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 대학교육의 일환으로 부각되고 있는 볼룸 댄스(Ballroom Dance)와 댄스스포트(DanceSport)의 교육방법 및 교수자료 개발이라는 맥락에서 서울에 위치한 S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룸바의 기본 동작들을 본 연구자가 라반동작 분석과 바르테니에프 기본원 리를 토대로 개발한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ISES)과 발레 탄듀를 적용했을 때 발생되는 결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의 근본적 룸바 움직임이 특징적 탄듀의 미적 동작과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의 안전적 적용을 통하여 증진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따라서 발레 탄듀 와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은 기본적 룸바 움직임에 유익하며, 특히 앞, 뒤, 옆, 그리고 제자리에 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체중이동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섯 명이라는 특정 참여 자들에 관한 사례연구로써 일반화하기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스럽게 룸바의 움직임을 촉진하고, 효과적으로 기본 동작을 수행하는데 다 음과 같은 세 가지의 핵심 요소들로 함축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요소들은‘발레의 움직임 기반과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 및 룸바’,‘발레 탄듀의 특성 및 룸바’,‘미적 부문의 상 승’ 등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발레,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 그리고 룸바에는 각각 고유의 움직임 테크닉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유형들의 움직임 간에는 서로 밀접한 관계 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각 유형의 움직임들은 서로 다른 유형의 움직임에 긍정 적인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아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방법과 교수자료는 교육과 학습을 위한 대학교육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 projects for transferring Public Office buildings and estimation of appropriate construction expense are highly important for both government and construction firms. Moreover, estimation and management of construction expense can be regarded as extremely important duties for effective execution of a national budget as nation’s finance is invested in the Public office building projects progressed by the government. To progress one project for Public office building, not only the organization demanding the project but also an investment screening organization, a budget-managing organization, a feasibility assessment institution and many other related organizations participate in the project and a lot of decisions arisen from the project operation are made on the basis of construction expenses calculated for relevant stages. And estimation of rational construction expense is also critical for designers in order to create design within the fixed budget simultaneously with securing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structures to the maximum.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ed an improvement process to analyze problems in current construction expense management process and to administer the construction expenses effectively.
본 연구에서는, 농업생산시설내 환경조절을 위한 시뮬레이터의 기본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내환경을 조절하면서 실측치와 예측치를 비교함으로써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모델은 비정상상태의 에너지 및 물질수지에 근거하여 구축되었고, PCSMP를 사용하여 아날로그형 프로그램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구축된 환경조절용 시뮬레이터의 기본시스템은 기본모델, 광환경모델, 환경제어모델로 구성되어서 상호 독립적인 개발이 가능하였다. 기본모델은 본 시스템의 주요 부분으로써 열환경모델, 재배모델, 환기모델, 토양모델, 탄산가스모델을 구성되었고, 환경제어모델은 보온커텐, 냉난방기 및 지중열 교환을 고려하였다. 실제로 환경조절이 실시되고 있는 온실의 주간 및 야간의 실내온도의 실측치와 모델에 의한 예측치를 비교한 결과, 비교적 잘 일치되어서 그 적용성이 확인되었다.
Recently, the characteristic of plant production systems in Korea has been changed with the strong trends of integration and large scale, using environmental control techniques. To satisfy this change successfully, first of all, the environmental prediction inside the system must be preceded. While many environmental prediction models for plant production system were developed by many persons, each model cannot be applied to the every situation without the perfect understanding of source codes and the technical mod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uilding the environmental prediction model to predict and evaluate the environment inside the system numerically, and also developing the multipurpose program available for practical design. The model consisted of the basic system model, the cultivation related model and the environmental control related model. The contents of each model are as follows : the basic system model is dealing with thermal and light environments, soil environment and ventilation : the cultivation related model with soil and hydroponic cultures ; and the environmental control related model with thermal curtain and heat exchanging system. The environmental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a common simulation program, PCSMP, so that it could be easily understood and modified by anyone. Finally, the model was executed and verifi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simulated and measured results for soil culture, and both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s.
소방방재청은 지역안전평가, 재해취약성 검토, 풍수해 및 인적재난에 관련한 위험도 등 재난관리 고유 업무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방재주제도 발굴과 제작이 미흡하다. 이에 국립방재연구원에서는 자연재해·인적재난·사회적 재난 등으로 분류, 통계자료 위주로 구축되어 있는 재해·재난 관련 정보를 현황도, 분석도, 위험도 등으로 GIS화하기 위한 소방방재 지리정보 종합관리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방재청에서 발굴하고 추진하여야 할 소방방재 지리정보시스템의 기본계획 수립 및 향후 지속가능한 재난관리 업무지원을 위해 필요로 하는 방재주제도 개발과 그 활용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형 기본운동기술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로 물체조작운동의 평가 내용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TGMD-2(Ulrich, 2000)와 선행 연구의 발달 단계(Seefeldt 등, 1982; Roberton 등, 1984)를 토대로 평가 내용을 구성한 후, 여섯 명으로 구성된 운동학습 및 발달 분야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수정된 평가 내용은 TGMD-2와의 공인타당도 검증과 기술 수준(상, 중, 하)에 따른 수행 점수의 평균차이검증을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세 명의 평가자 점수의 일치도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위하여 초등학생 1학년에서 6학년까지 남녀 아동 총 240명의 여섯 가지 동작(던지기, 받기, 차기, 치기, 드리블, 굴리기) 수행 장면을 촬영하고 이 영상을 편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 내용에 따른 점수와 TGMD-2 점수간의 상관계수가 .599(2차 평가표)에서 .821(최종 평가표)로 높아지고, 여섯 가지 동작 모두 기술 수준에 따라 수행 점수의 평균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평가 내용의 구성이 취학 후 아동의 물체조작운동기술 수준을 평가하는 데 타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세 명의 평가자간 신뢰도 값이 69.46%(2차 평가표)에서 85.91%(최종 평가표)로 높아졌으며, 여섯 가지 동작 모두 85% 내외의 높은 일치도를 보여 평가 내용의 신뢰도가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구성된 물체조작운동기술의 평가 내용은 현재 진행 중인 한국 아동의 기본운동기술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콘텐츠로 활용될 것이다.