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조절마비제로 CyclogylⓇ 과 AtropineⓇ 이 사용되고 있으며, 조절마비제를 점안했을 때 결막세포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결막세포(clone 1-5c-4)를 배양하여 CyclogylⓇ, cyclopentolate HCl, AtropineⓇ, atropine sulfate를 각각 1%, 0.75%, 0.50%, 0.25% 농도로, 보존제인 benzalkonium chloride(BAC)는 0.01%, 0.0075%, 0.005%, 0.0025% 농도로 15분 처리하여 MTT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hematoxylin-eosin(H-E)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세포자연사를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Cyclopentolate HCl 0.25% 와 atropine sulfate 0.25% 에서만 세포 생존율이 7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E 염색한 결과 CyclogylⓇ 1% 와 AtropineⓇ 1% 에서 세포수가 감소하고 핵의 분절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CyclogylⓇ 1% 와 AtropineⓇ 1% 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A0 수치가 52.92% 와 31.36% 로 세포자연사가 나타났다. 결 론: 조절마비제인 CyclogylⓇ 와 AtropineⓇ 1% 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30% 를 넘지 않았으며, 세포자 연사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압입 세포진단법 (Impression cytology) 을 이용하여 결막 표면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 38 명, 콘택트렌즈 착용을 한 번도 착용하지 않은 건강한 눈을 가진 대조군 35 명을 대상으로 Impres - sion cytology를 시행하여 대상자들의 결막 상피의 형태릎 조사하였다. Impression cytology는 겸체가 PAS system으로 염색이 된 후에 배상 세포의 밀도, 상피 세포의 크기와 형태, 상피 세포의 핵 : 세포질 (N: C) 비율 등의 변화룹 기초로 한 Nelson 의 등급에 따라 겸 체를 4단계로 분류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렌즈 착용 기 간에 따라 다시 3그룹으로 분류하여 Impression cytology를 시행하여 Nelson 의 Grade scale 에 따라 평가한 결파 0-12 개월 착용자에 서 정상에 해당하는 Grade 0은 53.85%, 13 - 487R 월 착용자에서는 20% 이며, 48개월 이상 착용자에서는 없었으며 Grade 1 이상이 100% 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착용 기 간이 길수록 Snake-like chromatin changes 와 같은 세포학적 변화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안구표면에 대한 세포조직학적 조사는 Impression cytology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Impression cytology는 비침습적이며 안전하고 간단한 생겸 방볍으로 사용될 수 있 고, 건성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다양한 안구 표변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3.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안과에서 점안마취제로 Alcaine싼Proparacaine Hydrochloride 0.5%) 이 주로 많이 사용되고 었다. 점안 마취제는 안압 측정, 이물 제거, 전방각경 검사, 봉합, 결막 과 각막 수술 둥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점안 마취제를 눈에 정 안했을 때 각막 상피 에 미 치 는 영 향올 알아보고자 Alcaine@ 0.5%(Proparacaine Hydrochloride 0.5% + Benzalkonium Chloride 0.01%)을 사량의 눈에 직접 점안하여 챔안 후 각막 상피세포에 미치는 영향옳 Rose Bengal로 염색하여 Slit lamp로 조사 하였다. 또한 결막세포 (done 1- 5c -4)를 배양하여 점안 마취제가 세포에 미치는 영향 얄아보고자 Alcaine@과 Proparacaine Hydrochloride를 각각 0.125-0.5% 농도로 15분 처 리 하여 12시 간과 24 시 간 후에 회 복효과를 조사하기 위 해 MTT assay와 LDH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증식 저해 정도첼 측정하였다.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Hematoxylin-eosin 염색 후 광화현미정으로 관찰하고, 세포자연사 (Apoptosis) 를 관찰하기 위해 Flow cytometry를 실시하였다. Alcaine@을 눈에 점안하면 15분 후에 각막 상피가 괴사되고, 결막의 손상올 관찰 할 수 있었으며, MTT assay 결과, 세포독성판 Alcaine@처리군(0.125, 0.25, 0.5%) 에 서는 세포증식 저해가 70% 률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roparacaine hydrochloride 0.1 25% 는 대조군과 유사하고, 0.25%에서는 많5% , 0.5% 에서는 65%로 농도 의존쩍으 화 세포 증식저해를 나타냈다. LDH 유출량은: Alcaine@ 0.25% 처리군에서는 1.8배, 0.5%에서는 4.1 배의 유출량이 나타났으며, Proparacaine hydrochloride를 처리한 군에 서는 대조군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세포자연사를 관찰하기 위해 Flow cytometry를 설사한 결과 AIcaine@ 0.125% 처리군과 Proparacaine hydrochloride 처리군에서는 세 포자연사 (Apoptosis) 에 의해, 고농도 Alcaineæ; 처리군(0.25, 0.5%) 에서는 세포괴사 (Necrosis)를 유도한 것으로 나타나 점안 마취제의 사용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4,300원
        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re-epithelization rate/feature of conjunctival epithelial cell on amniotic membrane and anatomical difference between normal amniotic membrane and de-epithelial amniotic membrane. Human conjunctival tissue obtained while cataract operation were used in this study. Primary cultured human conjunctival epithelial cell and fibroblast were incubated on intact amniotic membrane and de-epithelialized amniotic membrane. After incubation for 3, 5 and 7 days, re-epithelization rate was analyzed using cell tracker and microscopic feature was examined using methylene blue and hematoxylin- eosin stain. For cell marker analysis, cytokeratin 14 and vimentin antibody immunofluorescence stain were used. Clearance rate of epithelial cells on amniotic membrane using trypsin was better than using 25% alcohol. The results of reepithelization rate using cell tracker, HaCaT, conjunctival firbroblast, and epithelial cell were rapidly incubated on deepithelialized amniotic membrane. Wound healing and re-epithelization were more rapidly induced on de-epithelialized amniotic membrane on permanent amniotic membrane gra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