모방, 전승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구명하여 이 시기 산수화의 흐름을 조명하였다. 남송대 이 후 중국산수화는 이 시기에 마련된 전통을 계승하고 변용을 거쳐 다시 새로운 전통을 창출한 과정의 연속이라 할 수 있음으로 오대에서 남송까지 산수화의 발전과 변화의 양상을 정확하 게 파악하는 것은 후대 산수화의 흐름과 함께 화가의 독자적인 창조를 통한 성취나 작품의 우수성 및 역사적 위치를 이해하는 관건이 된다고 할 수 있다.
        5,800원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대천(張大千, Chang Dai-Chien,1899—1983)은 중국 근현대 회화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화가 중 한 사람으로, 해외 에서도 명망이 높은 세계적인 예술가이다. 사실적인 서양화 기법을 적극 수용했던 중국의 동시대 화가들과는 달리 그는 전통회화를 중시하며 그 미학 사상과 심미관, 기법 등을 깊이 이해하고 체득하였다. 동시에 전통을 근간으로 하여 자신의 예술적인 기질과 심미적인 사고를 융합한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창조해 내었다. 장대천의 ‘발묵발채(潑墨潑彩) 산수화’는 전통회화의 기법을 뛰어넘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산수화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다. 작품 속에는 수묵과 채색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고 사의적(寫意的)으로 표현한 추상적인 면(面)과, 공필(工筆)의 섬세한 선묘(線描)로 묘사한 구상(具象)적인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결합되어 있다. 그는 전통회화 중의 용필법(用筆法)과 용묵법(用墨法)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었고, 거기에 청록산수(靑 綠山水)와 돈황벽화(敦煌壁畫)의 진채(眞彩)기법이 더하여져 화려하고 아름다운 색채를 얻을 수 있었다. 동시에 중·서 융합에 대한 부단한 연구와 실험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회화 예술을 만들어 내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장대천의 발묵발채 산수화는 당대(當代) 화 단이 추구하던 중국화의 혁신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보기가 되었으며, 채색 산수화 발전에 심미적 표준과 방향성을 제시하여 후대의 화가들이 자신의 예술을 계발하고 선양할 수 있는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8,700원
        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천수(潘天壽, Pan Tianshou, 1897-1971)는 20세기 중국 회화사를 대표하는 위대한 화가이자 중국화의 발전을 위하여 헌신해 온 교육가로서 오창석(吳昌碩1844-1927), 제백석(齊白石 1863-1957), 황빈홍(黃賓虹1864-1955)과 함께 중국 근현대화단의 4대가(四大家) 중 한 사람이다. 반천수가 활동했던 당시의 중국화단은 서양화의 유입으로 전통 문인화가 점차 쇠퇴해가던 시기였다. 이런 상황에서 반천수는 굳건히 전통을 지키면서도 그 속에서 중국화의 창신(創新) 을 이루고자 노력하였고 개성이 넘치고 독창적인 회화 형식을 창출함으로써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표출해 내었다. 특히 그의 ‘화조 산수화’는 실경사생(實景寫生)을 통하여 터득한 창작 회화형식으로서 화조화와 산수화의 융합이자 전통 중국화의 회화범주를 과감히 깨뜨린 창신(創新)의 시도라 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자연미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현대적 예술 정신이 깃들어 있다. 반천수의 ‘화조 산수화’ 작품의 특징은 첫째, 서예의 필법을 응용한 강기골의 운필로 필선이 강하고 기세가 넘치며 독창적인 구도를 가지고 있다. 둘째, 실경사생을 통한 일각식(一角式) 근경산수(近景山水)를 구현하여 현장감 넘치는 화면을 만들어 내었다. 셋째, 화면을 집중시키는 반공석(潘公石)을 과감하게 배치하여 화면을 경영하면서 조험(造险)과 파험(破脸)의 경계를 자유자재로 넘나들었다. 넷째, 화면의 네 면을 모두 에워싸는 사면 포위식(四面包圍式) 구도는 그림 속에 또 다른 여백의 공간을 만들어내어 그려진 경물들과 강한 대비를 이루며 허실 상생(虛實相生)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6,700원
        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ine trees have been existing in Korean Peninsula since about 7,000 years ago. It is the tree which has been always present in Korean's life and it is the tree which has a potential to become a true identity of Korea's Natu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forest in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9-categoriz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452 pine tree forests samples are collected from 179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The 9 classifications are following; Mountain top, saddle os mountain, foot of hill, Ridge, Valley, Slope, Rock, Soil, Waterside. In the case of the topography, 64.3% of the pine forests are drawn in the ridges. The forests are mainly located on the tops and the saddles of mountains. The current ecological findings also show that the ridges are the most suitable sites for pine trees. the pine forests drawn in the valley are frequently in the foot of mountains and the rock. The slopes(135) and the valleys(267) are mainly located foot of 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