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 교과에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는 문법 항목들이 있다. 이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도 통일된 문법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법 교육 실태를 조사한 뒤, 조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문법 敎授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조사는 한문교사 10명의 토론과 토론 과정에서 추출한 논제를 전국한문교사모임의 회원에게 설문지로 만들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토론은 문장의 해석과정을 주제로 하였다. 해석과정에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문장은 대체로 긴 문장이라는 것과 긴 문장은 짧게 나누는 지도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설문의 주요 항목은 술보 관계에서 보어의 개념 이해, 개사의 개념 이해, 접속사 而의 띄어 읽기와 현토, 대명사 之의 쓰임이었다. 토론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있었던 것처럼 설문 결과도 이를 반영하였다. 다만 有罪의 짜임을 대부분의 한문교사들이 ‘술보’로 답변하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之나 於 등의 허사를 우리말 조사나 어미로 이해시키는 방법을 지양하고, 허사의 본래 쓰임에 충실한 설명과 문맥으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교수방안도 제시하였다.
        6,4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how they perceive English grammar education with regard to its role in learning English and the need and ways of including grammar instruction into the curriculum.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23 teachers and 1513 6th grade students. In addition, written interviews with 20 teachers were done through e-mail.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is survey are three-fold. First, most of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had experience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hey perceived that English grammar knowledge plays a positive role in learning English. Second, majority of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believed that grammar instruction should start in 5th grade, but there is a gap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with respect to grammar teaching approaches; the teachers prefer the inductive method, while the students prefer the deductive one. Third, many teachers considered that grammar instruction woul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English classes based on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 but they believed that activities for grammar instruction should be well designed in order to keep students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re made.
        8,700원
        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earch on washback of a test has little been carried out in Korea while it has been flourishing in language testing researchers overseas.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advent of NEAT has affected the perception of test takers and the teaching/learning practices in English classrooms of Korea. In addition, we also wan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uch as perception of test users, teaching/learning practices, and test scores. We carried out a survey with 601 students who were seated at NEAT administered in April 2013 as well as 3,267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on NEAT. The analyses revealed some evidence to support that NEAT has a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However, the analyses also revealed that NEAT was not effective to appeal for a change in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in English classrooms in Korea.
        6,700원
        4.
        200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C 정보화시대에 정보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날로 증대하고 있다. 교육부문에 있어서도 설비의 지원 현황등의 교육 실태의 분석을 통한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교육정보화에 대안을 수립 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및 선진국의 교육정보화사업 현황을 분석하고 사례지역(전라북도)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중심의 교육정보화 사업의 실태를 파악·분석하여 교육정보화사업 정책수립의 방향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학교 교육정보화의 균형적인 발전에 기여하는데 있다.
        3,000원
        5.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the way to give substanti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of Departments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 Ouestionaries were gathered from the professors of the Departments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ofessors and assistant teachers appointed 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s were insufficient in number showing the sufficiency proportion of 35.8% and 61% respectively. 2. Part time lecturers took charge of lectures on major subject up to 27%. 3. The academic backgrounds of all professors were above a master`s degree, and the number of professors who were in the doctor`s course and who had got doctor`s degree amounted to 31.5% and 27.9% respectively. 4. The number of professors who had majored in the course of Food and Nutrition at university or at graduate school was the most and that of Food Engineering ranked the next. 5. The number of professors having careers in the fields of food and nutrition before the appointment to professor amounted to 32%. 6. The number of professors having domestic training managed by the Education Ministry amounted to 67.8%, but those having foreign training amounted to only 8.3%. 7. The number of domestic scientific journals subscribed by one professor was on an average 2.8, but that of foreign was only 0.8. 8. Each professor associated on an average 2.7 kinds of academic society, and published 3.6 pieces of thesis in the last three years. 9. The professors were comparatively satisfied with their present occupations, bu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such points as deficiency of educational postulates, insufficient income, low level in intellectual faculties of their students and lack of social understanding.
        4,500원
        6.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초·중등 교육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초등 및 중등 교원양성기관 교수의 연구 협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아래, 그들의 연구 협력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실적 중 ‘학술지 논문’으로 분석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고 24개의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의 최근 3년간(2010년~2012년) 발표된 논문 총 3,058편 중에서 교대 및 사대 교수가 저자로 참여한 연구 논문 1,668편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교대 및 사대 교수들은 단독 연구에 비해 협력 연구를 더 많이 수행하였고, 협력 연구의 경우 교수들 간 이루어지기보다 대학원생이나 교육공무원과 협력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한편 교장(리더십), 연구동향, 학부모 및 지역사회 등 특정 연구주제에서 협력 연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교대 및 사대 교수들은 주로 교육공무원이나 대학원생과 공동 연구를 하는 추세이며 추후 교대 및 사대 교수 상호 간 협력 연구가 더 장려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정 주제에 관한 협력 연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연구자 개인 차원에서의 노력 뿐 아니라 기관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 방식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대학 교수들의 연구 협력에 대한 실태 파악이 거의 이루어진 바 없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연구 성과 향상 방안 등 추후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크다. 이 연구 결과가 의미 있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단순 실태 분석을 넘어 그 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